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념과 전염: 팬데믹 시대의 ‘종교적 인간’에 대한 계보학적 고찰 (Commitment and Contag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0.10
32P 미리보기
전념과 전염: 팬데믹 시대의 ‘종교적 인간’에 대한 계보학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82호 / 45 ~ 76페이지
    · 저자명 : 조효원

    초록

    코로나-19로 인해 빚어진 팬데믹 시대에 기독교는 다시금 화급한 정치-신학적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신천지 이단과 전광훈 목사의 광화문 집회는 ‘종교적 인간’으로서의 기독교인들에 대한 거센 비판을 불러 일으켰다. 본고는 한 세기 전프로테스탄트 신학자 칼 바르트가 제시한 ‘종교적 인간’ 비판에 대한 계보학적보충 설명을 제시하는 데 목표를 둔다. 근대 세계의 준-제도로 자리 잡은 관용은유대인을 향한 기독교의 뿌리 깊은 증오를 결코 잠재우지 못한다. 기독교인들에게, 하느님이 선택하신 유대 민족은 구원의 확실성에 다다르기 위해서 반드시거쳐야 할 관문 같은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 관문을 통과하는 일이 가일층 복잡해진 탓은 일차적으로 사도 바울에게 있다. 그가 기독교라는 건물을 세운 것은영지주의라는 토대 위에서였기 때문이다. 영지주의란 구약 성경의 세계와 그것을만든 신을 일체 부정하는 사상이며, 따라서 영지주의 문제는 유대인의 형상과함께 기독교에게 가장 극복하기 어려운 난제였고 이는 지금도 마찬가지다. 바르트는 사도 바울의 영지주의에서 독소를 제거한 다음 그 기반 위에서 기독교를(재)창건하려 했으며, 반대로 그의 제자였던 유대 정치신학자 야콥 타우베스는바울의 영지주의를 더욱 급진적으로 확산시키고자 했다. 무엇보다, 두 사람의 시도는 기독교뿐 아니라 모든 종교에 내재한 근본적인 문제, 즉 정전에 대한 주해와 자해의 분리 불가능한 착종 관계에 대한 성찰로 우리를 이끈다. 바로 이 문제가 ‘종교적 인간’을 배태한 모태이며, 이것은 역사의 끝까지 존속할 것이다. 팬데믹 사태가 새삼 깨닫게 해준 것은 ‘종교적 인간’의 소멸 불가능성이라는 진실이다.

    영어초록

    Triggered by COVID-19, the whole world is now facing a grave crisis which is unprecedented in modern times. What’s more, the pandemic has rendered resurgent Christianity as a politico-theological question. This is specifically the case in South Korea where the Shincheonji Church of Jesus and the pastor Jeon Kwang-hoon came to be seen as the accelerator of the pandemic. They are, as it were, a paragon of ‘homo religiosus.’ Motivated by the status quo, this article attempts to give a genealogical account of the question of ‘homo religiosus’ against whose maleficence the renowned Protestant theologian Karl Barth has long before raised objection. It seems that as a semi-institution within modern society the praxis of tolerance or toleration has already reached its expiration date because today we can no longer consider it effective under any circumstances.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Christian stance on the Jewish people, it is almost impossible to expect that Christians make up with the latter. For the Jewish nation is the People of God, but this is exactly what the Christians wants to be.
    The complexity by which Christianity cannot but be engulfed when they deal with the Jewish people traces back to the thoughts of Saint Paul. This self-styled apostle of Jesus Christ was a Jew, and as such he tried to abrogate the Law of Moses on the basis of Gnosticism that would since then continue to ambush in Christianity. Barth wanted to eliminate toxins from Paul’s Gnosticism and thereupon set the Protestant Church on her feet. Contrariwise, Jacob Taubes, Barth’s one-time disciple and an academic maverick, was eager to propagate and universalize Paul’s Gnostic religion which, according to Taubes, has (almost) nothing to do with Christendom. Whereas they tried to figure out what Paul really wanted to say, Barth and Taubes nonetheless did not─ purposely or not─take note of the viable connection between Paul’s Epistle to the Romans and Ecclesiastes. Their bizarre omission leads us to ponder upon a fundamental issue that lies at the bottom of all religions and convictions: the entanglement of exegesis and eisegesis. Given its deep-rootedness, generality, and permanence, it stands to reason that ‘homo religiosus’ whose intrepidity makes eisegesis thrive would become extinct not until the end of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