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석문 소재 여항인의 묘도문자 제작 (Materials on Middleclass people contained in epigraphs and production of tombston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3.11
26P 미리보기
금석문 소재 여항인의 묘도문자 제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101호 / 243 ~ 268페이지
    · 저자명 : 정우봉

    초록

    이 논문은 《金石集帖》에 수록된 여항인 자료를 통해 조선 후기에 알려지지 않은 여항인에 관한 새로운 사실을 확인하는 한편, 조선후기 여항인의 묘도문자 제작과 관련하여 탑본 자료 및 실물 자료를 함께 고찰하였다. 여항인의 가계 기록 등에 관한 문헌 자료가 많지 않은 실정에서 여항인의 금석문 자료를 다각도로 조사 정리하는 작업은 긴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특히 여항인의 비석은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채 방치되거나 도시 개발과 정비 사업 속에 사라져버린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금석문 자료가 중요하다.
    일본 교토대 도서관에 소장된 《금석집첩》은 조선시대 최대 규모의 탁본집이다. 《금석집첩》(200책, 천자문 번호 羊)에는 洪世泰와 金有鉉에 관한 묘도문자가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여항인만을 한 권으로 묶어놓은 《금석집첩》(173책, 천자문 번호 得)》1책만은 현재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 교토대와 규장각에 소장된 《금석집첩》과 여항인 관련 탁본 자료, 그리고 묘비 실물 자료 등을 함께 아울러 살핌으로써 조선후기 여항인에 관한 보다 풍부한 정보를 탐색하였다. 먼저 규장각 소장본과 교토대 도서관 소장본 《금석집첩》에 수록된 여항인 자료를 살펴보았다. 총 16명이 수록되어 있는데, 金極齡과 皮益煥 등의 여항인에 대해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金義信과 安命說은 여항인의 묘도문자에 글씨를 쓴 여항인 출신 서예가라는 점에서 주목되는바, 이들의 생애와 가계에 대해서도 새로운 정보를 알려준다. 그리고 조선후기 역관을 많이 배출했던 천녕현씨와 우봉김씨 가문의 묘도문자 자료를 분석하였고, 이말산과 초안산 묘역에 전하는 묘비에 새겨진 묘도문자를 함께 다루었다.
    이들 금석문 자료는 여항인 개인에 관해 새로운 사실을 알려주는 데에 그치지 않고, 여항인 특정 가문의 형성, 발전, 변화의 과정을 추정하게 해 준다. 여항인 가운데 서예와 교육, 회화 등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준 인물들이 있었는데, 이들 금석문 자료를 통해 여항인 출신 서예가의 필적을 새롭게 발굴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여항인의 생활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에 일조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dentifies new facts about middleclass peo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data on middleclass people contained in the Geumseokjipcheop, and examines the tombstones of middleclass people in relation to the epigraph data. In the absence of much literature on the family records of middleclass people, it is an urgent task to investigate and organize the data of the epigraph of middleclass people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epigraphs related to middleclass people are often neglected without proper management or disappeared in urban development and maintenance projects.
    The Geumseok Collection, housed in the Kyoto University Library in Japan, is the largest epigraph collection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only one epigraph collection of middleclass people is currently housed in Gyujanggak. In this paper, I examine the Gyujanggak collection, epigraph data on middleclass people, and actual epigraph to explore more information about middleclass peo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First, I examined the data on middle class in the Gyujanggak Collection (173 volume) and the Kyoto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 (200 volume). In total, there are 16 middleclass peoples listed, and the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bout middle class such as Kim Geukryeong and Pi Ikhwan. It is noteworthy that Kim Uisin and An Myeongyeol were calligraphers who wrote on the tombstones of middle class. The paper then analyzes the tombstone inscriptions of the Cheonnyeong Hyeon families and Woobong Kim families, which produced many late Joseon court officers, and the tombstone inscriptions at the Imalsan and Chosan boundaries of graves.
    These data do not only tell new facts about middleclass people, but also allow us to estimate the process of formation, development, and change of a specific family. Among the women in port, there were figures who showed outstanding talent in calligraphy, education, and painting, and through these epigraph materials, the handwriting of calligraphers from port was newly discov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