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물설화의 치유적 성격에 대한 비교문학적 고찰-한국의 <호랑이설화>와 북미 원주민의 <코요테설화>를 대상으로- (A Comparative Literary Note on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Animal Folktales —With reference to Korean Tiger Folktales and North Amerindian Coyote Folktale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4.04
38P 미리보기
동물설화의 치유적 성격에 대한 비교문학적 고찰-한국의 &lt;호랑이설화&gt;와 북미 원주민의 &lt;코요테설화&gt;를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31권 / 101 ~ 138페이지
    · 저자명 : 최원오

    초록

    이 논문의 목표는 한국의 <호랑이설화>, 북미 원주민의 <토요테설화>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 동물설화가 내재하고 있는 치유적 성격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학치료학에 대한 기존의 논문 검토 및 비교문학적 분석을 병행하는 연구방법을 취한다. 현재의 문학치료학에서는 ‘자기서사’를 치료 진단의 핵심 개념으로 삼고 있는데, 작품의 서사이건 삶의 서사이건 간에 관계성을 떠나서 형성되기 어렵다는 측면에서 ‘관계서사’도 아울러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특정의 동물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각편(version)을 형성하고 있는 동물설화는 다른 설화에 비해 관계서사를 더 잘 보여줄 뿐만 아니라, 그 관계서사가 드러내고 있는 치유의 문제점 또한 개인이 아닌 인간 사회나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것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문학치료학의 치유대상이 개인에만 한정될 수 없고, 인간 사회나 자연계를 바라보는 인간의 시선까지를 포괄해야 한다고 할 때, 특정 동물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동물설화는 그에 적절하게 부응할 수 있다. 즉 <호랑이설화>와 <코요테설화>는 다양한 각편을 통해 인간 사회가 안고 있는 윤리적이고 규범적인 문제를 우의적으로―또는 매우 핵심적으로― 들춰낼 뿐만 아니라, 동물로 대표되는 자연계를 향한 인간의 시선 및 인식까지를 성찰하게 한다. 그 점에서 이들 설화는 우리에게 ‘호랑이담론’, ‘코요테담론’이라 지칭할 수 있는 ‘동물­치유담론’의 형성에 대한 논의를 자연스럽게 제안하고 있다. 이것은 설화 개개의 각편이 개인의 자기서사를 각각 진단하는 데 유용한 것처럼, 설화 유형 역시 개인을 벗어난 차원의 문제, 예를 들면 사회적 문제와 같은 병적 진단을 시도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음을 말해 준다. 한편, 동물설화의 치유적 성격은, 가능하다면 비교문학적 시각에서 고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논문에서의 비교 결과, <호랑이설화>와 <코요테설화>에서 이론적 담론과 실천적 담론을 드러내고 있는 방법이 달랐는데, 이것은 한 사회가 안고 있는 치유적 증상에 대한 인식과 해결을 모색하는 과정에서의 사유 방식의 차이를 확연하게 드러내주기 때문이다. 호랑이담론과 코요테담론은 우리에게 문학치료학의 범위와 진단 도구로서의 개념을 성찰하게 한다는 점에서 여타의 동물설화에 대한 비교문학적 관심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animal folktales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n tiger folktales and North Amerindian coyote folktal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takes an approach with which it reviews existing papers on literary therapeutics and carries out comparative literary analyses in parallel. Given that current literary therapeutics takes 'self-narration' as a core concept in its therapeutic diagnos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lational narration' as well on the basis of the fact that the narration of a work as well as that of a life is difficult to form without taking relatedness into consideration. Animal folktales, which have various versions with focus on particular animals, not only better show relational narration than other folktales, but also attract our attention in that problems with the therapy revealed by their relational narrations are also about human society and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rather than about individuals. Given that it is impossible to narrow down the range of literary therapeutics only to individuals, and it should involve the human sight of human society and the natural realm, animal folktales, with focus on particular animals, can comply with it appropriately. That is to say, tiger and coyote folktales not only allegorically—or very much to the point—reveal ethical and normative problems with human society with their diverse versions, but also make us reflect on human vision and recognition of the natural system represented by animals. In this regard, these folktales naturally suggest that we should discuss the formation of the 'animal therapy discourses' that can be referred to as the 'tiger discourse' or the 'coyote discourse.' Just as each of the versions of a folktale are useful to diagnose individuals'self-narrations separately, this tells us that types of folktales also can be useful in attempting at a pathological diagnosis of problems beyond individuals, for example, social problems. On the otherhand, it is desirable to examine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animal folktale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iterature as far as possibl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this paper, methods of reveal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ourses differ between tiger and coyote folktales. This is because they clearly expose differences in thinking methods in the course of exploring the recognition of and solutions to therapeutic symptoms within a society. Comparative literary interest is called for about other animal folktales in that tiger and coyote discourses allow us to reflect on the range of literary therapeutics and its concept as a diagnostic t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