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玄山李玄圭의 삶과 문장관 (Hyeonsan Lee, Hyeon-kyu’s Life and Views of Liter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6.12
37P 미리보기
玄山李玄圭의 삶과 문장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5권 / 4호 / 171 ~ 207페이지
    · 저자명 : 안정은

    초록

    이 논문은 20세기 전반의 근대 한문문장가인 현산 이현규의 삶과 문장관을 살핀 결과물이다. 현산 이현규는 학계에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인물이기 때문에 먼저 선행연구에 나타난 그의 생애와 김문옥이 쓴 〈玄山 李公家傳>를 중심으로 그의 생애와 교유를 정리하고, 이어서 현산의 문집인 《현산집》에 나타난 현산의 문장관, 문장전범을 살펴보았다.
    현산은 한문이 공식적인 종말을 맞은 1894년(갑오년)에, 入山自靖하여 고단한 생활을 해나갔다. 그 와중에도 부친을 비롯한 집안사람들의 지원 속에 한문을 놓지 않았다. 곤궁함에서 훌륭한 문장이 탄생했음을 알고나서는 고인의 글에 전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古文에서 삶의 의미를 찾았고, 이후 독학으로 고문을 터득했다. 현산이 할 수 있는 유일한것이었고, 그 시대를 살아가는 방식이었다.
    또한 현산은 평생 충청도 부여와 기성 일대에서 생활하여 다소 고립된인물로 보인다. 하지만 그의 문장 실력은 정인보, 조긍섭, 변영만 등 당대 저명한 한문학 작가들에게 알려졌다. 그 결과 다른 지역의 근대 한문문장가들과 교유를 맺게 되었다. 한문이 계속해서 소외되는 상황 속에 한문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서로를 골육처럼 생각해 각별하게 생각하고 교류를 계속하였는데, 그 인맥네트워크에 현산이 속해있다.
    현산은 ‘문장은 道가 피어난 것이다’라고 생각했으므로, 도가 포함한 문장을 단순히 ‘기예’라 여기는 견해를 배척했다. 글은 기본적으로 잘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여, 문장의 ‘간결’을 매우 강조했다. 또한 현산은문법 통달을 통해 문사를 통달하고, 이후 전체 문장의 뜻을 터득해야 함을 강조했다. 문법의 강조는 현산이 문장을 정치하게 쓸 것을 강조하는것으로 보여 진다.
    현산이 이상적인 글로 생각한 것은 先秦兩漢의 글이고, 六經수준의글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육경을 읽기 전에 먼저 당나라의 한유, 유종원와 송의 구양수, 왕안석의 글을 숙독하여 글의 취지에 도달할수 있었다. 이후 물 만난 물고기처럼 그들의 글 속에 헤엄치며 정신과 합일하고 글자 하나하나, 구를 뜯어보며 글쓰기의 실체를 만났다. 그렇게몇 년이 지나자 뜻을 어떻게 배치하고[용의], 글자를 어떻게 써야하는지[조사] 알게 되어 의심조차 사라지게 되었다. 이런 과정을 거쳐 현산은문장관과 문장전범을 확립하여 자신만의 문장을 완성시켰다.
    현산은 당시 근현대 한문 식자층의 동반자로서 위로가 되는 존재였으며, 후학들에게 모범이 되었던 충청도를 대표했던 한문문장가였다. 현산의 문장관을 통해 한문학의 전통이 근현대에도 계승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당대 한문문장가의 사유를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he output of looking into the life and view of literature of Hyeonsan Lee, Hyeon-kyu who is a modern writer of Chinese classics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Hyeonsan Lee, Hyeon-kyu is a figure who is not much known to academic circles, so this study first organized his life specified in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his life as well as his social interchange with focus on 〈Hyeonsan Leegongajeon(玄山李公家 傳)>by Kim, Mun-ok; in addition, this study looked into Hyeonsan view of literature and exemplary model of literature shown in 《Hyeonsan Collection of Works》.
    Hyeonsan led a strenuous life by entering a mountain to calm himself in 1894 when Chinese classics formally came to an end.
    Even in the vortex of it, He didn’t desert Chinese classics in the midst of support from his household including his father. He devoted himself to studying Chinese writings of the deceased people after realizing great writings came from destitution.
    Afterwards, Hyeonsan found out the meaning of life from ‘Gomun’ and mastered it through self-study. It was the only thing Hyeonsan could do and also the way of living in that period.
    Also, Hyeonsan seems to be a somewhat isolated figure while living in the whole are of Buyeo and Giseong in Chungcheong-do Province all his life. However, his literary ability was known to the prestigious writers of Chinese classics of the day, such as Jeong, Inbo, Jo, Geungsup, and Byeon, Youngman, etc. As a result, Hyeonsan came to be in contact with modern writers of Chinese classics in other regions. In the circumstances where Chinese classics continued to be isolated, the people, who pursued Chinese classics, continued exchanges with each other by thinking of each other as bone & flesh in strong ties, and to this human networking, Hyeong belonged.
    As Hyeonsan thought that ‘Literary writing is a thing, in which the right path(道) comes into bloom’, he excluded the views regarding literary writings including the right path(道) as simply ‘craft& art.’ Also, Hyeonsan put much emphasis on the ‘brevity’ as he thought that it’s important for a writing to nicely be delivered. In addition, Hyeongsan mastered ‘Munsa’ through the mastery of grammar, and afterwards h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having to master the meaning of the whole text. His emphasis on grammar seems to be equal to the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writing literature elaborately and exquisitely.
    What Hyeongsan thought of as ideal writings are the ones created during the period of Earlier Qin and both Hans(Earlier Han, Later Han) , and endeavored after getting to the level of the 6 Confucian classics. He was able to arrive at the effect of a writing by carefully reading the writings by Han Yu, and Yu, Jongwon in Tang Dynasty, and Ouyang Xiu, and Wang Anshi in Song Dynasty before reading the 6 Confucian classics . Afterwards, like fish finding water, Hyeonsan united himself with spirit while swimming in writings, and finally managed to meet the nature of a writing while looking closely letters one by one and analyzing phrases. With some years passing by that way, Hyeongsan came to know how to place meanings(will) and even how to use characters( preposition), even his suspicion came to disappear from his mind. Through such a process, Hyeongsan finally completed his own literature by establishing his view of literature and norms of literature.
    Hyeonsan was an existence who became a comfort as a companion of the then intellectual class of modern Chinese classics, and set an example for younger students, and a writer of Chinese classics representing Chungcheong-do Province.
    Through this research, this study understands that tradition of Chinese classics has been handed down to the modern period through Hyeongsan’s view of literature, and also understands thoughts of writer of Chinese classics of the 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