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櫟翁稗說』에 나타난 滑稽의 유형화와 미적 특징 연구 (A Study on the Typification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Humor滑稽’ in Yeogong Paeseol櫟翁稗說)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3.10
28P 미리보기
『櫟翁稗說』에 나타난 滑稽의 유형화와 미적 특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66권 / 171 ~ 198페이지
    · 저자명 : 장풍석

    초록

    고려 후기에 저술된 사대부 필기류인 『櫟翁稗說』(前集二) 뒷부분에는 골계적 성격을 띤 18편의 글이 연속적으로 실려 있다. 본고는 이 18편의 글과 ‘滑稽’라는 미적 범주와의 역학 관계에 착안한 것으로 한·중 골계문학에 있어 그 독보적인 위상을 재조명하였다.
    본고는 이 일련의 글을 이제현이 편찬 의식에 의해 ‘골계’를 다른 체재와 구별하고자 하나의 유형으로 분류한 결과로 보았다. 고려시대 골계적인 글을 저술하는 것은 宋代 시화를 비롯한 필기류가 성행한 분위기에서 진행되었다. 그러나 宋代와 고려시대 필기류에서는 우스운 글을 산재하게 싣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櫟翁稗說』은 그런 체재를 일신하여 사대부들이 ‘閑談’하는 수많은 소재에서 ‘골계’를 하나의 유형으로 자아낸다는 점에서 前代의 필기류와 차별성을 보인다.
    미적인 측면에서 사대부의 일상적인 소재를 저변에 둔 『櫟翁稗說』은 대상을 신랄하게 풍자하여 사나운 골계미를 분출하지 않았고, 오히려 웃음을 유발할 수 있는 이야기의 흥미성을 부각시킴으로써 이른바 ‘부드러운 골계미’를 드러냈다. 이러한 골계미의 지향은 기본적으로 ‘破閑’의 목적에 기반하고 있으나, 그 이면에는 작가의 사대부 계층에 대한 지극한 관심과 자부심이 내재해 있다. 사계층을 대상으로 그들의 주변에 벌어진 흥미롭고 익살스러운 이야기를 담론하고 문학으로 가공한다는 것은 당시 문인지식인층의 일종의 심미적 취향이었다. 이러한 성향을 돋보이게 하고자 글에서 여러 敍事적 요소와 修辭적 기법을 활용하였다. 인물 중심의 기록으로서의 『櫟翁稗說』은 여러 골계적인 캐릭터를 형상화하였다. 서사적인 측면에서 이 18편의 글에서 ①인물이 하는 말 ②인물의 몸짓과 행동 ③인물이 처한 상황 등을 묘사하여 인물의 골계성과 이야기의 골계미를 빚어내고 있다. 다른 한편, 言語遊戱와 같은 간단한 언어적 장치 외에 문장의 멋을 살리도록 한시의 삽입은 중요한 수사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latter part of Yeogong Paeseol, a collection of Scholar-Officials士大夫’ writings written in the late Goryeo Dynasty, contains 18 humorous texts. This paper focuses on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se 18 texts and the aesthetic category of ‘Humor’ and re-examines its unique status in Korean and Chinese humor literature.
    This study views this series of texts as the result of Yi Je-hyeon李齊賢’s writing consciousness of classifying ‘humor’ into one type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types. The writing of humorous texts during the Goryeo Dynasty took place in an atmosphere where the ‘note works筆記類’, including poetry criticism詩話, was prevalent during the Song Dynasty. However, it was common to include humorous texts scattered throughout the writings of the Song Dynasty and Goryeo Dynasty. Yeogong Paeseol is different from the style of the previous period in that it renews that system and creates ‘humor’ as a type from the numerous materials that Scholar-Officials ‘discuss閑談’.
    On the one hand,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Yeogong Paeseol, which is based on the daily subject matter of the Scholar-Officials, did not show ‘Wild Humorous Aesthetics’ by harshly satirizing the subject, but rather emphasized the so-called ‘Gentle Humorous Aesthetics’ by highlighting the interest of the story that could cause laughter. This is basically based on the purpose of ‘discuss’, but behind it is the author’s interest in and pride in the Scholar-Officials class. Discussing interesting and humorous stories that happened around them and processing them into literature was a kind of aesthetic preference of Scholar-Officials at the time. On the other hand, to highlight this aesthetic preference, various narrative elements and rhetorical techniques were utilized in the writing. Yeogong Paeseol, as a character-centered record, embodied several humorous characters. In terms of narrative, these 18 texts describe what the character says and the character’s gestures and actions, as well as the situation the character is in. Besides, in addition to simple linguistic devices such as ‘word play言語遊戱’, the insertion of Chinese poetry漢詩 to enhance the style of sentences acts as an important rhetorical techniq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