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 쟁점 — 저작물성과 저작자 판단을 중심으로 — (Copyright Asp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Generated Works — Copyrightability and Author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20.12
43P 미리보기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 쟁점 — 저작물성과 저작자 판단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언론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언론과 법 / 19권 / 3호 / 71 ~ 113페이지
    · 저자명 : 조연하

    초록

    인공지능 기술이 가속도로 향상되면서 인공지능이 창작성의 또 다른 원천이 된다는 사실은 저작권법 영역에 새로운 연구 과제를 던져준다. 즉 인공지능 창작물이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가, 보호를 받는다면 누가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자인가이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에 관한 법리적인 해석과 의견을 검토함으로써, 인공지능과 같이 급속하게 진행되는 기술발전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그와 관련한 저작권법 논의를 좀 더 확대, 발전시키려는 취지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창작물 저작권의 주요 쟁점인 저작권 보호와 창작성 판단, 저작자를 중심으로 저작권법 적용의 한계와 새로운 저작권 법리를 찾아내고 이에 기초하여 저작권 입법 정책을 제안하며 더 나아가 사회적 합의점을 모색해보는 것이다. 법학자, 언론법학자, 언론학자, 기술개발연구자, 저작권관리자, 콘텐츠 창작자 대상의 심층 인터뷰 결과, 인공지능 창작물을 저작권법 보호영역에 포섭하는데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인간 창작물과 비교해 보호 수준을 낮추는 약한 저작권 보호 이론을 적용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보호 방식을 차별화하는 방안으로 저작권 보호기간의 단축과 창작 시점이나 등록, 출원 시점을 기산점으로 한 보호기간 산정이 제시되었다. 또 인간 창작물에 비해 엄격한 창작성 판단기준을 적용해서 보호범위를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고, 인공지능에 대한 저작자 지위 부여에 대해서는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그리고 인공지능의 자율성과 인간의 개입 정도와 기여도를 기준으로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권 보호 수준이나 방식을 단계적으로 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견해로 집중되었다. 이와 같은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창작물의 개념과 범주, 보호기간 산정, 등록제도 및 표시제도 등에 관한 입법 정책을 제안하였다.

    영어초록

    The fact that increasing sophist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are another source of creativity, has given rise to provoking new research questions in copyright law: Can a work created by AI be protected by copyright law? and if then, who should be considered the authors of AI-generated works? This study has an intent to cope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AI technology effectively and develop the discussion about the copyright of AI-generated works by analyzing legal principles on the copyright of AI-generated works and examining various professional opinions about AI technolo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limitation of application of Copyright Act to AI-generated works and new legal principles with discussion about main copyright issues caused by AI-generated works, such as copyright protection, creativity judgement, authorship, and finally to suggest the legislative policies on the copyright of AI-generated work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depth interview by E-email with experts such as scholars in law and media, researchers on ICT, copyright administrators, and contents creators. The result shows that interviewees are positive to protect AI-generated works with Copyright Act, but they propose the application of weak copyright protection principle for AI-generated works. It also shows that shortening of duration of copyright and calculating protection period by reckoning from creation or copyright registration time would be the reasonable ways for the differentiation in copyright protection from human-created works. It is founded that the interviewees are positive for narrowing the scope of copyright protection of AI-generated works by applying the standard for creativity judgement stricter than human-created works, but they are negative for assigning the authorship of AI-generated works to AI.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o classify the legal relationship of AI-generated works in copyright protection, creativity judgement, authorship by the autonomy of AI in stages due to the level of human contribution to the produc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legislative policy for the copyright of AI-generated works to include new exemption articles for AI on the conception of scope of AI-generated works, the duration of copyright protection and the registration & labeling system in Copyright 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언론과 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