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슬픈 조국의 노래』를 통해 본 趙文紀의 독립운동 (Cho Mun-Gi's Independence Movement Seen through "Sad Song of My Fatherland")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1.12
31P 미리보기
『슬픈 조국의 노래』를 통해 본 趙文紀의 독립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09호 / 209 ~ 239페이지
    · 저자명 : 조성운

    초록

    본고는 해방 직전인 1945년 7월 24일 조문기의 항일민족운동을 그의 회고록 『슬픈 조국의 노래』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조문기의 항일민족운동은 1943년 5월 일본강관주식회사 가와사키(川崎) 공장 파업을 주도한 것과 1945년 7월 24일 부민관폭파의거를 전개한 것으로 대별된다.
    조문기는 1942년 10월 일본강관주식회사 가와사키(川崎) 공장에 강제동원되어 1945년 1월 귀국하였다. 그는 1943년 5월 조선인 노동자를 모욕했다는 것을 이유로 일본강관주식회사 가와사키(川崎) 공장에서 유만수와 함께 파업을 주도하였다. 파업 후 서상한 도움을 받아 피신을 하던 그는 1945년 1월 귀국하여 3월 대한애국청년당을 조직하고 7월 24일 부민관폭파의거를 전개하였다. 대한애국청년당은 일본강관주식회사에 강제동원되었다가 귀국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조직한 것으로 동지규합, 비밀단체 구성, 친일 거두와 침략 원흉 처단, 중국행의 4단계의 독립운동방침을 갖고 있었다. 일제강점기 최후의 의열투쟁이라는 평가를 받는 부민관폭파의거는 중국으로 가서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전단계였던 셈이다. 이후 고향인 수원으로 피신하여 동지 획득을 통해 대한애국청년당의 활동자금을 마련하던 중 그는 해방을 맞이하였다.
    해방 이후 그는 단정수립반대운동에 참여하여 수감생활을 하였고, 이승만 암살 미수 사건에 관련되는 등 반정부 활동을 하여 정부의 감시대상이 되는 등 독립유공자로서의 대우를 받지 못하였다. 1982년에야 비로서 독립유공자로 서훈되었다. 그가 대중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김형극이 자신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명을 받아 부민관폭파의거를 지휘했다는 주장을 각종 언론을 통해 발표하면서부터였다. 그러나 그는 이를 반박하며, 부인하였고, 해당 언론도 이에 대한 정정보도를 하였다. 1990년대 이후에는 광복회 경기지부장과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을 역임하면서 친일청산운동을 전개하다가 2008년 사망하였다. 결국 그의 삶은 항일민족운동과 친일청산운동에 평생을 바친 일생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Cho Mun-Gi's anti-Japanese national movement on July 24, 1945, just before liberation, focusing on his memoir "Songs of Sad Fatherland. Jo Mun-Gi's anti-Japanese movement is roughly divided into leading the strike at the Kawasaki(川崎) plant in May 1943 and the Patriotic Dead of Blown Up of the Bumpingwan府民館) on July 24, 1945.
    Cho Mun-Gi was forcibly mobilized to the Kawasaki plant of Japan Steel Co., Ltd. in October 1942 and returned to Korea in January 1945. In May 1943, he led the strike with Yu Man-Su at the Kawasaki plant of Japanese Steel Pipe Co., Ltd. for insulting Korean workers. After the strike, he returned to Korea in January 1945 with the help of Seo Sang-Han(서상한), organized the Korean Patriotic Youth Party in March, and launched the Patriotic Dead of Blown Up the Bumpingwan on July 24. The Korean Patriotic Youth Party was organized around people who returned home after being forcibly mobilized by Japan Steel Co., Ltd. This party had a four-stage independence movement policy for comradeship, formation of secret organizations, pro-Japanese groups, and invasion protection, and China. Japanese colonial era The Patriotic dead of blown up the Boomingwan, considered the last hero and noble struggle, was a preliminary step toward going to China and carrying out the independence movement. Later, he fled to his hometown of Suwon. He was liberated while raising funds for the Korean Patriotic Youth Party to gather comrades there.
    After liberation, he participated in the campaign against the establishment of a single government and lived in prison. He was not treated as an independent merit, as he was subject to government surveillance for anti-government activities such as the attempted assassination of Lee Syngman(이승만). It was not until 1982 that he was honored as an independence merit. He began to gain public attention when Kim Hyung-Geuk(김형극) announced through various media that he led the Patriotic Dead of blown up the Boomingwan under the order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owever, he refuted and denied such fact, and the media also provided correction reports on this. After the 1990s, he launched a pro-Japanese liquidation movement while serving as the head of the Gyeonggi branch of the Liberation Society and the president of the Institute for Research in Collaborationist Activities. He died in 2008. In the end, his life can be evaluated as a lifetime devoted to the anti-Japanese national movement and the pro-Japanese liquidation mov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