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노사정위원회 참여를 둘러싼 민주노총의 전략적 대응 : 정파 간 내부정치를 중심으로 (The Strategic action of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KCTU) surrounding participation at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 Focus on the factional inner politic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6 최종저작일 2012.06
27P 미리보기
노사정위원회 참여를 둘러싼 민주노총의 전략적 대응 : 정파 간 내부정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사회과학연구 / 51권 / 1호 / 81 ~ 107페이지
    · 저자명 : 김영수

    초록

    민주노총은 1997년 12월, 외환위기 및 김대중 정부의 출현을 앞둔 상황에서 사회적 합의제도의 설립을 정부에 요구하였다. 김대중 정부도 민주노총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보다 완결적인 사회적 합의제도를 구축하였다. 1998년 1월에 설립한 노사정위원회가 그것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노사정위원회를 사회적 합의제도로 정착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였다. 민주노총은 노사정위원회에서 1999년 2월 탈퇴하고 난 이후 2012년 현재까지 참여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두 가지 차원으로 정리할수 있다. 하나는 민주노총의 조직적 ․ 정파적 논쟁이었고, 다른 하나는 노사정위원회에 대한 정부의 의도였다. 민주노총의 조직적 ․ 정파적 경향성은 소위 국민파-중앙파-현장파로 구분할 수 있다. 국민파는 노사정위원회에 참여해야 한다는 경향성을 가지고 있었다. 현장파는 노사정위원의 무용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중앙파는 조건부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경향성을 가지고 있었다. 민주노총이 노사정위원회에 대해 민주노총의 유연적 대응전략, 즉 전면 참여, 조건부 참여, 전면 탈퇴, 재복귀 시도 등의 방식으로 대응하였다. 이처럼 각각의 세력들은 노사정위원회를 서로 상이하게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정부도 노사정위원회를 매개로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한 노동조합운동의 전투적인 투쟁성을 약화시킴과 동시에 신자유주의 정책의 정당성을 강화시키고자 하였다. 그렇지만 노사정위원회는 민주적인 노동조합운동의 발전전략이라는 차원에서 볼 때 ‘양날의 칼’이었다. 한편으로는 노동조합운동의 이해를 정부-자본과 협의하여 국가의 제반 정책에 반영시킬 수 있었던 공간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전투적이고 민주적인 노동조합운동을 정부의 의도대로 포섭되거나 개량화 될 수 있는 공간이었다.

    영어초록

    The KCTU suggested that the Daejung kim regime should found a social tripartite system to face with financial crisis andlaunch of government in December 1997. The Daejung kim regime founded more perfect social tripartite system than former government to recognize the KCTU’s proposal actively. It was what founded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in 1998. But it was a very difficult problem for the government to establish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for social agreement system. Since KCTU disaffiliated from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at Sept.1. 1999. KCTU hasn’t participated in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until june 2012. The reason is arranged at the double level. One was organizational and fractional controversy in the KCTU. the other was the government's intention to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It was three organizational and fractional tendency that were popular wing. central wing. and workplace wing in the KCTU.
    The popular wing had the tendency to participate at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The workplace wing had had the tendency to emphasis uselessness of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And the central wing had the tendency conditionally to use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The KCTU responded to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with the flexible method that was a conditional participation strategy. a all-out withdrawal strategy. and a re-comeback strategy. Because all groups were aware of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differently this way. The government wanted to weaken struggle power of democratic trade union movement. and strengthen legitimacy of the neo-liberal policy by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at the same time. However. at the development strategy of democratic trade union movement level.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was a double-edged sword. On the one hand. the KCTU could use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for reflecting organizational interest on policies through discussion with the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could turn democratic and militant KCTU to their side at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n.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could embrace and purify KCT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