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 원주민의 영성신학 연구 (The Study of American Native Theology of Spirituality: 'The Festival of Sun Danc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1.06
23P 미리보기
미국 원주민의 영성신학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53호 / 1 ~ 23페이지
    · 저자명 : 신은희

    초록

    이 논문은 미국 원주민의 태양춤에 나타난 대신령 개념을 중심으로 토착화된 원주민의 영성신학을 탐구하는데 있다. 태양춤 축제는 대표적인 주극 종교로서 그들이 더불어 살아 온 자연 환경과 생태적 세계관과 깊은 연관을 맺으며 발전한 토속 전통이다. 태양춤은 북아메리카 평원 인디언 중 수어족으로 알려진 다코다 부족이 주축이 되어 발전해왔다. 원주민들은 매년 7월 초순 하지가 되면 대초원의 중심부에서 태양춤 축제를 거행한다. 이 축제의 목적은 초월적인 영적 힘과 부족의 번영을 위한 전통 예식으로 ‘비전탐구’나 ‘육신공양’과 같은 제례도 겸비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태양춤은 1881년부터 1954년까지 ‘야만전통’으로 규정되어 불법화되고 기독교 선교 교육으로 인해 퇴색되기도 한다. 태양춤은 백인중심의 기독교 사관에 의거하여 가장 비문명화된 종교전통으로 오인되어 소멸의 위기에 처하기도 했던 억압된 전통이기도 하다. 이러한 굴절된 역사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원주민의 태양춤 전통은 생태적 관심과 녹색신학 운동에 힘입어 자연만물과의 조화와 공존을 추구하는 실천적 대안 신학으로 주목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주민 영성신학의 논의에 필요한 ‘대신령의 영성체험’을 중심으로 태양춤의 상징과 저항의 역사, 그리고 기독교와의 만남을 통한 문화적 변용 사례들을 논의해 보도록 한다. 태양춤에 나타난 원주민 영성 신학의 특징으로 종교문화의 이원체계 현상, 아픔과 수난의 영성, 몸 미학적 영성, 생태 신학적 영성을 토착화 신학 관점에서 해석 한다. 이러한 해석학적 과정을 통하여 그동안 백인의 지배문화가 명명한 ‘야만적인 소수문화’의 원주민 영성이 현대의 과도한 물질문명과 환경파괴의 딜레마 속에서 어떻게 다시금 부활하여 대안적 녹색신학의 영성으로 공헌할 수 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a spirituality of the American Native indigenous theology that combines with the traditional festival of Sun Dance. The term 'spirituality' is in this paper meant to be something more than simply practicing a particular 'religion.' The American Native spirituality is a pervasive quality of life that develops out of authentic participation in values and real life practices in connecting members of community with the deepest foundations of personal affirmation and identity. The spirituality of Sun Dance particularly is inseparable from any sphere of the Native people's life with authentic commitment, empowerment, and genuineness of shared concern.
    The Sun Dance is one of the most colorful Indian rituals celebrated during the summer time. The ceremony was originally a cultural mutation within the Indian tradition. It emerged sometime between 1750-1800 in the Plains area among the Arapahoe, Cheyenne, and Dakoda. The Sun Dance is how American Native people prays. They do not just pray with their voices, but with their whole bodies as well. Dance for them is just a metaphor for life itself. Later, the dance festival, with a influx of Western Christianity, comes to be a major source of indigenous theology of the American Native spirituality. Unfortunately, the Christianity at the initial stage was being introduced with internal pressures of racism and cultural colonialism that brought into the dehumanizing effects. Although such colonial discourses can be manifested in many negative ways, the American Native people can also lead to resistance and healing spirituality. The Sun Dance is specifically part of this landscape of resistance because it allows for the restoring of an individual and community identity. The loss of identity that followed from experience of oppression is repaired as the community come together in their effort to heal, in their renewal of identity.
    This paper discusses the original goals and forms of the Sun Dance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Great-Spirit(Wakan Tanka) which has been a Native religious concept in many traditions for a century or more and is a well-established theological and pneumatological understanding. The basic rationale here is that the American Native people do not affirm that Western theology cannot be supra-regional and thus directly accessible for persons from other cultures. As Schillebeeckk points out, the western Christianity is merely one of a series of 'local theologies.' They attempt to add a new form of local theology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of the Great-Spirit. The Spirit that translated as the mysterious, life-giving spirit, and creative power, functions in a way of mitakuye oyasin meaning inter-relatedness, balance, and mutual respect of God, nature, and humans. The core features of spirituality are the 'dual system' of indigenous tradition and Western Christianity, Native version of pain and suffering, and 'somaesthetic' spirituality, and 'ecotopia' perspective. The American Native indigenous theology of spirituality with the Sun dance can be a great gift to Amer-Europeans understanding of creation at this time of world ecological and global cri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