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구근대미학의 수용에서 ‘미적범주론’의 양상과 의미 (On the Aspects of Aesthetic Category in the Acceptance of Modern Western Aesthetics. -Focusing on the Early Aesthetics Thought in South Korea and Japan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6.05
22P 미리보기
서구근대미학의 수용에서 ‘미적범주론’의 양상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31호 / 181 ~ 202페이지
    · 저자명 : 신나경

    초록

    이 연구는 일본에서 미학이 태동되던 시기에 서구근대미학이 어떻게 수용되었으며, 특히 ‘미적범주론’의 양상과 의미는 어떤 것이었는가를 고찰하고, 그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기존의 한국미학계에서 많이 논의되어 왔던 '미적범주론'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미적 범주란 사유 혹은 존재의 근본형식을 의미하는 철학상의 범주개념을 미학에 적용한 것이다. 일본은 학문으로서의 미학을 동양에서 가장 빨리 받아들였다. 그 때문에 아시아에서 가장 빨리 서양미학을 도입하여 한국과 중국 등 다른 나라로 전파했다. 그리고 서양미학을 ‘미학’으로 명명하여 스스로 미와 미감을 중요한 연구대상으로 전환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일본은 서양미학을 도입했을 때, 자기 문화의 전통과 결합시키는 것에 주력하여, 현대 일본미학의 정초가 시작되었다. 9세기말에 동경대학에 미학강좌가 개설된 이래 ‘일본미학’ 정립의 추세는 고유한 전통개념에 의존하는 방식을 취했다. 예를 들면, 오니시 요시노리(大西克禮 )는 유현, 비애, 풍아와 같은 일본의 전통적 개념을 미적 범주로 성립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이처럼 19세기 말 일본개화기의 새로운 사상 수용과 더불어 유입된 미학이 일본을 통해서 우리나라에 유입되게 된 것은 바로 일본인의 식민지 문화정책의 일환에 의해서였다. 그 때문에 한국에서의 미학 연구는 일정한 한계를 안고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기존의 한국미학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어 온 방법론 역시 미적범주론이라고 볼 수 있다. 고유섭의 ‘무기교의 기교’나, 조지훈의 ‘멋의 연구’등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미학의 발전 추세는 글로벌화되고 있으며, 지구상의 인류가 점점 더 빈번하게 교류함에 따라 세계문화도 아이덴터티의 상호의식이나 상호이해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화가 각 민족의 일정한 특색이나 범주를 무화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현실에서 발견되는 미의식은 문화적 편차를 포함하고 있으며, 어떤 문화도 미적체험을 특정짓는 유형적 개념을 가지기 때문이다. 미래의 예술이나 미학은 결국 각 민족의 특색을 유지하면서 공통의 일치점을 향해 나아갈 것이며, 그런 의미에서 미적범주론은 계속 유의미한 연구방법론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Japan adopted the Western Modern Aesthetics in its embryonic stage of Aesthetics, to study about the aspects and meanings of Aesthetic Category especially, and based on th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esthetic Categories which was mostly discussed in current Korean Aesthetic.
    Japan adopted Aesthetics as an academic concept in the East in the first. Therefore, Japan spread Western Aesthetic to other countries like Korea and China. In addition, Japan named Western Aesthetics as “Aesthetics” and transformed Beauty and Aesthetic Sense to the important object for study. As a result, when Japan adopted Western Aesthetic, it became the beginning of the modern Japanese Aesthetics as focusing on combination with its traditional culture. Since the end of 19th century, when Tokyo University opened Aesthetic lecture, the position of ‘Japanese Aesthetics’ was defending on their traditional concept. For example, Onishi Yoshinori tried to make Aesthetic Category of traditional concept like Yugen, Grief, and Huga. On the other hand, Aesthetics, which was introduced in the Japanese enlightenment period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as flowed into Korea by colonial cultural policy of Japan. Therefore, we think Aesthetic study in Korea has kept some limitations.
    Korean Aesthetics also is mostly studied by Aesthetic Categories. ‘Artless art’ by Go Yuseop and ‘Study on Mot’ by Jo Ji-hun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esthetics development trend in the world is being globalized. And global culture is being developed to mutual awareness and mutual understanding as people in the world are interacting more often. However, this doesn’t mean that we can neglect the certain characteristics and categories of each ethnic group because the aesthetic sense which we can find in the reality includes cultural variation and every culture keeps visible concept which categorizes the aesthetic experience. I think Aesthetic Categories is one of the meaningful research methodologies in that Future art and Aesthetic will develop to the common poi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