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45~1950년 북한의 과학기술과 근로인민 형성에 대한 인식 (The Recognition of Scientific Technologies and People-Making in North Korea, 1945-1950)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6.03
31P 미리보기
1945~1950년 북한의 과학기술과 근로인민 형성에 대한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74호 / 1 ~ 31페이지
    · 저자명 : 이세영

    초록

    본고는 1945~1950년 사이 북한에서 소련과 소련의 과학기술을 어떻게 인식하였으며, 소련 과학기술의 수용이 근로인민의 형성에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남북 분단 상황에서 정권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인민의 지지를 얻기 위하여 북한 정권은 소련을 통해 과학기술을 비롯한 선진문화를 배우고 수용하고자 하였다. 사회주의 소련의 경험은 북한이 유용하게 따라 배워야 할 대상으로 인식되었다. 소련 또한 ‘후원자’로서 자신의 위치를 공고히 하기 위해 북한에 과학기술을 비롯한 문화를 전파하는데 힘을 기울였다.
    북한 정권과 지식인들은 소련 여행을 통해 소련에서 배워야 할 것이 무엇인지 정력적으로 관찰하였다. 그들은 소련의 문화와 인민의 모습 속에서 사회주의 제도의 우월성을 느꼈다. 또한 사회주의 제도 하에서만이 과학기술이 급속히 발전할 수 있고, 그러한 과학기술을 습득하면 북한의 인민도 소련처럼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들은 최첨단 공장에서 기계와 노동자가 혼연일체를 이루는 것이 바로 사회주의 사회의 이상형이라고 이해하였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북한 정권은 당면한 현실을 해결하기 위한 측면에서 과학기술의 보급과 전파를 통해 인민을 ‘과학화’하고자 하였다. 특히 산업현장에서 종사하는 노동자들에게 과학기술을 주입하여 부족한 기술인력을 충당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산업현장에서는 ‘기술공백’을 메우기 위한 고투 속에서 첫 2개년 계획 기간에는 창의성을 발휘하는 노동자가 가장 과학적인 근로인민으로 추켜세워졌다. 분단 정부 수립 이후에는 노력합리화를 명분으로 하는 ‘소비에트 테일러리즘’의 도입이 본격화되었다. 자신의 육체를 가장 과학적․합리적으로 움직여 생산에 매진할 것이 노동자에게 요구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ay the acceptance of Soviet scientific technology has been associated with people-making in North Korea. North Korea has been trying to adopt the products of advanced cultures, including scientific technologies from the USSR, in order to promote the superiority of its regime in the process of the regime competi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s, and to make people acknowledge the legitimacy of its rule. North Korea saw the successful regime construction of the USSR as a model, and the USSR also worked on spreading its scientific technology and culture as “prototypes” in order to consolidate its status.
    North Korea’s leaders and intellectuals observed the USSR enthusiastically, as they felt that the Soviet people and culture reflected the superiority of socialism. Moreover, they believed that North Koreans could become “new men” by accepting the country’s scientific technology. They realized that creating a harmonious whole between machines and workers in high-tech factories was the ideal type of socialist society.
    However, due to the condition of North Korea, they tried to “make people scientific” by supplying and spreading scientific technologies. They believed that learning scientific technologies could support workers on industrial sites. Workers were therefore perceived as the most exemplary people during the two-year plan of 1947 and 1948.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divided government, “Soviet tailorism”, which promoted the most rational and scientific form of production by focusing on the body, was required for industrial labor, and was introduced in earnest to justify rationalization effo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