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의 등교 소요시간 및 형태, 주거환경, 보존제첨가 식음료 섭취 등에 따른 요중 마뇨산과 뮤콘산 농도 (Urinary Hippuric Acid and trans,trans-Muconic Acid Levels According to Commuting Mode and Duratio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ntake of Preservative-Added Foods and Beverages in University Students)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2.03
11P 미리보기
대학생의 등교 소요시간 및 형태, 주거환경, 보존제첨가 식음료 섭취 등에 따른 요중 마뇨산과 뮤콘산 농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직업환경의학회
    · 수록지 정보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24권 / 1호 / 61 ~ 71페이지
    · 저자명 : 김경미, 김헌, 엄상용, 임동혁, 문선인, 김용대

    초록

    목적: 자동차 배기가스에는 소량의 벤젠과 톨루엔이 함유되어 있어서, 일반 인구집단도 이를 흡입하고 있다. 벤젠과 톨루엔은 체내에서 대사되어, 각각 마뇨산과 뮤콘산형태로 소변으로 배설된다. 또, 음식물 보존제로 사용되는 안식향산과 소르브산은 각각 마뇨산과 뮤콘산으로 대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적으로 벤젠과 톨루엔에노출되지 않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요중 마뇨산과 뮤콘산농도를 측정하고, 이것과, 통학방법과 시간, 주거환경,보존제가 첨가된 식음료 섭취 등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기위한 것이다.
    방법: 직업적으로 벤젠이나 톨루엔에 노출되지 않은21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소변을 수집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흡연여부, 주거와 교통환경,통학방법 및 소요시간, 최근 섭취한 식음료 등에 대하여조사를 실시하였다. 요중 마뇨산과 뮤콘산 농도를 측정하여 요중 creatinine 농도로 보정하고 그 농도를 흡연여부, 주거와 교통환경, 통학방법 및 소요시간, 최근 식음료 섭취여부 등에 따라 비교하였다.
    결과: 요중 마뇨산 농도는 흡연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높았다. 현재 거주지역이 인구 밀도 1,000~4,999 명/km2 이상의 도시인경우에 요중 마뇨산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value<0.05). 요중 뮤콘산 농도는,거주지 반경 149 m 안에 4차선 도로나 교통정체 지역이있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그러나등교 방법이나 등교 소요시간에 따른 비교에서는 요중 마뇨산과 뮤콘산 농도가 유의하게 차이를 보이는 경우는 없었다. 또한, 요중 마뇨산의 농도는 과일 통조림과 캔커피섭취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요중뮤콘산의 농도는 과일주스와 단무지 섭취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론: 벤젠이나 톨루엔에 직업적 노출이 없는 대학생들은 주거지역의 일부특성에 따라 벤젠이나 톨루엔 노출이증가하여 요중 마뇨산과 뮤콘산 농도가 상승하며, 보존제가 첨가된 식음료를 섭취하여도 요중 마뇨산과 뮤콘산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 Automobile exhaust gases contain benzene and toluene, which are excreted in human urine as trans,trans-muconic acid and hippuric acid, respectively. Sorbic acid and benzoic acid, used as food preservatives, are also metabolized into trans,trans-muconic acid and hippuric acid in the human bo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level of benzene and toluene exposure according to the commuting mode and duratio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preservative-added foods intake i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not occupationally exposed to benzene or toluene.
    Methods: Spot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11 university students who had no occupational exposure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formation about their smoking history, residence type, traffic environments, commuting mode and duration, and their intake of bottled or canned food or beverages was gather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Urinary concentrations of trans,trans-muconic acid and hippuric acid were measured and statistically correlated to the individual’s life style factor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rinary concentrations of trans,trans-muconic acid or hippuric acid according to the smoking history. Mean urinary concentration of hippuric acid in females was higher than that found in males. Subjects living in districts with a population density of 1,000~4,999people/km2 showed the highest urinary hippuric acid level; individuals living in cities of 5,000~9,999people/km2 population density were next. The mean urinary trans,trans-muconic acid concentration was higher in students who were living where traffic jams are common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and in subjects whose residence were within 149 m from a 4-lane road compared to those whose residence was not. However, neither mode nor duration of the commute showed any effect on the urinary trans,transmuconic acid or hippuric acid concentrations of the students. Urinary hippuric acid levels increased when consuming canned fruit or canned coffee, and urinary trans,trans-muconic acid levels increased when consuming fruit juices or pickled radishes.
    Conclusions: The inhalation of vehicle exhaust and the ingestion of canned or pickled food may increase urinary hippuric acid and trans,trans-muconic acid levels in individuals who are not occupationally exposed to benzene or tolue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