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연방민사소송규칙의 최근 동향과 우리나라 민사소송제도 운영에 주는 시사점 – 최근 4년 간의 미국 연방민사소송규칙 개정 내용을 중심으로 - (Current trends of U. S. Civil Procedure and its Implications to Korean Civil Procedure – Focusing on the Amendments to the Federal Rules of Civil Procedure for the Recent Four Years -)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7.02
41P 미리보기
미국 연방민사소송규칙의 최근 동향과 우리나라 민사소송제도 운영에 주는 시사점 – 최근 4년 간의 미국 연방민사소송규칙 개정 내용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강원법학 / 50권 / 1 ~ 41페이지
    · 저자명 : 이진규

    초록

    미국 연방민사소송규칙은 1938년에 제정된 이래 2017년 1월 현재까지 41회에 걸쳐 개정이 이루어졌는데, 1990년대에 들어서는 거의 매년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활발한 개정 작업의 이면에는 법원 산하의 상설기관인 사법 위원회 소속의 민사법 자문 위원회의 적극적인 연구 활동 및 의견수렴을 통해 민사소송실무를 충실히 반영하려는 노력이 깔려 있다.
    최근의 개정인 2013년부터 2016년까지의 연방민사소송규칙의 개정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2013년 개정에서는 소환장 관련 규정을 정비하였는데, 소환장 발급 법원을 일원화하고; 송달의 지역적 제한을 삭제하였으며; 소환장 상의 이행 요구지의 지역적 한계를 설정하였고; 소환장과 관련된 다툼에 대한 신청을 심사할 법원으로 소송이 계속되고 있는 법원을 추가하여 소환장 관련하여 그동안 존재해왔던 실무상 복잡성을 줄이고자 하였다. 2014년에는 규정 체계상 불일치하던 부분을 수정하는 소폭 개정이 이루어졌다. 최근 들어 가장 광범위한 개정이 이루어진 2015년에는 민사소송의 목적인 공정하고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소송제도를 운영해야 할 주체에 당사자를 추가하여 소송제도 남용에 대한 경계를 표현했으며; 송달기간을 축소하여 소송 초기의 절차진행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증거개시 일정 관련 회의 및 명령제도 또한 정비하여 변호사들 사이의 실질적인 대화에 의한 절차상 다툼의 해결 및 분쟁의 종국적 해결을 꾀하였으며 일정 관련 명령 발급기간을 줄여서 보다 신속한 절차 진행을 모색하였다. 가장 중요한 개정이 이루어진 증거개시 관련 개정 내용으로는 증거개시의 범위를 정하는 기준으로 비례성이라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으며; 증거개시 요청에 대한 답변과 반대가 구체적일 것을 요구했으며; 전자증거 보존 의무 위반에 대한 제재를 새롭게 규정하여 실효성 있는 증거개시의 보장과 증거개시 제도 남용이라는 상충될 수 있는 두 가지 목표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려는 노력을 하였다. 가장 최근의 개정인 2016년의 개정에서는 전자송달의 경우 인정되는 추가 기간을 삭제하여 보다 빠른 절차진행을 모색하였다.
    이와 같은 미국 연방민사소송규칙의 최근 개정 내용들이 우리 민사소송법 제도 운영에 주는 시사점으로는 신속한 재판을 위한 다양한 제도적 고민의 필요성; 효율적인 재판 운영 및 분쟁해결을 위해 판사와 변호사들 사이의 대화의 중요성; 증거개시의 충실한 보장과 증거개시 남용 방지라는 두 가지 가치를 모두 고려한 한국형 증거개시 제도 수립의 필요성; 제도 개선 논의에 대한 기록 등을 보다 폭 넓게 공유하는 것을 통해 민사소송 실무 및 시민들의 의견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Federal Rules of Civil Procedure (“FRCP”) has been amended forty one times, as of January 2017, since its enactment in 1938. In 1990s, the Rules have been amended in almost every year. Active and ceaseless efforts of the Judicial Conference’s Advisory Committee on Civil Rules to reflect experience of the practitioners and opinions of wide range of people made such diligent improvements of FRCP possible.
    2013 Amendment to the FRCP changed subpoena practices by unifying the court that has power to issue subpoena; by deleting regional limits of the area where service of subpoena can be made; and by adding the court where the litigation is pending to the courts that can review motions related to subpoena. By doing so, it is aimed to clarify and reduce existing complexities of subpoena practice. In 2014, only one rule of the FRCP was amended to correct existing incoherency among the rules. 2015 Amendment to the FRCP was deemed as the most significant change of the Rule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the amended Rule 1, parties to a litigation were obliged to litigate in a way respecting and cooperating purposes of civil procedure that include the just, speedy, and inexpensive litigation. The Amendment pursued speedy process by reducing period for service. With respect to discovery scheduling order and scheduling conference, drafters of the Amendment aimed at facilitating meaningful communication between the lawyers and earlier dispute resolution by such conversations; and reduced period for which court has to issue scheduling order in order to expedite the litigation process. Changes of the rules on discovery practice was the most significant development. Amended rules introduced a new proportionality test as a standard foe determining scope of discovery; required a responding party to be specific; and rewrote sanctions for failure of preservation of electronically stored information. Such changes can be understood as an effort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two conflicting values, guaranteeing broad and liberal discovery and preventing discovery abuse. The most recent Amendment, 2016 Amendment to the FRCP deleted 3 day additional period foe the case where e-service was used; and by doing so tried to facilitate speedy litigation process.
    It would be implications of the recent developments of the FRCP for actors in Korean civil litigation community that those actors should contemplate and consider various procedural tools for facilitating speedy litigation process; conference between the lawyers should be used more actively for efficient dispute resolution; that “Korean Discovery” which is being discussed and prepared by Korean Supreme Court should take ways to reflect both guaranteeing effective discovery and preventing discovery abuse into account; and that experiences of the practitioners and opinions of citizen should be considered more seriously in the process of civil procedure reform by sharing records and information of discussions for such re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원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