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경관으로서의 DMZ 철원 민북마을 일상경관 읽기 - 주민 심층 인터뷰 및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 (The Interpretations of Ordinary Landscapes of Minbuk Village, Cheorwon, near DMZ Borders as Cultural Landscapes - Using Residents’ In-depth Interviews and Grounded Theory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21.12
23P 미리보기
문화경관으로서의 DMZ 철원 민북마을 일상경관 읽기 - 주민 심층 인터뷰 및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경관학회지 / 13권 / 2호 / 1 ~ 23페이지
    · 저자명 : 서준원, 조경진

    초록

    본 연구는 멈추어 있는 대상으로서의 경관이 아닌, 내부자 관점으로 바라본 일상사 속 변화하는 과정으로서의 경관인 ‘일상경관(Ordinary Landscape)’ 읽기에 대한 시도다. DMZ 접경지역 철원 민북마을 주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일상사를 수집하여 근거이론 분석 방법론을 활용한 귀납적 분석을 통해 일상경관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고 문화경관으로서의 일상경관을 분석하여DMZ 인근 철원 민북마을의 경관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수집된 구술채록은 근거이론체계를 활용하여 49개의 개념과 19개의 하위범주 및 상위범주로 순으로 정리하여 도출했으며, 각범주는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심현상’, ‘중재적 조건’, ‘전략과 상호작용’, ‘결과’ 등 여섯개로 구분하고, 이를 DMZ 철원 민북마을 일상경관 패러다임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패러다임 모형의 분석은 잭슨(Jackson)이 주장한 경관 연구의 세 가지 기본 요소인 내부인의 ‘주거지’, 물리적경관 속에 스며든 ‘경관 문화’, 그리고, 일상생활에 정착된 ‘거주 활동’을 기준으로 한다. 분석은민북마을 주민들의 일상 속 경관이 지속적으로 변화해온 과정과 상호 관계성을 해석하여, 다음의다섯 가지 시사점으로 정리하였다. 첫 번째, ‘거시적 역사의 맥락 속 변화하는 미시적 일상과 공간’이고, 두 번째로 ‘원주민과 이주민의 전략적 마을 공동체 형성 및 유지’를 들 수 있으며, 세 번째로는 ‘과거에서 현재로 이어지는 일상적 환경조건 또는 현상’이 있다. 이 세 가지 현상은 DMZ 철원 민북마을의 일상경관을 구성하는 근본 요소로서, 마을의 생성부터 현재까지를 아우르는 경관 속 일상, 또는 일상 속의 경관이다. 네 번째, ‘민간인통제선 기준 내부, 경계, 외부구역 마을의변화하는 일상경관’은 끊임없는 외부요인에 의한 변화에도 철원평야를 중심으로 한 주민들 삶의영속에 대한 의지다. 마지막으로, ‘치유와 극복의 과정을 통해 기대하는 지역의 미래’는 지역의긍정 혹은 부정적 요인에 순응하고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극복하며, 지역 애착심과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원동력이다. 이는 척박한 생활환경 조건 속에서도 주민들이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전략적 인내심으로 지역을 일구어 나가기 위한 중요 요소다. 이 다섯 가지의 공통점은 일상경관을 내부인의 관점에서 바라본 형성 과정과 상호 관계성을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 분석을 통해 철원민북마을의 ‘주거지’, ‘경관 문화’, 그리고 ‘거주 활동’ 등 일상경관의 세 가지 특성으로 분석하고경관적 상호 관계성을 밝히는 것이 가능했다. 본 연구는 문화경관이 명사로서의 경관이 아닌, 오랜 시간에 걸쳐 꾸준히 축적된 내부인의 일상적 활동으로 인해 변화해온 동사로서의 일상경관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일상성이 내재 된 다양한 층위의 문화경관 특성 및 상호 관계성을 발견하기 위하여 일상경관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향후 관련 연구의 초석이 되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n attempt at reading ‘ordinary landscapes’ from the insiders’ points of view, landscapes as changing processes in history of everyday life, rather as fixed physical objects.
    The goal is to collect the narratives of history of everyday life of residents by using in-depth interviews in Minbuk Village, Cheorwon, near the DMZ borders. And, it is to propose a paradigm model for ordinary landscapes to analyze ordinary landscapes as important part of cultural landscapes through inductive analysis using grounded theory. The results show that six paradigms of ordinary landscapes by analyzing categories over 19 subcategories based on 49 concepts from the collected oral records are as followings: ‘causal conditions’, ‘contextual conditions’, ‘phenomenon,’ ‘intervening conditions, ‘actions and interactions, and ’consequences’.
    Based on Jackson’s three elements of interpreting landscapes; ‘insider’s house or dwelling place’, ‘material manifestation of ‘culture’ in the landscape’, and ‘dwelling-activities’ in the practices of everyday life’(Jackson, 1995) to analyze the paradigm model expresses the processes and interrelationships of ordinary landscapes which have been changing constanttly with multi-layered ordinary landscapes in Minbuk Village, Cheorwon. The five interpretations of ordinary landscapes in Minbuk Village represent the following elements; first, microscopic history of everyday life of residents in context of macroscopic history; secondly, creating and maintaining tactical community with natives and migrants in the village; thirdly, ordinary environmental conditions and/or phenomenon throughout decades; forthly, transitions in ordinary landscapes based on the movement order of Civilian Control Line by military authorities that can be called as inner, border, and outer part of CCL; and lastly, expecting a better future through cures and overcomes of difficulties. The first three characteristics imply fundamental elements for ordinary landscapes of DMZ Minbuk Village from its beginnings to presents. And the last two signifies strong will of residents who would adapt to any changes in positive and/or negative environmental circumstances and would lead to progressive overcomes among the hardship life conditions to remain sustainable environments in Cheorwon plain area near DMZ borders. The five interpretations expose that the strategic patience of residents derive place attachment and pride of the village within barren environmental surroundings. Consequentially, the ordinary landscapes can the weaved as residents’ ‘dwelling place’ with ‘culture in the landscape’, as well as ‘dwelling activities’ for the five interpretations from the insiders’ perspectives and its interrelationship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ordinary landscapes as a ‘verb’ in progress, not as a ‘noun’. Furthermore, the study is meaningful as it show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research studies on ’ordinary landscapes’ to discover five interpretations from insiders’ perspectives of places, and as a cornerstone for future related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경관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