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물과 칼: 공자의 서(恕)와 직(直) (Water and Knife: Generosity and Straightforwardness in the Philosophy of Confuciu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0.02
28P 미리보기
물과 칼: 공자의 서(恕)와 직(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탐구 / 57권 / 1 ~ 28페이지
    · 저자명 : 정세근

    초록

    이 글은 공자의 순정한 사상을 찾아보기 위해 전통적인 고대사상과는 다른 그만의 특이점에 집중해서 몇몇 관념을 드러내는 것이다. 『중용』을 제외하고는 기존의 경서에서 강하게 부각된 적이 없었는데도 공자 스스로 ‘나의 길은 이것 하나로 꿰뚫었다’고 말하는 ‘서’(恕)가 대표적이다. 서는 인(仁)을 독자적으로 풀이한 공자만의 사상으로 보인다. 오늘날 말하는 관용 또는 관서(寬恕)의 정신으로 곧 용서의 정신이다.
    그런데 『논어』 전편에서 강조되는 독특한 정서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곧음’과 관련된 심리적 자세 또는 감정적 태도이다. 곧음은 솔직하고 강직하고 충직하고 우직한 마음가짐을 요구한다. 곧음 곧 ‘직’(直)은 전통적으로 주로 정직(正直)으로만 해석되는 바람에 해석의 가능성을 너무 좁혀놓아 공자의 사상을 전체적으로 보지 못하게 했다. 직은 정직이라기보다는 솔직(率直)에 가깝다. 그리고 솔직은 강직(剛直)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이 공자의 특별한 사상을 용서와 솔직으로 볼 때, 우리는 그 둘이 서로 부딪힐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한쪽은 사랑을 베푸는 용서의 행위이고, 다른 한쪽은 원한을 되갚는 보복의 행위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 물은 용서를, 칼은 복수를 상징한다. 그런데 물과 칼이 ‘사랑의 용기’와 만날 때 때로는 용서로, 때로는 복수로 드러난다. 공자에 따르면, 용기 있는 사람이 어진 사람은 아니지만 어진 사람은 반드시 용기가 있고, 어진 사람이 모두 용서하지는 않지만 용서하는 사람은 반드시 어진 사람이다. 용기 있는 사람이 사랑하고, 사랑하는 사람은 용서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looking for the pure thought of Confucius, focusing on his unique notions which are differ from traditional thinking in ancient time. Generosity(shu) which has never been accentuated in the established classics except The Doctrine of the Mean was emphasized by Confucius, for example, ‘my doctrine is that of an all-pervading unity.’ I think his generosity is a creative interpretation on benevolence (ren) which came from five virtues. It is a spirit of forgiveness which includes tolerance.
    There is a very special sentiment that is embossed in The Analects, which is a psychological posture or emotional attitude related with straightforwardness(zhi). It inquires a position of mind/heart that is upright, plain, frank, candid, and honest. The straightforwardness in the context of Confucius means not only honesty but also frankness. Son can hide his father even though his father is criminal.
    Forgiveness and straightforwardness in the philosophy of Confucius would be contradictory because one is a kind of mercy, another is a kind of revenge.
    On this paper, water symbolizes forgiveness, and knife revenge. When each of water and knife meet bravery of love, sometimes it brings forgiveness or straightforwardness. I could forgive because of loving people, at times also revenge my love on a person. According to Confucius, a man who is brave may love people; a man who loves people may forgive the 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