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선의 역사가들 -6 · 25전쟁기 미 육군 군사지대의 한국전사 편찬 활동 (Historians on the Frontline: The Activity of US Army Military History Detachment during the Korean War)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3.12
33P 미리보기
전선의 역사가들 -6 · 25전쟁기 미 육군 군사지대의 한국전사 편찬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군사 / 89호 / 233 ~ 265페이지
    · 저자명 : 정용욱

    초록

    이 글은 미 육군의 한국전사 편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군사지대의 조직과 활동을 새로 발굴하고 소개했다. 이 글을 통해서 여태까지 해명되지 않았던 군사지대의 편성에서부터 종료에 이르는 조직 변천, 활동 전반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이것은 동시에 미 육군 한국전사 편사 활동의 중요한 고리 중 하나를 해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950년 10월에서 11월 사이에 한국전선에 파견될 8개의 군사지대가 미국에서 창설되었다. 이들 지대는 도쿄를 거쳐서 1951년 3월에서 7월 사이에 한국에 도착했다. 전선에 투입된 이들 지대들은 초기에는 주로 전투경험을 역사기록으로 만드는 사후증언과 사후보고서 작성에 치중했다. 그리고 1951년 가을부터는 소부대 활동 연구와 연구논문 작성, 그리고 전투사 서술도 지대의 주요한 임무가 되었다. 이들 지대는 1953년 1월에는 하나로 통합되어 8086부대가 되었다. 이 무렵부터 미 육군의 한국전사의 일부가 될 각종 특별과제의 수행과 연구논문 집필이 이들의 주요한 임무가 되었다.
    미 육군의 한국전사는 크게 1부 전쟁사, 2부 작전사, 3부 특별과제, 4부 소부대의 전투 활동, 5부 소부대의 기술․지원 작전의 체계를 갖추었고, 그 가운데 3부 특별과제를 구성할 특수주제에 관한 연구논문 집필과 4․5부 소부대 활동 연구에 군사지대 군사관들이 관계했다. 하지만 한국전사 편찬과 관련해서 군사지대 활동의 중요성은 소속 군사관들의 특수주제 관련 논문 집필이나 소부대 활동 연구가 아니라 이들이 각종 자료의 생산과 수집, 정리에 종사함으로써 한국전사 편찬의 기초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미 육군의 한국전사 편찬에서 가장 중요한 자료를 꼽으라면 각종 정책 문서와 전문들 외에 극동군․유엔군사령부에서부터 미 8군, 군단, 사단 등 각 지휘․통제 단위가 생산한 지휘보고서, 전투 현장에서 직접 작전활동을 벌였던 각종 전술부대와 지원부대의 사후보고서와 사후증언을 들 수 있다. 그 가운데 사후보고서와 사후증언은 전적으로 군사지대의 활동에 의해 생산되고 수집되었고, 전선 차원에서 집필할 수 있는 특별과제들도 대부분 군사지대가 집필했다.
    워싱턴의 군사감실이 한국전사 편찬 활동을 전반적으로 지휘 감독하고 공식 ‘전쟁사’를 편찬하는 위치에 있었다면, 극동군․유엔군사령부 군사과와 미 8군 사령부 군사과는 지휘보고서 생산을 통해서 전구(戰區) 차원의 전략과 지휘, 작전 통솔, 실제 작전 수행 정형과 전황을 기록하고, 이에 입각해서 ‘작전사’ 편찬 작업을 뒷받침했다. 그리고 군사지대는 야전에서 수행된 각종 작전 활동을 기록하거나 그것들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나아가 그러한 기초 자료들을 정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비유하자면 한국전사 편찬의 골격을 제공한 것이 워싱턴의 군사감실이었고, 그것에 살을 붙인 것이 극동군․유엔군사령부 군사과와 극동육군사령부 군사과였다면, 그러한 미 육군 차원의 한국전사 편찬에 혈액을 공급한 것이 다름 아닌 군사지대였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ntroduces the newly discovered organization and projects of Military History Detachment(MHD), which had been to the fore of compilation of History of the Korean war of the US army.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comprehend not only the formation and the completion of MHD's mission but also the transition and overall projects, which could not be clarified up to this date. Moreover the research explains one of the important links of the Korean War history project.
    Eight MHDs were formed in the United States between October and November of 1950, which would be dispatched to Korean front. The MHDs arrived in South Korea between March and July 1951 via Tokyo, Japan. In early months of the war, the eight MHDs concentrated on writing After Action Interviews and After Action Reports and later turned them into historical records on the basis of battle experiences. By December 1951, small unit activities, combat narratives, and monographs became another crucial task. These eight MHDs amalgamated into one in January 1953 and was named the 8086 army unit. By that time, the most important task for the 8086 unit was the writing research papers later to be part of history of the Korean War of the US Army.
    ‘History of the Korean War’ of the US Army had five parts; war history, history of operations, special tasks, combat narratives, small unit activities and operations of service units. Among those parts, military historians took part in the writing of monographs concerning special subjects of part three and research of part four and five. But the importance of MHD activities in regard to compilation of history of the Korean War is not that military historians wrote thesis on special task or studied small unit but that they provided the foundation of compilation of history of the Korean War by producing, collecting and arranging various data. From all sorts of policy document and statements to reports done by FEC/UNC, Eighth Army, corps, and divisions, finally after action interviews and after action reports are the most important data of compilation of history of the Korean War of the US Army. Among those, after action interviews and after action reports were wholly produced and collected through MHD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군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