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초반 안수길 신문연재소설의4·19 표상과 피난민의 시민권-『생각하는 갈대』(1961~62)와 『백야』(1963~64)를 중심으로- (The Representaion of 4‧19 On Ahn Soo-Gil’s Serial Novel of Newspaper In the Early 1960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9.03
34P 미리보기
1960년대 초반 안수길 신문연재소설의4·19 표상과 피난민의 시민권-『생각하는 갈대』(1961~62)와 『백야』(1963~64)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3권 / 1호 / 35 ~ 68페이지
    · 저자명 : 강용훈

    초록

    1961년부터 1962년까지 『서울신문』에 연재된 『생각하는 갈대』와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조선일보』에 연재된 『백야』는 4‧19 및 5·16 이후 본격화 된 전후 한국 사회의 질서 재편과 맞물려 안수길 신문소설이 변화해간 양상들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들 작품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해방 이후부터 5·16까지의 16년의 기간은 안수길의 대표작 『북간도』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1870년에서 1945년까지의 시간, 그리고 후기 단편소설에서 형상화되고 있는 1960년대 중·후반부터 1970년대 중반까지의 시간을 매개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들 작품에는 기존 연구에서 논의된 후기 안수길 단편소설의 여러 모티프들이 선취되어 있다.
    『생각하는 갈대』와 『백야』는 4‧19 직후 한국 사회의 상황(『생각하는 갈대』) 및 한국전쟁 이후부터 4‧19가 발생하기까지의 과정(『백야』)를 월남한 피난민의 시각에서 형상화하고 있다. 이들 소설에 나타난 4‧19 표상은 안수길 소설이 혼란과 폭력의 발현 양상을 주시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안수길은 4‧19가 기존의 법적 질서를 새롭게 정초하기 위한 폭력적 순간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을 형상화하며 전후 한국 사회의 법적 질서 자체가 행사하고 있었던 폭력 또한 부각시켰다. 안수길 소설에서 그 폭력은 ‘경계에 놓여 있는 공간’과의 연관을 통해 효과적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북간도』가 중국과 일본의 법적 질서의 경계에 놓여 있던 만주 공간을 통해 폭력을 형상화했다면, 『백야』에서는 남한과 북한의 치안 질서가 교차했던 전시 서울의 폭력을 그려내고 있다. 4‧19를 형상화하는 과정에서도 안수길은 4‧19를 주도한 청년들의 내면 질서가 아니라 치안질서를 유지하려는 폭력과 대항폭력이 맞부딪히는 무정부 상태의 ‘거리’ 공간에 초점을 맞춘다.
    안수길 소설 속 폭력의 공간은 『백야』에서 부각되고 있는 시민증과 연결하여 해석될 필요가 있다. 전시 서울에서 『백야』의 월남민 인물들이 획득한 시민증은 전후 한국 사회의 시민권이 분단 국가의 다른 한 축, 즉 ‘북한’과의 단절을 증명하는 자에게만 부여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백야』를 비롯한 안수길의 소설은 궁극적으로는 그 시민증을 획득한 사람들의 시선, 즉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려 하지 않는 자의 시선에서 그려지고 있다. 그러나 그 시선의 이면에는 시민증을 획득하지 못한 자, 즉 경계 공간에 놓여 있는 자가 감당해야 했던 폭력에 대한 응시가 깔려 있다. 그 응시 때문에 안수길의 소설의 피난민들은 가까스로 획득한 시민권을 물신화하지 않고 거리감각을 지닐 수 있게 된 것이다. 4‧19를 대면한 안수길이 신문연재소설을 통해 그 시민권의 한계를 본격적으로 문제 삼기 시작한 것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안수길 소설 속 피난민들은 전후의 사회질서에서 일종의 마이너리티였다. 안수길의 1960년대 초반 신문연재소설은 시민증을 부여받은 것에 안도하던 마이너리티가 역동적인 시민권의 재구축 과정과 결합될 수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안수길은 4‧19에 참여한 주체의 내면을 부각시켜 4‧19 및 4‧19 세대를 신화화하려 하지 않고 있다. 대신 4‧19에 내포되어 있던 폭력과 무정부적 혼란을 형상화하며 4‧19가 개개인들에게 맞닥뜨리게 했던 ‘예측 불가능성’의 순간들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Thinking Reed』 that was published as a serial novel in the Seoul Newspaper from 1961 to 1962 and 『White Night』 that was carried in Chosun Ilbo from 1963 to 1964 showed the changing modes of Ahn Soo-gil’s newspaper novels. These works span across a period of 16 years from liberation of Korea to the May 16 coup of 1961. This period mediates the period from 1870 to 1945 that was the setting of Ahn Soo-gil’s most famous work, 『North Jiandao』 and the mid-to-late 1960s to the mid-1970s that is the setting of his later short stories. Various motifs of Ahn Soo-gil’s later short stories are predated in these works.
    『Thinking Reed』 and 『White Night』 embodies the situation of the Korean society immediately following the April 19 revolution in 1960 (『Thinking Reed』) and the situation following the Korean War to the April 19 revolution (『White Night』) from the perspective of refugees who crossed over from North Korea. The refugees in the novels of Ahn Soo-gil were a sort of a minority in the social order following the war. Therefore, they know that they were not given full citizenship. The newspaper serial novels of Ahn Soo-gil in the early 1960s show that minorities can be united to the dynamic process of reconstructing citizenship. However, Ahn Soo-gil did not make an attempt to mystify the April 19 revolution generation by highlighting the inner being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at revolution. Through this, he shed light on the violent aspect possessed by the legal order of the Korean society following the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