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교밖 청소년의 학교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학교밖 지원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A Qualitative Study About The After School Separation of Out-Of-School Youths and Their Challenge and Growth of Life : Focusing on The Youths Who Participant Out-Of-School Youths Supporting Project)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6.11
24P 미리보기
학교밖 청소년의 학교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에 관한 질적연구: 학교밖 지원사업에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수록지 정보 : 청소년상담연구 / 24권 / 2호 / 75 ~ 98페이지
    · 저자명 : 명소연, 조진옥

    초록

    본 연구는 학교밖 청소년들의 학교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질적 연구 방법인 근거이론(Strauss & Corbin, 1998)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정규학업 과정을 그만둔 지 3년 이상이 지난 학교밖 청소년 7명을 선정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코딩 결과 총 151개의 개념, 32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들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중심으로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였다. 중심현상으로 ‘자포자기 심정의 학교중단’과 ‘피투된 삶’, 인과적 조건으로 ‘학교내 계속되는 방황과 점층되는 부적응’, 맥락적 조건은 ‘역기능 가족 속 상흔’과 ‘가난의 굴레’, ‘애어른의 힘겨운 성장기’, ‘상실된 삶의 조절력’ 으로 나타났다. 중재조건으로 ‘학교이탈 후자각과 성찰의 시간’, ‘새로운 도약의 발판인 학교밖 지원체계와의 조우’, ‘새로운 관계경험을 통한 치유’로 나타났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살아나는 분투의지’, ‘학교밖 어린청년의 고군분투’로 결과는 ‘어린 청년의 성장과 도전’ 그리고 ‘여전히 남아있는삶의 미해결과제’로 나타났다. 둘째, 과정분석 결과는 ‘존재의 혼란기’로부터 시작하여‘고군분투저항기’, ‘새로운 존재와의 조우기’, ‘자각과 성찰을 위한 회복기’, ‘삶의 재구성및 성장기’로 5단계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핵심범주는 ‘학교밖청소년의 성찰과 동행을 통한 삶의 적응’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교밖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학교밖 이탈과 이후 삶의 도전과 성장을 개인, 가족, 학교, 지역사회차원까지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살펴 본 것에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explored an integrated look about the out-of-school youths from the school separation to the challenge and growth of life after their school separation and was analyzed by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Strauss & Corbin, 1998). As study participants, a total of 7 out-ofschool youths who had spent more than three year since dropping out of a regular high school were selec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tegorization resulted in 151 concepts, 32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Core phenomena were school dropout of feelings of self-abandonment and thrown life. The causal conditions were their continual wandering and increasing maladjustment in the school.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scar in the dysfunctional family, bands of poverty, hard growth of grownup baby, and lost control power of life. As intervention conditions, time of awareness and Reflection, encountered support system out of school as to hold to make a new leap forward, and healing from new relationship experience were presente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will of a struggle recovery, and fight unsupported struggle of young man out of school. The consequences were challenge and growth of youth and remaining unsolved problem of life. Second, The results of processing analysis consisted of 5 stages; confusion stage of existence, resistance stage of unsupported fight, encounter stage with ‘new’ being, recovery stage of awareness and reflection, reconstruction of life and stages of growth. Lastly, The core category was the adaptation of life through the reflection and accompany for out-of-school youth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and precisely examined the challenge and growth in life and after seperation school out-of-school youths to experience person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소년상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