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義州 지역의 교류와 義州民의 異國 경험 (The Mutual Exchange around Uiju and Foreign Experience of Uiju People during Late Chosun Period)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5.04
36P 미리보기
조선후기 義州 지역의 교류와 義州民의 異國 경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로컬리티 인문학 / 13호 / 53 ~ 88페이지
    · 저자명 : 양흥숙

    초록

    조선후기 의주는 國境, 關門 등으로 상징되었다. 국경에 위치하므로 군사적 요충지가 되지만, 청과의 군사적 긴장이 감소되면서 의주는 외교와 무역 기능을 강화할 수 있었다. 의주는 조선과 明․淸 사이의 경계, 여진과 인접해 있는 境界地였다. 또한 국경으로 상징되는 압록강은 민의 이동하는 데 장애물이 되지 못하였으며, 더욱이 압록강 건너편부터 요동의 連山關(또는 鳳凰城) 사이에는 國境線이라고 상징할 만한 통제물이 없었다. 그러므로 의주부터 連山關(또는 鳳凰城)까지는 ‘國境中立地帶’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런 공간적 특성은 조선후기 내내 이어졌다. 민의 이동이 빈번하자, 빈 압록강변의 출입통제를 위해 청에서 군 초소를 세우려고 하였으나 조선에서는 이를 반대하였다. 초소가 생기면 마을이 생기고, 민의 왕래가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는 우려때문이었다. 압록강변을 군인의 감시가 없는 空閑地로 남겨두려고 한 것은, 오히려 민이 경계를 넘는 越境이 단절되지 않는 한 가지 원인으로 제공되었다.
    한편 크고 작은 분쟁, 후금 건국, 정묘호란, 병자호란 등이 발발하였을 때에는 상호간에 이주민이 대거 발생하였다. 조선전기에도 여진인 마을로 이주하는 조선인, 조선인 마을로 이주한 여진인이 많았던 것과 유사한 양상이었다. 청을 피해 들어오는 漢人(明人)이 이주하고, 이주민의 마을이 생겨나기도 하고, 이들과 결혼하는 의주사람도 생겼다. 명확하게 보였던 나라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상황이 의주를 비롯한 변방에서 생겨났다.
    의주는 조선과 明淸을 오가는 使行路에 또한 위치하였다. 燕京을 오고가는 연행사, 조선에 들어오는 勅行이 의주에 체류하면서 의주민은 청의 소식, 정보, 문화를 접할 수 있었다. 또한 사행 구성원으로 참여하여 직접 淸에 가서 異國을 경험할 수도 있었다. 무엇보다 柵門後市에서의 거래를 지속하면서, 의주상인과 淸 상인은 신뢰를 쌓을 수도 있었다.
    의주는 國境이라는 통제성, 邊方의 주변성, 민의 이동과 여행을 통해 이문화의 수용과 변용이 진행되는 지역이었다. 의주민은 異國 경험과 교류를 반복함으로써 자신의 공간을 확장하고, 異國人과 관계를 심화시킬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Uiju in Pyeongan-do province during late Chosun period was the gate of the state; however, the city also has active exchange with foreign parties.
    War and exchange crossed with each other in a city located on a border because the city becomes a battleground during a war but it also becomes a place of goods exchange during peaceful time. In other words, war and exchange co-existed in a city on a border.
    Uiju also had geographical environment in addition to above border city environment, which enabled border-crossing. China and Chosun both clarified the border and strictly regulated border-crossing of people; however, the awareness on the border held by local people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awareness of politicians.
    As more people participated in the traditional delegations to China, people who had the experience on foreign countries increase. In addition, as the exchange and trading on private level became active, the border became on objective to be crossed.
    The people of Uiju lived in a space, where the control of the state was quite strong; however, the location of Uiju was a remote frontier from the capital. The Uiju people living in the frontier of the state weakened the controlling power of the state and demonstrated the dynamics of border-crossing; while accommodating and learning new culture.
    Therefore, Uiju was a city, in which the people became familiar with exchange experience because their border-crossing experience was repeated every ye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로컬리티 인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