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대 서아시아의 팬데믹 -제1차 세계화 시대의 이집트 문명을 중심으로- (Pandemic of Ancient West Asia: Focusing on the Ancient Egyptian Civilization during the “First Globalizati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2.03
36P 미리보기
고대 서아시아의 팬데믹 -제1차 세계화 시대의 이집트 문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사론 / 152호 / 41 ~ 76페이지
    · 저자명 : 유성환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고대 이집트의 역사시기, 특히 신왕국 시대(기원전 1550-1069년) 와 당시 이집트를 비롯한 지중해 전역이 국제화되던 “제1차 세계화 시기”(기원전1500-1200년)에 유행했던 감염병의 종류 및 전파⋅확산의 양상을 접근 가능한 문헌학적⋅고고학적 증거를 통해 규명하는 데 있다.
    단편적인 문헌학적 언급이나 고고학적 정황증거를 통해서는 고대 이집트 시대의 감염병과 관련한 확정적 정보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이집트인들이 우주의 총체적 질서에 반하는 역사적 사건을 있는 그대로 기록하고 장애나 질병 등을 조형예술을 통해 정확히 표현하는 것에 소극적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염병과 관련하여 가장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분야는 미라에 대한 의학적 검시라 할 수 있다. 첨단 연구방법을 통한 왕족 및 일반인의 미라 검시를 통하여 고대 이집트인들이 주혈흡충ㆍ촌충ㆍ선모충 등 다양한 기생충과 결핵ㆍ소아마비ㆍ천연두ㆍ말라리아ㆍ흑사병 등과 같은 감염병에 노출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기원전 1500-1200년은 지중해와 북아프리카, 메소포타미아 전역에 걸쳐 국제화가진행되었다. 국제화에 따라 감염병이 이집트ㆍ시리아-팔레스타인ㆍ아나톨리아 전역으로 확산되었다. 감염병의 국제적 확산, 즉 범유행은 당시 강대국과 약소국 간발신ㆍ수신되었던 외교서신을 통해 그 실체와 규모를 확인하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이집트의 왕궁 터에서 발견된 소위 「아마르나 외교서신」에 따르면 시리아-팔레스타인에서 발병한 감염병이 이집트와 히타이트로 전파되었으며 특히 히타이트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아마르나 외교서신」에 언급된 감염병에 대해서는 말라리아ㆍ흑사병ㆍ야토병 등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잠복기 및 증상 등을 고려할 때 이들 후보군에 속한 질병으로는 문헌학적 증거에 묘사된 질병의 확산 양상을 설명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감염병의 존재는 확정할 수 있으나 그 정체는 여전히 규명되지 못한 상태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essay delves into infectious diseases that broke out and spread during the Pharaonic period - especially, during the New Kingdom Period (1550-1069 BCE) - and during the First Globalization of the ancient West Asia (1500-1200 BCE), when the entire Mediterranean region was unified into a single international trade and diplomatic network based on archaeological and philological evidence available to us.
    Fragmentary statements from ancient Egyptian texts and some circumstantial evidence suggested by archaeological fieldwork and excavations can provide only a limited view on the epidemic during the Pharaonic period due largely to the fact that ancient Egyptians remained reluctant to explicitly and objectively record in texts or express in artworks ungraceful events such as scandals, military defeats, unexpected disasters and outbreaks of infectious diseases, which appeared to violate the cosmic order. Therefore, the most reliable source to study infectious diseases in the ancient world comes from the modern medical examinations of mummies.
    The medial investigations of mummies have revealed that ancient Egyptians were hosts to various parasites such as tapeworm, schistosome and trichina and largely exposed to common infectious diseases including tuberculosis, small pox, malaria and plague.
    In the period of 1500-1200 BCE, the entire Mediterranean region, North Africa including Egypt and Mesopotamia were integrated into a single international network of trade and diplomacy, which made it possible for infectious diseases to freely spread across Egypt, Levant and Anatolia. This international prevalence of highly infectious diseases - namely, a pandemic - can be traced through diplomatic letters exchanged among regional empires and their vassal city states. Based on the texts found in a corpus of the so-called “Amarna Letters,” it is assumed that an infectious disease that first broke out in Syria-Palestine spread to Egypt and the Hittite Empire, 76 서양사론 제 152 호respectively.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disease, three infectious diseases - i.e., malaria, plague and rabbit fever - were proposed as a possible candidate but there is no decisive evidence to pinpoint the culprit for no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