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呈才 느린10박音樂 硏究 -향당교주, 보허자, 수제천, 평조회상을 중심으로- (Slow music of the Court dance - focus on Hyangdangyoju, Bohuja, Soojecheon, Sangryungsan -)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09.08
16P 미리보기
呈才 느린10박音樂 硏究 -향당교주, 보허자, 수제천, 평조회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과학기술 / 5권 / 2호 / 103 ~ 118페이지
    · 저자명 : 진윤경

    초록

    현재 정재에서 사용되는 음악 중 가장 느린 장단(慢機)에서 연주하는 악곡은 보허
    자, 수제천, 향당교주, 관악영산회상의 상령산, 평조회상의 상령산, 중령산이다. 이들
    은 모두 삼현육각으로 연주되고 조이고 푸는 음악적 특징을 가지며 연음형식의 공통
    점을 가진 음악들이다. 하지만 직접 연주를 하는 사람이 아니면 조이고 푸는 지점을
    확실히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외형적으로 규칙성이 잘 들어나지 않고, 분석하기 어
    렵다. 따라서 필자는 그 동안의 직접적인 정재 반주의 학습과 경험을 통해 본고에서
    공통되게 나타나는 장단 호흡인 雙 鞭 鼓 搖 3:2:2:3 의 기준을 두고 채보를 하여 음
    악들을 일정한 체계 안에 넣어 특징을 살펴보고자 했고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단과 선율 프레이즈가 비교적 자연
    스럽게 나타나는 향당교주와 관악합주 때와 선율은 같지만 장고점은 다른 수제천과
    보허자, 20박 음악을 10박으로 압축 연주하여 장고점은 같지만 선율선을 빠르게 연주
    해야 하는 평조회상의 상령산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나타는
    것은, 일정 선율에 대한 춤동작이 있는 것이 아니라, 장단과 춤의 관계가 더 중요하며
    선율은 장단이 결정되면 때에 따라 선택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느린 음악의 특성상 조이고 푸는 형태가 나타나 박자의 신축성이 생기는 곳
    이 있지만, 雙 鞭 鼓 搖 의 長 短 短 長 4대강의 패턴은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있으며
    이것은 雙 鞭 鼓 搖 2:1:1:2 비율을 가지는 도드리 장단의 속성과 같기 때문에 외형
    적으로 10박으로 나타난다고 해도 이 장단이 빨라지면 도드리장단이 된다.
    셋째. 보허자와 춘앵전의 평조회상은 합장단으로 첫 박을 연주하는 방식이고 향당
    교주와 관악영산회상 상령산, 수제천은 기덕 쿵으로 장단을 갈라 치는 방식으로 연주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discuss about the pieces played at the slowest beats among the court
    dance music such as Bohuja, Soojecheon, Hyangdangyoju, Sangryungsan (Wind
    Youngsanhoesang, Pyungjohoesang). They are all music pieces with common mu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rolongation of notes between different instruments, tightening and
    loosening of rhythms, and the instrumental arrangement of Samhyunyookak, which consists
    of two piris, a daegum, a haegum, a jango, and a jwago. These pieces' patterns tend to be
    difficult to figure out except for the players themselves since the listeners can not easily
    recognize the points to tighten or to loosen the rhythms. Thus, the rhythmic patterns are
    not apparent by mere music presentation and consequently, difficult to analyze.
    This paper, considering the difficulties explained above, analyzes the music pieces by
    putting them in a particular system, 雙 鞭 鼓 搖3:2:2:3, which is the common rhythmic
    time in the pieces.
    First, the analysis focuses on the melodies. As a result, the pieces studied could be
    divided into three types Hyangdangyoju, which shows naturally flowing rhythm and melodic
    phrases, Soojecheon and Bohuja, which have same melodies but different points of jango to
    the ones in wind ensembles, and Pyungjohoesang's Sangryungsan and Joongryungsan, which
    have same jango points by playing the 20 beats as 10 beats and quickening beats. Such
    analysis indicate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hythm and the dance is more important
    since it appears that melodies seem to have been selected for certain rhythms rather than
    particular dance sequences.
    Second, the pattern of four phrases, 長 短 短 長 (long, short, short, long) of 雙 鞭 鼓
    搖, is common although the tightening and loosening, which is characteristic of slow music,
    results in flexibility of beats. Such characteristic is same as the Dodri rhythm with 雙 鞭
    鼓 搖 2:1:1:2beats. Therefore, although it appears to have 10-beat rhythm, it becomes
    Dodri rhythm as the beats accelerate.
    Third, Bohuja and Pyungjohoesang of Choonangjeon are played with Hap jangdan for
    the first beat, and Hyangdangyoju, Soojecheon, and wind Youngsanhoesang's Sangryungsan
    are played with split kiduck-ko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과학기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