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사소송에서 재판청구권 보장과 개인정보 보호 ─일본의 민사소송에서 가정폭력피해자 주소의 보호방안을 중심으로─ (Promoting the Right to Trial and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in Civil Procedure ─ Focusing on Measures to Protect the Address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in Japanese Civil Litigation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4.12
37P 미리보기
민사소송에서 재판청구권 보장과 개인정보 보호 ─일본의 민사소송에서 가정폭력피해자 주소의 보호방안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76권 / 315 ~ 351페이지
    · 저자명 : 조수혜

    초록

    우리 민사소송법 제163조는 범죄피해자의 경우 등 소송기록 열람 등을 통하여 자신의 주소 등 개인정보가 노출되어 생명·신체에 대한 위해가 우려되어 재판청구권 행사가 위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023. 7. 11. 법률 제19516호로 개정되었다. 이 개정은 개인정보 보호 등을 통하여 생명·신체에 대한 위해가 우려되어 재판청구권 행사를 사실상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재판청구권을 실질적으로 보호하는 것으로 의미가 있다. 다만 위 개정된 조항은 범죄피해자 등 생명·신체에 대한 위해가 우려되는 사람이 원고로 소를 제기한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 생명·신체에 대한 위해가 우려되는 사람이 피고가 된 경우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하여는 입법 공백이 존재한다. 보복 범죄 등 생명·신체에 대한 위해를 줄 염려가 있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현재 법규정으로는 소를 제기하기 위하여 피해자인 피고의 주민등록표 등·초본을 열람·발급하여 주소를 취득하는 것을 제한하지 못한다. 한편, 보복 범죄 등으로부터 피해자를 보호한다는 이유로 피고의 생명·신체에 대한 위해가 우려되는 경우 소제기를 위한 주소 정보의 취득 등을 일률적으로 차단한다면, 피해자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소제기를 불가능하게 하여 범죄 가해자 등의 재판청구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 재판청구권은 누구에게나 보장되는 기본권으로 생명·신체에 대한 위해의 우려가 있는 사람의 재판청구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한편, 생명·신체에 대한 위해를 줄 위험이 있다는 사유로 재판청구권 행사를 일률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지양할 필요가 있다. 생명·신체에 대한 위해의 우려는 주로 주소가 공개된 경우 발생하므로 민사소송에서 소송관계인의 주소 보호방안에 대하여 재판청구권의 보장과 개인정보의 보호, 그리고 재판공개원칙 등과 관련하여 섬세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의 주소정보의 공적 관리 및 민사소송에서 주소정보의 보호 방안에 대한 비교법 연구는 우리에게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다만 일본의 법제도에도 한계가 있으며, 민사소송에서 문제가 되는 개인정보 노출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민사소송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기재하고 당사자에게 제출하게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rticle 163 of the Civil Procedure Act of Korea was amended on July 11, 2023, by Act No. 19516, in order to prevent the deterrence of the right to trial due to concerns that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an individual's address, may be exposed through access to litigation records, particularly in cases involving crime victims. The amendment aims to practically safeguard the right to trial for individuals who are effectively unable to exercise this right due to concerns about potential harm to their life or physical well-being. However, this revised provision assumes the situation where an individual, whose life or physical safety is at risk, is the plaintiff in a lawsuit. There remains a legislative gap regarding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r individuals who are at risk of harm to their life or physical safety and are defendants in such cases. Even if there are concerns that a defendant might face retaliatory crimes or other risks to their life or physical safety, current legal provisions do not prevent the defendant, as a victim, from having their resident registration records accessed and used to obtain their address in order to file a lawsuit. Furthermore, if the law were to uniformly block the acquisition of address information for filing lawsuits in cases where there are concerns for the defendant's life or physical safety, in order to protect the defendant from retaliatory crimes, it could effectively prohibit all lawsuits involving victims and potentially infringe upon the right of criminal perpetrators and others to trial for judicial redress. The right to trial is a fundamental right guaranteed to all individuals. While it is important to ensure the practical protection of the right to trial for individuals whose life or physical safety is at risk, it is also necessary to avoid uniformly restricting the exercise of this right solely due to concerns about potential harm to life or physical well-being. The risk of harm to life or physical safety typically arises when an individual's address is publicly disclosed. Therefore, in civil litigation, there is a need to carefully design protective measures for the addresses of the parties involved, taking into account the balance between safeguarding the right to trial,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adhering to the principle of open trials. In this context, a comparative legal study of Japan’s system of public management of address information and measures to protect address data in civil litigation could offer valuable insights. However, Japan’s legal framework also has limitations, and in order to prevent harm caused by the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in civil lawsuits, it may be necessary to limit the information submitted to only what is essential for the c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