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사소송에 있어서 외국인의 법적 지위 (Legal Status of Foreigners in International Civil Proced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6.08
36P 미리보기
민사소송에 있어서 외국인의 법적 지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49권 / 155 ~ 190페이지
    · 저자명 : 이연주

    초록

    외국인의 재판청구권은 국가에 의해 창설되는 기본권으로서의 성질을 가지므로 입법자의구체적인 법형성에 의해 그 허용여부 및 행사범위가 정해지는 것이 원칙이나 대부분의 국가에서 인권의식의 확대로 인해 외국인에게도 일반적으로 재판청구권을 인정하는 것이 추세이다. 외국인의 소송상 능력에 관해서는 전통적으로 법정지주의와 속인주의가 대립하여 왔으나 두 원칙 모두 어느 경우에나 보편타당한 원칙이라 할 수 없으므로 구체적인 법규의 해석에의해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국인의 당사자능력은 권리능력 평등의 원칙에 기해 자연인인 외국인 및 외국법인의 당사자능력을 인정하는데 별 문제가 없고 법인 아닌외국단체만 논의의 실익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법정지법설, 본국소송법설 및 누적적 적용설 등의 학설이 대립하고 있으나 민사소송법 제51조는 내외국인을 불물하고 적용하여야 하며, 동 조항에서 그 밖에 법률에는 국제사법도 포함되는 결과, 국제사법 제16조에 기해 속인법으 로서의 설립준거법이 준거법이 된다. 외국인의 소송능력은 민사소송법 제57조의 해석을 둘 러싸고, 법정지법설과 본국소송법설이 대립하는데, 제51조를 일반규정, 제57조를 특별규정으 로 파악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제51조에 의해 국제사법 제11조 이하의 규정을 매개하면 자 연인에 대해서는 본국법, 법인이나 단체에 대해서는 설립준거법이 준거법이 된다. 외국인의 당사자적격은 당사자적격이 문제되는 사례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당사자능력이나 소송능력과 같이 일응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어렵다. 학설은 대체로 여러 가지 사정을 고려하여 개별적인 사안별로 해결하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논의가 되는 소송유형은 채권자대위소 송, 주주대표소송, 대표당사자소송 등인데, 채권자대위소송에 있어서는 피보전채권의 준거법상 채권자대위소송의 허용여부와 피보전채권의 인정여부를 검토하여 양자가 긍정되는 경우에만 당사자적격을 인정할 것이다. 주주대표소송에 있어서는 소 제기 후 회사에 대한 소송고 지와 회사의 소송참가, 다른 주주들이 별도로 대표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병합의 필요성, 내국 인과 외국인이 공동소송으로 대표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판결의 효력 및 회사의 재심의 소 제기 등 여러 소송법적 문제가 연결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법정지소송법에 따라 당사자적격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 대표당사자소송의 경우는 증권관련집단소송법 제11조가 원 고적격자에 관해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어 동조항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이상 외국인이라고 하여 당사자적격을 부인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외국인의 변론능력은 사법제도의 운영을 위 한 절차상의 문제이므로 법정지법에 의하는 것이 타당한데 우리나라의 경우 독일과 달리 변호사강제주의 채택하고 있지 않아 소송능력이 있으면 변론능력을 인정하므로 사실상 변론능력이 문제될 염려가 없다.

    영어초록

    Because the right of access to courts of Foreigners has the character as a basic human rights made by legislation in a country, the permission and range of the right could be decided by specific legislation. But due to the expand of awareness of human rights, the right is invest with foreigners generally in most country. About capacities of foreigners in international civil procedure, the principle of Lex Fori and personal principle have been in conflict traditionally. This issue should be resolved by concrete interpretation of the related law and regulations, because both principles are not always universal standards. The admissibility to a party of foreigners could be acknowledged by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capacity, if the party is natural and juridical person. Only the case of organization without regal personality have a actual profit of argument. With this issue, three theories, the principle of Lex Fori, personal principle and selective applicable rules have been in confrontation. Being as the article 51 of the korean civil procedure law shall apply to not Korean also foreigners and ‘else code’ in the article include the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under the article 16 of the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the law of establishment is applicable law for the admissibility to a party of foreigners. Concerning the issue of the litigation capacity of foreigners, the principle of Lex Fori and personal principle have been in conflict, as to the matter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article 57 of the korean civil procedure law. On the ground that the article 51 is general provision and the article 57 is specific provision, the law of the domicile is the applicable law for the natural foreign person, the law of establishment is applicable law for juridical person and organization without regal personality, under from the article 11 to 16 of the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Meanwhile there are so many case, regarding the issue of the standing to sue of foreigners, it’s very difficult to suggest certain standard unlike the litigation capacity or the admissibility to a party. Almost the whole of theories propose a solution on a case-by-case basis which is decided after consideration to many circumstances. Especially, subrogation action by creditor, shareholder derivative action and class action are up for discussion. In case of the subrogation action by creditor, after considering of the possibility of the suit form and approval of receivable under the applicable law of plaintiff’s receivables, the standing to sue of foreigners could be recognize in the case that both conditions are acknowledged on that litigation. In a shareholder derivative action, the Lex Fori could be the proper standard for he standing to sue because of so many follow up proceedings like notice of an action, litigation intervention, combined hearing and so on. In case of class action, the article 11 of the korean securities-related class action act regulate about the qualification of plaintiff precisely. The standing to sue in such case could be recognized to any foreigners as long as he feel up those conditions of the article. In regard to the capacity to plead of foreigners, Lex Fori is an appropriate method, because the issue is related with the manage of the judicial system. Korea didn’t adopt ‘the rule of forced state attorney’ unlike germany. Therefore, anyone who have he litigation capacity have the capacity to plead als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