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덕가류 가사작품 <문소김씨 세덕가> 수록 신발굴 가사 자료에 대한 서지와 그 내용 -<문소김씨 세덕가>, <행방가>, <화전가>를 중심으로 (The Bibliography and Contents of Newly Discovered Gasa Materials Including , a Sedeokga-ryu Style Gasa Work - Focusing on , , and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1.08
32P 미리보기
세덕가류 가사작품 &lt;문소김씨 세덕가&gt; 수록 신발굴 가사 자료에 대한 서지와 그 내용 -&lt;문소김씨 세덕가&gt;, &lt;행방가&gt;, &lt;화전가&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 리터러시 학회
    · 수록지 정보 : 리터러시 연구 / 12권 / 4호 / 431 ~ 462페이지
    · 저자명 : 이재빈, 이수진

    초록

    이 논문은 새롭게 발굴한 두루마리 가사 자료를 소개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두루마리 안에는 세덕가류 가사 <문소김씨 세덕가>와 규방가류 가사 <행방가>, <화전가> 등 총 4편의 가사자료가 필사되어 전한다. 크기는 345cm×24.8cm이고, 분량은 전체 292행으로 매행 17~23자로 단 구분 없이 세로쓰기 되어 있다. 전체 292행 중 앞면에 210행, 뒷면에 82행으로 양면에 걸쳐 순한글로 기록되어 있다.
    두루마리에는 총4편의 가사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첫 번째 작품은 <문소김씨 세덕가>이다. 의성김씨 족보의 계보를 중심으로 역대 선조의 휘(諱)자와 벼슬, 은덕을 노래하되, 특히 청계공파를 중심으로 그 덕업을 기리고 교육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원작자는 의성 김씨 집안 남성들에 의해 저술되었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부녀자들에 의해 규방가사의 한 형태로 전승된 것으로 짐작된다. 작품의 표기법이나어휘 사용, 발문에 기록된 간기(刊記)로 미루어 1930년대 이후 작성된 것으로 볼 수있다.
    두 번째 작품은 <행방가>인데, 기존 가사자료 목록에서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작품이다. 여성으로 태어나 남존여비에 따른 부당한 삶, 시집살이의 어려움, 늙어감에대한 한탄 등 기본적으로 신변탄식가류 규방가사의 서사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여기에 머물지 않고 사람다운 삶에 대한 열망을 담아내며, 잃어버린 여성의 인권을 회복하며 남녀평등을 염원하는 계몽적 성격을 띠고 있다.
    마지막으로 <화전가> 2편이 수록되어 전한다. 두 편 모두 춘삼월 경치 좋은 수정사(水淨寺)를 찾아 즐기는 화전놀이 장면을 그려낸 것이다. 서사양식은 기존 화전가류작품들과 큰 차이는 없지만 덴동어미 화전가처럼 한 여인의 파란만장한 삶을 서술하거나 양반 부녀자들같이 화전(花煎)놀이 장면 묘사에 집중하기 보다는 함께 꽃놀이를떠나는 동유들의 모습을 묘사하는데 더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 기존 <화전가> 작품들과의 차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a newly discovered scroll of Gasa materials. In the scroll, a total of four Gasa materials, including Sedeokga-ryu (ryu; style) Gasa <Munsogimssi Sedeokga>, Gyubangga-ryu Gasa <Haengbangga>, and <Hwajeonga>, are transcribed and handed down. The size is 345cm×24.8cm, the total amount is 292 lines, and each line is written vertically without any division between 17 characters and 23 characters. Of the total 292 lines, 210 lines on the front side and 82 lines on the back side are written in pure Korean on both sides.
    A total of four Gasa works are included in the scroll. The first work is <Mun sogimssi Sedeokga>. Centering on the family tree of the genealogy of the Uiseong Kim’s family, the song sang about the Hwi (諱) Ja, and virtues of successive ances tors, and in particular, it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commemorating and edu cating the virtues of the family line, Cheonggyegong-pa. The original author was a male member of Uiseong Kim’s family, but the work are presumed to have been passed down as a form of Gyubang (boudoir) Gasa written by women as it pass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 Judging from the notation and use of vocabulary of the work, and publication records (刊記) recorded in the epilogue, it is presumed that it was written after the 1930s.
    The second work is <Haengbangga>, a new work that cannot be found in the list of existing Gasa materials. It basically has the narrative structure of Gyubang (boudoir) Gasa of private life lamentation Gasa-ryu, such as an unfair life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women as inferior to men by being born as a woman, the difficulty of keeping a married life, and lamentation over aging. However, it does not stop here, but contains aspirations for a human life, and it has an enlightening character, wishing for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by restoring the lost human rights of women.
    Lastly, two works of <Hwajeonga> are included and handed down. Both works depict Hwajeon-nori (Hwajeon, flower-based pancakes/cakes; Nori, a play) enjoying the scenic Sujeongsa-temple (水淨寺) on the March in the lunar calendar (April or May in the solar calendar). They differ from the existing <Hwajeonga> works in that they focus more on depicting the appearance of peer-friends going out to see the flowers together, rather than focusing on the description of the Hwajeon (花煎) Nori sce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리터러시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