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미륵사지 라직물 금사 자수품 연구 (A Study of the Gold Embroidery on the Complex Gauze(Ra) Excavated from Mireuksa Temple Site in Baekje Period)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2.08
18P 미리보기
백제 미륵사지 라직물 금사 자수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연구 / 76호 / 51 ~ 68페이지
    · 저자명 : 안보연

    초록

    본 연구는 백제 미륵사지 석탑 사리장엄구 연구 보고서의 내용 중‘라(羅) 직물 금사 자수품’의 내용을 보완하여, 국내외 사례 조사를 통해 미륵사지 라직물의 제직 특성과 연금사에 대해 재고찰한 것이다. 문헌 기록과 국내의 라직물 출토 사례를 보면, 고대의 라직물은 경사 방향으로 꼬임 있으며 대체로 얇고 비치는 형태로 확인되었다. 그런데 미륵사지 라직물은 비치는 부분과 동시에 치밀한 부분도 나타난다. 특히 치밀하게 짠 부분은 직물 표면에 특이한 굴곡을 만들며 신축성을 부여하게 되므로 당시에는 획기적인 직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되어,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라직물은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뿐만 아니라 라직물 위에는 초화문 자수가 놓여 있으며, 자수의 테두리 부분에는 금사(金絲)를 사용했다. 선행 연구 보고서를 통해 확인된 재질 정보를 토대로 고대 금사에 대한 X선 조사와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자료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미륵사지 금사는 순금의 금판을 가늘게 자르고, 금판 뒷면에는 배지를 대지 않고 금판을 균일하게 말아 감아 제작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황남대총과 임당 고분에의 연금사와 동일한 방식이다. ‘라직물’이라는 정교한 제직 기술과 ‘금사’세공 기술로 조합된 미륵사지 자수품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확인되었지만, 주구지의 천수국수장, 둔황의 막고굴, 당대 법문사에서도 확인되는 공양품 또는 장엄구이다. 제작기법 상 모두 라직물 바탕에 금사 또는 채색사로 수를 놓았다는 점과 불교 자수품으로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하여, 미륵사지 ‘라직물 금사 자수품’은 라직물과 금사 자수로 조합된 자수공예품의 양식으로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iews on the gold embroidery on the complex gauze excavated from the stone pagoda of Baekje Mireuksa temple site. Through local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on embroidery, this study reviewed the weaving properties of complex gauze and gold-wrapped threads. The complex gauze fabrics found in Korea were mostly thin and transparent, but those excavated from the Mireuksa temple site had both sheer parts and densely woven parts. In particular, the dense parts formed unique curves on the surface and were presumed to have made the fabric more elastic. This feature gives new information on the complex gauze fabrics of ancient Korea. In addition, gold threads were used for the rim of the embroidery on the complex gauze. The embroidery pattern is presumed to be herbaceous flower. Based on the material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report, X-ray investigat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analysis of ancient gold threads were compared and reviewed. Through this, The gold threads from the Mireuksa temple site is made from a pure gold foil finely cut into thin strips without lamella and evenly coiled. This method was same as that of the Hwangnam Daechong tomb and Imdang tomb. Moreover, the Mireuksa style gold embroidery on complex gauze was also found in the artifacts of Tenjukoku Shucho, Dunhuang Magao Caves and Famensi. Therefore, gold embroidery on complex gauze fabrics should be recognized as a single set of craf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