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방자치단체 민주시민교육의 의의 및 법정책적 제언 (The Significance and Legal Policy Suggestion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by Local Government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0.12
26P 미리보기
지방자치단체 민주시민교육의 의의 및 법정책적 제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과정책연구 / 20권 / 4호 / 309 ~ 334페이지
    · 저자명 : 최성환

    초록

    오늘날 우리나라의 민주시민교육은 선거연수원 및 시·도교육청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 우리나라의 민주시민교육이 지금보다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민주시민교육에서의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가 나름의 계획 하에 지역 사회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의 민주시민교육은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는 실정인바, 이에 기존의 민주시민교육과는 별개로 지방자치단체의 민주시민교육이 가지는 의의 및 앞으로의 정책방향 등을 정리해 볼 필요가 있다. 민주시민교육의 주체성 논의는 배제와 독점의 관점이 아닌 병립과 보완의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지방자치단체의 민주시민교육은 기존의 민주시민교육이 가지는 교육대상 및 교육내용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고, 현행 실정법 규정 및 제 원칙에도 부합한다. 또한, 예산, 인력, 조직 등을 갖춘 종합행정의 수행자인 지방자치단체는 타 주체에 비해 보다 수월하게 민주시민교육정책을 추진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자치단체의 민주시민교육은 정치적 중립성, 전문성과 다양성, 그리고 개방성 등을 정책의 핵심 가치로 삼아야 하며, 민주시민교육 지원 법령의 입법 촉구 및 관련 자치법규 마련 등의 법제화 작업, 기초와 광역지방자치단체 간 민주시민교육 관련 사무의 구분 설정 및 타 지방자치단체와 차별화되는 교육 콘텐츠의 구성·운영, 전문기관 인증제 및 전문인력 양성시스템 마련과 함께 별도의 전담 법인 신설 등 민주시민교육 관련 인프라의 구축, 그리고 주민 인식조사의 실시를 통한 수요자 맞춤형 교육계획 등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정책들을 수립·시행함으로써 국내 민주시민교육의 중요한 한 축으로 기능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oday,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Korea is being developed mainly at the Korean Civic Education Institute for Democracy(KOCEI) and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However, in order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Korea to become more activ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role theory of local governments in democratic civic education. Although each local government is currently conducting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the local community with its own plans,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by local governments is not receiving much at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ignifican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future policy directions. The discussion on the subjectivity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needs to be approached from the viewpoint of parallelism and complementation, not from the viewpoint of exclusion and monopoly.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by local governments can be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educational subject and educational content of the existing democratic civic education, and it is also in line with the current regulations and principles of positive laws.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which are the performers of comprehensive administration with budget, manpower, and organizations, can promote democratic civic education policies more easily than other subjects.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by local governments, political neutrality, expertise, diversity, and openness should be the core values of the policy. The main policies for revitalizing democratic civic education by local governments include urging to legislate the democratic civic education support laws and legislating related municipal ordinances and regulations. It is also important to set the division of affairs related to democratic civic education between basic and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and to organize and operate educational content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local governments. The establishment of an infrastructure related to democratic civic education,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separate dedicated corporation, along with a certific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institutions and a system for nurturing professionals, is also a major policy for revitalizing democratic civic education by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it should function as an important axis of domestic democratic civic education by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specific policies centering on education plans tailored to consumer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resident perception surve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