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러시아 국립 스타브로폴 역사․문화 및 자연․경관박물관(국립 스타브로폴 G.N. 프로즈리텔레프, G.K. 프라바 박물관) 소장 동경 검토 (A Study on the Bronze Mirror at the Stavropol State Historical, Cultural and Natural-Landscape Museum-Reserve Named after G.N. Prozriteleva and G.K. Prave in Russi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8.07
30P 미리보기
러시아 국립 스타브로폴 역사․문화 및 자연․경관박물관(국립 스타브로폴 G.N. 프로즈리텔레프, G.K. 프라바 박물관) 소장 동경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71호 / 81 ~ 110페이지
    · 저자명 : 이지은

    초록

    국립 스타브로폴 역사․문화 및 자연․경관박물관 수장고에는 북(北)코카서스 지역 발견 고고유물 컬렉션이 보관되어 있다. 그 중 배면에 문양이 있는 원형의 동경이 있다. 발견 정황에 대한 정보는 없으나, 20세기 초 작성된 박물관 문서 <1918년 북 코카서스 박물관 일괄유물 대장 No.4503/316>에 해당 유물이 북코카서스 고고학자 예르몰렌코 마카르 이바노비치에 의해 구입되어 전달된 것이라는 입수경위만 간략하게 적혀있다. 또한 1941년 주립 보로슐로브스크 향토박물관(현 국립 스타브로폴 역사․문화 및 자연․경관박물관) 기록상 이 동경이 미누신스크 지역에서 발견된 청동기시대 동경으로 전해진다. 이 동경과 관련된 초기 기록은 유물에 대한 분석 없이 구전된 내용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본고에서는 동경의 크기, 동경 배면 문양의 구성 등을 분석하고 중국과 한국 출토유물과 비교하여 이 동경의 원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던 몇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이 동경에는 두 동자가 꽃가지를 들고 있고 발 아래로는 물결무늬, 위쪽으로는 연화문이 표현되어 있는데, 이와 유사한 도상이 중국 하북성과 길립성 일대, 그리고 우리나라 개성 부근에서 발견되고 있다. 아울러 동경의 주요 모티브로 인물상이 대두되는 것은 송대(宋)와 금대(金) 동경의 특징으로 볼 수 있으며, 특히 동자상은 금경(金鏡)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다. 그러므로 중세로 편년할 수 있는 이 유물이 청동기시대에 해당된다는 1941년 주립 보로슐로브스크 향토박물관측 기록은 신빙성이 떨어지며, 미누신스크 지역 발견품이라는 점 역시 재고의 여지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동경의 크기, 뉴의 형태, 명문의 유무, 문양의 치밀성, 당시 금나라(金國)의 동 수급상황 등의 요인을 고려할 때, 스타브로폴 박물관 소장유물은 金鏡이라고 단정하기보다, 다른 지역에서 방제되었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영어초록

    Archaeological finds from the Caucasus are preserved at the fond of the Stavropol State Historical, Cultural and Natural-Landscape Museum-Reserve named after G.N. Prozriteleva and G.K. Prave. Among them there is a bronze mirror with decoration which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flecting mirror side. Even though there’s no information about discovery situation, according to the museum document “Collection Register of Northern Caucasian Museum in 1918 No.4503/316” which was written at the early of 20 century the mirror might be bought by Yermolenko Makar Ivanovich, the archaeologist from the Northern Caucasus. Moreover the record of State Voroshilov Museum of Reginal Studies(in these days it calls the Stavropol State Historical, Cultural and Natural-Landscape Museum-Reserve) told that this bronze mirror might be found in the Minusinsk region of Siberia and be determined date, possibly Bronze Age. As these kinds of some early records on bronze mirror are considered that they had been orally transmitted as without analysis, in this paper, author tries to analyse the size, decoration details etc. and compare with analogous mirrors, which were found in China and Korea.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it makes sure some points. First, on our bronze mirror there are two young-boy figures with the flower, wave pattern in below and lotus pattern on above. The similar images are found around Hebei province and Jirin province in China, and Kaesong in Korea. In addition, human figure as the main motif of bronze mirror is characterized with bronze mirrors of Chinese Song and Jin dynasties. Especially, boy-figures are often shown on the Chinese Jin dynasty bronze mirrors. Therefore it is needed to reconsider for the Voroshilov Museum record on dating mirror as bronze age, and it is possible that the discovery place is not Minusinsk. Second, according to size, form of knob, absence of inscription and lack of decoration accuracy bronze mirror at the Stavropol State Museum is not possibly made in Jin dynasty, China. Moreover restriction of the use of valuable copper and bronze in Jin dynasty also give a chance to interpret that the bronze mirror at the Stavropol State Museum might be made outside of the territory of J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