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정희의 <녹색의 문>에 나타난 여성 정체성 탐구 양상 (Aspects of Study on Female Identity Shown in Choi Jung-Hee’s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0.08
27P 미리보기
최정희의 &lt;녹색의 문&gt;에 나타난 여성 정체성 탐구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44호 / 435 ~ 461페이지
    · 저자명 : 최정아

    초록

    최정희의 <녹색의 문>은 여성 인물의 수난을 통해 역사적인 사건들을일괄하면서 역사적 주체로서 성장해가는 여성 주체화의 과정이 드러난 문제작이다. 이 작품은 일제의 폭압적인 식민지배, 해방 이후 좌우익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민족 국가 건설이라는 남성적인 거대담론 속에서 희생되는여성의 삶을 서사화하고 있는데, 본고는 그러한 과정에서 드러나는 여성으로서의 자아인식과 여성적 리얼리티의 문제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도영혜와 유보화의 삶으로 상징되는 여성수난사를통해 ‘제국’과 ‘민족’의 희생양으로서 여성의 재현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들의 비극은 해방 이후 뚜렷이 드러나는데, 유보화의 비극이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비롯된 것이라면, 도영혜의 비극은 좌우의 이데올로기 대립에 의해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의 삶을 비극으로 몰아간 근원은 김영서이다. 김영서는 학생사상가이자 젊은 민족운동가로서, 도영혜와 유보화는 모두 그의 민족지사적인 면모를 흠모하며 사랑에 빠지게 된다. 그런데 김영서는 도영혜를 단순한 육욕의 대상으로 삼은 뒤, 매몰차게 그녀를 박대하는 한편 여간첩 혐의로 도영혜가 재판을 받을 때 검사의 신분으로 그녀를가혹하게 심판한다. 이는 일본 제국주의로부터 해방된 이후 민족 국가 건설이라는 대명제 속에서 남성 이데올로기에 의해 희생되는 여성의 모습을보여주는 대목이다. 도영혜의 재판에서 주목할 것은 김영서의 이중적인 면모와 대비되는 유보화의 태도이다. 민족주의, 제국주의, 공산주의 등의 이데올로기가 모두 남성 이데올로기라는 점을 간파하고, 여성 수난의 역사에 대한 남성의 죄를 심판하고자 하는 유보화의 모습은 역사적 주체로서 변혁하는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3장에서는 여성으로서의 자아 인식이 드러나는 과정을 유보화의 내면의식을 형상화하는 방식, 곧 거울, 바람, 하늘, 색채 이미지 등을 통해 드러내는 여성적 리얼리티의 심화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유보화가 보여주는 성장의 여러 단계들, 예컨대 육체, 사랑, 이별, 폭력, 결혼, 출산 등변화의 지점마다 유보화의 내면세계는 거울, 바람, 하늘, 색채 이미지 등다양한 객관적 상관물들을 통해 표현되며, 이는 최정희 특유의 여성적 리얼리티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녹색의 문>은 억압적인 남성 이데올로기를 고발하고 그러한 남성 이데올로기에 의해 매개되지 않은 고유한 여성적 정체성의 추구를 형상화하고 있는 작품으로, 기존에 모성을 중심으로 논의된 최정희 문학의 여성성에 대한 비판적 재고는 물론 적극적인 여성 정체성의 방향을 모색하는작품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히 남성 중심적인 역사 속에서 소거되는 여성의 존재를 여성의 목소리로 복원함으로써, 역사적 행위 주체로서의 여성 정체성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할수 있겠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process of women’s subjectivity developing as a historical subject, shown in <Green Door>, and studies the self-recognition as a female that is revealed during the process and the issue of feminine reality.
    Chapter 2 looks into the issue of women’s reemergence as the victim of ‘Imperialism’ and ‘Ethnicity’, through the history of women’s suffering symbolized by Do Young-Hye and Yoo Bo-Hwa’s life. Do Young-Hye and Yoo Bo-Hwa both live a life of tragic suffering and ordeal after falling in love with and then parting with student activist Kim Yeong-Seo. The true nature of their tragedy is fully accounted for after the liberation, as Do Young-Hye is charged of being a female spy after the defection to North Korea of the communist man whom she dated, and as Yoo Bo-Hwa is burdened with all kinds of hardships of life ever since Lee Seong-Bae who raped her and forced her into marriage is killed after being revealed to be one of the pro-Japanese groups that cooperated with the Japanese Empire. While Yoo Bo-Hwa’s tragedy is caused by Japanese imperialism, Do Young-Hye’s tragedy is caused by ideology conflict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ng.
    However, the most fundamental cause that drives Do Young-Hye and Yoo Bo-Hwa’s life into tragedy is Kim Yeong-Seo. As Kim Yeong-Seo is a student thinker and a young nationalist, both Do Young-Hye and Yoo Bo-Hwa admire his patriotic aspect and falls in love with him. However, Kim Yeong-Seo deems Do Young-Hye as a mere object of sexual desire, and not only does he repudiate her harshly but also judges her as a prosecutor when Do Young-Hye is on trial charged of being a spy. Such duality of Kim Yeong-Seo can be seen as criticism towards the fact that the immense discourse of ‘Ethnicity’,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that forms women’s identity of the colonial era, carries aspects of oppression against women. Furthermore this implies that during the colonial era, in which the carrying of ‘Ethnicity’ was inevitable, the reemergence of women’s identity would have been established under the state of such oppressive conditions internalized. For example, the meaning of the ‘Maternity’ discourse can be reconsidered by the fact that the emphasis on maternity in Choi Jung-Hee’s novel published during the colonial era is a strategy to establish feminine subjectivity through embracing the identity as a mother that ‘Ethnicity’ demands. In this perspective, <Green Door> evidently shows a critical point of view that decomposes the ‘Ethnicity’discourse from a female’s standpoint as a post-colonial feminism text.
    Additionally in chapter 2, we can discover the significance as a female novel from the fact that through Yoo Bo-Hwa’s self-awakening it is perceived that all ideologies such as nationalism, imperialism, communism are ideologies of men, and the prospect of overcoming this through bondage of women is presented. Especially, Do Young-Hye accusing the contradiction within men’s ideology represented by Kim Yeong-Seo during the trial, and inversely changing the trial stage into a stage of judgment of men’s sins toward the history of women’s suffering can be evaluated as acquiring a symbolic figure about women as a historical subject.
    In chapter 3, we examined the process of self-recognition as a women being reveal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nsification of feminine reality exposed through the method in which Yoo Bo-Hwa’s inner consciousness is formed, this is to say through such as mirror, wind, sky, and color images. For the various phases of development that Yoo Bo-Hwa shows, for example body, love, parting, violence, marriage, childbirth and etc, in each point of transition Yoo Bo-Hwa’s inner world is expressed through various objective correlatives such as mirror, wind, sky,color images, and this appears as Choi Jung-Hee’s unique way of constructing feminine reality.
    <Green Door> which charges ‘Imperialism’ and ‘Ethnicity’ as oppressive male ideologies, is a work that embodies the pursuit of innate feminine identity that is not mediated by male ideologies, and active meaning can be imposed from the fact that it provides critical reconsideration of the former female discourse centered in maternity, and also the opportunity of searching for the course of active female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