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연성 액체 혼합물의 인화 위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ammability Risk of Flammable Liquid Mixture)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0.12
11P 미리보기
가연성 액체 혼합물의 인화 위험성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난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16권 / 4호 / 701 ~ 711페이지
    · 저자명 : 김주석, 고재선

    초록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두 물질의 혼합물(가연물+가연물)에서의 인화 위험성의 증가 또는 감소를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혼합물의 위험성을 제시하는 목적이 있기에 액체 혼합물의 인화 위험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 인화점 실험방법 및 결과처리는 원유 및 석유 제품 인화점 시험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테그밀폐식 시험방법인 KS M 2010-2008을 기준으로 실험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장비의 제조사는 일본의 TANAKA사에서 생산한 장비로 KS M 2010의 시험규격을 만족하는 시험장비로 인화점을 측정하였고, 점화원으로는 LP가스를, 냉각수로는 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인화점 측정시 냉각수의 온도는 약 2℃의 냉각수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결과로는 먼저 가연성+가연성 혼합물의 경우 두 물질의 인화점차이가 크지 않으면 인화점의 변화가 거의 없었고, 두 물질의 인화점차이가 낮으면 인화점이 높은 물질의 증가에 따라 인화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톨루엔과 메탄올의 경우, 혼합물에서 인화점이 낮은 물질보다 더 낮은 인화점을 보였다. 또한 도료용 희석제의 경우, 혼합물로 이루어져서 그 물질의 인화점을 예상하기가 쉽지 않았지만 실험적으로 측정해본 결과 –24℃~7℃사이로 측정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기존의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의 위험물 판정 기준에 대한 세부내용의 실효성확보 및 위험물 판정의 신뢰성 및 재현성 확보를 목적으로 인화성 혼합물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통해서 혼합물에 대한 위험성 판단기준을 제시하였고, 향후 소방현장에서 단속되는 인화성 액체 대한 실험적 판정 기준에 대한 참고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로 시험방법별 차이 실험에 대한 노하우를 축적한다면 위험물의 위험성 평가 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이자 위험물 판정 관한 연구의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Research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risk of flammability of a liquid mixture was experimentally confirmed beca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flammability risk in a mixture of two substances (combustible + combustible) and to present the risk of the mixture. Research method : Flash point test method and result processing were tested based on KS M 2010-2008, a tag sealing test method used as a flash point test method for crude oil and petroleum products. 1) The manufacturer of the equipment used in this experiment was Japan's TANAKA. The flash point was measured with a test equipment that satisfies the test standards of KS M 2010 with equipment produced by the company, and LP gas was used as the ignition source and water as the cooling water. In addition, when measuring the flash point,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water was tested using cooling water of about 2°C. Research Results : First of all, in the case of flammable + combustible mixtures, there was little change in flash point if the flash poi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ubstances was not large, and if the flash poi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ubstances was low, the flash point tended to increase as the number of substances with high flash point increased. However, in the case of toluene and methanol, the flash point of the mixture was lower than that of the material with a lower flash point. Also, in the case of a paint thinner, it was not easy to predict the flash point of the material because it was composed of a mixture, but as a result of experimental measurement, it was measured between –24℃ and 7℃. Conclusion : T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o determine the risk of mixtures through experimental studies on flammable mixtures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etails of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dangerous goods in the existing dangerous goods safety management method and securing the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determination of dangerous goods Criteria have been presented, and reference data on experimental criteria for flammable liquids that are regulated in firefighting sites can be provided. In addition, if this study accumulates know-how on differences in test methods,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research on risk assessment of dangerous goods and as a basis for research on dangerous goods determ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