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의 관점에서 본 비잔틴 삼위일체론 -주기도문 해석을 중심으로 (Byzantine Trinitarian Th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icene-Constantinopolitan Creed :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Lord's Prayer)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5.02
34P 미리보기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의 관점에서 본 비잔틴 삼위일체론 -주기도문 해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개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개혁신학 / 85권 / 67 ~ 100페이지
    · 저자명 : 박인호

    초록

    삼위일체 신학은 초기 기독교 신학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였으며, 비잔틴 제국 교회 내에서 지속적인 논쟁의 중심에 있었다. 본 논문은 삼위일체 신학이 가장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2-5세기 비잔틴 교부들의 작품을 중심으 로, 주기도문 본문을 통해 삼위일체 신학이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의 관점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발전하였는지를 조망한다. 특히, 2-5세기 비잔 틴 교부들 중 삼위일체 신학에 가장 큰 기여를 한 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게네 스, 니사의 그레고리오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를 중심으로 그 흐름을 추적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오리게네스의 삼위일체 신학이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경의 관점에서 볼 때 이전 교부들에게서 찾아볼 수 없는 발전된 형태를 정립하였으나, 성자에 대한 종속적 표현과 ‘동일본질’(ὁµοούσιον) 신학에 대한 이해가 미흡했음을 지적한다. 이어서, 그레고리오스는 오리게네스의 삼위일체론을 수용하면서 삼위의 신성을 변호하고, 삼위 간의 동일성과 독립성을 확립하였으며, 특히 성령의 신성 을 강력하게 입증하였음을 확인한다. 또한, 키릴로스는 오리게네스와 그레고리오스의 삼위일체 신학을 계승하면서도 성자의 신성을 강하게 변호하였으며, 성자를 참된 기도의 대상으로 간주하지 않았던 오리게네스 의 입장을 보완하여 성자 또한 참된 기도의 대상임을 확증하였다. 그러나 그는 성자의 신성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성부와 성자의 위격적 독립성 을 다소 모호하게 만들었으며, 성령의 위격을 상대적으로 약화시켰다는 점도 드러난다.

    영어초록

    Trinitarian theology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nd controversial topics in early Christian theology within the Byzantine Church.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rinitarian th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icene-Constantinopolitan Creed by analyzing the Lord's Prayer in the works of Byzantine Church Fathers from the 2nd to the 5th century, a period of intense Trinitarian debates.
    In particular, this study traces the trajectory of Trinitarian theology by focusing on three key figures who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doctrine: Origen of Alexandria, Gregory of Nyssa, and Cyril of Alexandria. Through this analysis, the paper highlights that while Origen formulated a more advanced form of Trinitarian theology than his predecessors, his theology, when viewed through the lens of the Nicene-Constantinopolitan Creed, reflects a subordinationist view of the Son and an in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of homoousion(ὁμοούσιον).
    Furthermore, the study confirms that Gregory of Nyssa, building upon Origen’s Trinitarian theology, defended the divinity of the three persons of the Trinity, established both their unity and distinctiveness, and, most notably, strongly affirmed the divinity of the Holy Spirit. Cyril of Alexandria, while incorporating Origen’s and Gregory’s theological insights, ardently defended the divinity of the Son. However, he corrected Origen’s exclusion of the Son from being a true object of prayer by affirming that the Son is indeed a rightful recipient of prayer.
    At the same time,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yril’s strong emphasis on the Son’s divinity partially obscured the personal distinction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and slightly diminished the distinct personhood of the Holy Spir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개혁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