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항문화에 대항하기: 바라티 무커지의 『내게 맡겨』 (Countering the Counterculture : Bharati Mukherjee’s Leave It to M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4.09
31P 미리보기
대항문화에 대항하기: 바라티 무커지의 『내게 맡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미문학페미니즘 / 22권 / 2호 / 147 ~ 177페이지
    · 저자명 : 이선진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Bharati Mukherjee’s mythical writing of Leave It to Me critically engages with and deconstructs the myths of the 60s counterculture as part of her larger project of redefining America and its history. Drawing upon the Hindu myth of the warrior goddess Devi and the Greek myth of Electra as interpretive frames of the novel, Mukherjee transforms the protagonist-narrator Debby/Devi’s journey to San Francisco in search of her origin and identity into a critical reinterpretation of the counterculture’s liberalism and its engagement with Asia in reaction to the nation’s exertion of its state sovereignty beyond its territory onto the foreign shores of Vietnam. As Devi finds out more about her mother and observes her peers in the counterculture, she increasingly develops a critical eye on the darker side of the countercultural young people, including their self-indulgence, irresponsibility, and their quick move into the consumer-capitalist “Establishment.” Mukherjee extends her demythologizing take on the counterculture’s mystification and manipulation of the Indian religious culture to justify its hedonist lifestyle with a suggestion that it is the other side of the same mirror of America’s Orientalism that demonizes its Vietnamese others by representing them as essentially different from whatever is American. Rejecting a celebration of America as a home of progress and liberation, Mukherjee exposes the counterculture’s rebellion against mainstream America gone awry by debunking the nostalgic, romanticized myths of the sixties counterculture dominant in popular imagination.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ways in which Bharati Mukherjee’s mythical writing of Leave It to Me critically engages with and deconstructs the myths of the 60s counterculture as part of her larger project of redefining America and its history. Drawing upon the Hindu myth of the warrior goddess Devi and the Greek myth of Electra as interpretive frames of the novel, Mukherjee transforms the protagonist-narrator Debby/Devi’s journey to San Francisco in search of her origin and identity into a critical reinterpretation of the counterculture’s liberalism and its engagement with Asia in reaction to the nation’s exertion of its state sovereignty beyond its territory onto the foreign shores of Vietnam. As Devi finds out more about her mother and observes her peers in the counterculture, she increasingly develops a critical eye on the darker side of the countercultural young people, including their self-indulgence, irresponsibility, and their quick move into the consumer-capitalist “Establishment.” Mukherjee extends her demythologizing take on the counterculture’s mystification and manipulation of the Indian religious culture to justify its hedonist lifestyle with a suggestion that it is the other side of the same mirror of America’s Orientalism that demonizes its Vietnamese others by representing them as essentially different from whatever is American. Rejecting a celebration of America as a home of progress and liberation, Mukherjee exposes the counterculture’s rebellion against mainstream America gone awry by debunking the nostalgic, romanticized myths of the sixties counterculture dominant in popular imag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미문학페미니즘”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