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지방의 언어들 ― 통역체제로서 식민지 언어현상에 대한 소고 ― (Speaking at the Threshold -A Study on Colonial Linguistic Phenomenons as the Interpreting System in the Colonial Korea)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0.02
54P 미리보기
문지방의 언어들 ― 통역체제로서 식민지 언어현상에 대한 소고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어문학 / 54호 / 45 ~ 98페이지
    · 저자명 : 이혜령

    초록

    이 글은 지난 20세기 전반기 한국이 경험한 식민지 언어현상을 ‘통역체제’라는 틀에서 재구성하기 위한 시론적 성격의 글이다. 이중언어의 상황을 타개해야 했던 것은 식민지 원주민이라기보다는 우선은 식민지 지배자였음에 주목하였다. 그것은 조선총독부 및 소속관제에 ‘통역관’과 ‘통역생’ 배치에 관한 규정 그리고 통역겸장에 관한 규정 등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역’ 업무가 필요한 기구는 식민지 원주민을 일상적으로 대면해야 하는 제도들로, 재판소와 형무소, 경찰, 병원 등이었다. 이와 같은 제도적 공간은 지배가 어떻게 ‘언어’를 매개로 하여 관철되는지를 잘 보여준다.
    한편 경찰의 경우 갈수록 통역만을 하는 직책을 두지 않고서도 업무처리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이중언어자가 점증해갔다. 또한 교수용어를 일본어로 삼은 보통학교교육의 점증적 증가와 경제생활에 있어서 일본인과 조선인이 함께 하는 생활영역의 증대는 이중어 구사자들을 증가시켰는데, 이것이 식민지를 광범위한 통역체제로 형성시키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였다. 또 다른 형태로 통역이 내재화되어 있는 학교와 같은 공간이었다. 종족인 내선공학이 식민지 시대에 걸쳐 유지되었지만, 교수용어 및 학교에서의 용어가 일본어로 강제되었다. 한편으로 교회와 극장과 같은 동족공간에는 동족언어의 사용이 허용되었다. 이처럼 특정한 공간에 있어 제도적, 관습적 언어규범을 세밀화, 정책화시켰던 중요한 계기 중 하나가 3.1운동과 그 이후의 문화정치라고 할 수 있다. 그 이후 ‘조선어’에 의한 지배가 적극 고려되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essay to reconstruct linguistic phenomenons of the colonial Korea to a framework of the interpreting system. It were not the colonial natives but not rulers from Japan what should have resolved bilingual situation, which was appeared in the regulations defining a assignment of “interpreter of the high official rank”(通譯官) and “interpreter of the low”(通譯生) i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control system belonging to it, and of the additional post of interpretation. The apparatus to need “interpretation” were the systems for example a court, a prison, a police and a hospital which couldn't help confronting with the colonial natives everyday. The verbal contact between natives and the colonial officers at institutional spaces of those apparatus shows well how control to be accomplished by a media of “language.” As bilingual policemen got increased, the colonial police system was able to do the execution of their own tasks without interpreters tasking only interpretation. The cumulative increasing of primary education system and the expanding of living territory shared by Japanese and Korean particularly in the economic sphere were main causes of producing bilinguals. Interpreting act was inherent in all the colonial school including that for Koreans forced by Japanese as the national language by being provided in the law in teaching and school life. As we know, the Government General maintained in fact the segregation policy of Koreans and the Japanes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while arrowed a speeching Korean as “same language” in church and theatre as spaces for “same race”, but these spaces were under policemen present surveillance. As such, decisive moment of stipulating in detail specific institutional and legal norms in certain spaces is the 1st March Independence Movement at 1919 and “the Cultural Politics”(文化政治) called the idea of changeovers in the ruling policies of the colonial Korea since 1920, for the colonial government started actively to seek and realize the ruling by “Korean Language” through different policies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