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운호(雲湖) 임정주(任靖周)의 자필 서간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Unho Im Jeong-ju’s Newly Discovered Handwritten Letter)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5.03
31P 미리보기
운호(雲湖) 임정주(任靖周)의 자필 서간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지학연구 / 61호 / 231 ~ 261페이지
    · 저자명 : 강순애

    초록

    이 글은 새로 발견된 운호(雲湖) 임정주(任靖周)의 자필 서간문을 대상으로 『운호집(雲湖集)』의 서간문에 수록된 인물들의 학문 연원과 교류 내용 및 자필 서간문의 서지적․내용적 측면을 연구한 것이다. 운호(雲湖) 임정주(任靖周, 1727∼1796)는 조선조 후기 영․정조 시기의 대표적인 주기파 성리학자이다. 그의 문집은 『운호집(雲湖集)』 6권 3책인데, 그중 권1-2에는 24명의 서간문 45편이 실려 있다. 이 서간문에 수록된 인물들의 학문 연원은 주로 율곡 이이, 사계 김장생, 우암 송시열, 도암 이재의 학통을 이었고, 서간의 주제는 성리학토론, 학문, 예(禮), 문집편찬, 논의 등에 대한 47건이 다루어졌으며, 성리학 토론 중에 몇 가지 매우 중요한 논의들이 있었고, 녹문 임성주의 문집편찬에 관한 기록도 들어 있었다.
    임정주의 자필 서간문은 『운호집』에 수록되지 않았으며, 임성주의 『녹문선생문집(鹿門先生文集)』의 편찬과 관련된 새로운 기록들이 들어 있다. 이 서간문의 크기는 34.2 x 57.8cm이며, 본문의 전체 글자 수는 511자이다. 상대방과 관련된 부분에는 존경을 표시하기 위해 공격(空格)을 두고 있다. 이 서간문 글씨체의 특징은 첫째, 전형적인 안진경의 행초서체와 해서체(楷書體)의 필획의 규범을 벗어나지 않는 형태가 있다. 둘째, 운호가 독특한 운필법(運筆法)을 세련되게 휘두른 글자들이 있는데, 초서에서 혼란이 올 수 있는 한자 부수들의 획의 모양을 다르게 표현하거나, 책받침변 ‘辶’과 같은 부수에서 파임을 파격적으로 표시하거나, 여러 세대에 걸쳐 답습된 글씨체를 독특한 서법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셋째, 운호는 초서의 연서법에 있어서 두 글자, 세 글자, 네 글자를 연결해가면서 수려하고 부드러운 초서체의 특징을 잘 살려내고 있다.
    이 글은 내용의 전개상 7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글은 임정주가 63세이던 정조 13년(1789)부터 69세인 정조 19년(1795)까지 청산(靑山) 현감으로 재직할 때 『녹문선생문집』의 편차와 관련된 내용에 기반하고 있다. 그는 과중한 업무와 악화된 건강으로 인해 국가에서 임명한 언관(言官)과 낭청(郎廳)의 일도 거절하고, 임성주 문집의 편차 및 교정에 관한 일을 김상진에게 부탁하였다. 그는 친구와 함께 학문을 연구하고 모임을 결성하고 싶은 소망을 잘 표현하였다. 그는 친구를 모임에 초대하면서 아직 교정을 보지 못한 일부 원고와 형의 행장 초안에 대한 편집과 교정을 부탁하고 있다.
    이 연구는 향후 민간기록의 연구는 물론 서지학, 기록관리학, 역사학, 국어학계에 가장 기본적인 연구성과로 활용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s Unho Im Jeong-ju’s newly discovered handwritten letter by looking over the academic origins and exchange information of the figures contained in letter works of unhojib and examining the bibliography and content of handwritten letter. Unho Im Jeong-ju(任靖周, 1727∼1796) was a neo-Confucian spirit philosopher in Yeongjo’s and Jeongjo’s reign of Joseon. His anthology is unhojip 6 volumes 3 books. of which vol. 1-2 are listed 45 letter works written by 24 authors. Their’s academic origins of the characters contained in this letter works lay in the Yulgok Yi Yi, Sagye Kim Jang-saeng, Wooam Song Si-yeol, and Doam Yi Jae faction’s branch of spirit philosopy of neo-Confucianism. 45 letter works’ topics are 47 cases Confucianism discussion, disciplines, etiquettes, discussions, etc. there were some very important arguments during the Confucian discussion, it was also recorded for the compilation of Writings on Nokmun Im Seong-ju.
    Im Jeong-ju’s handwritten letter has not been included in the unhojib, which contains new records related to the compilation of the Collected Works of Nokmun(Nokmunseonsaengmunjib). The size of this letter is 34.2 x 57.8 cm, the total number of characters of the text is 511 characters. The part relating to the other party can leave a space of one character(gonggyeok, 空格) to show respect.
    Features of the script of the letter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norms of typical Stroke in a semi-cursive and cursive style(行草書體) and the square style(楷書體) of An Jin-kyeong. Second, there are characters who Unho drive a stylishly and unique penmanship; the appearance of the stroke the incidental characters that confusion may come from the cursive style is represented differently, it displays a scooped hollow with unconventional in chaekbatchimbeon(‘辶’, one of incidental characters), and represents the unique calligraphy style that followed several generations. Third, Unho skillfully revivies graceful and elegant characteristics going to connect two letters, three letters, and four letters in letters written by connecting of the cursive style.
    The writing can be divided into 7 paragraphs according to the content development. This article is based 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mpilation of Nokmunseonsaengmunjib when Im Jeong-ju was chief of Chongsan County from the thirteenth(1789) to nineteenth year(1795) of Jeongjo’s reign. He refused work of eongwan (言官) and nangcheong (郎廳) appointed by the country due to the deteriorating health and workload, and was asked for the compilation and correction of Im Seong-ju Writings to Kim Sang-jin. He has expressed a desire to study hard with friends and organize a meeting well. He invited his friends to the meeting, while at the same time was asked to editing and proofreading for Im Seong-ju’ haengjang (行狀, a brief history of life) and some manuscripts.
    This study will be used in the basic future studies of private records as well as in those of bibliography, record management, history and Korean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