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전(正典)과 문학 정전(文學正典) (Kanon und Literaturkan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0.11
20P 미리보기
정전(正典)과 문학 정전(文學正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7호 / 75 ~ 94페이지
    · 저자명 : 라영균

    초록

    독일어권에서는 정전 연구가 영, 미권에 비해 비교적 늦게 시작되었으나 최근 들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정전연구는 과거의 문학연구가 정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비판에서 출발하여 새로운 정전을 수립하려는 노력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문학의 생산과 수용 그리고 유통 전반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 사회사(Sozialgeschichte)와 문학의 정체성과 통일성을 부정하며 문학과 비문학, 대중문화와 고급문화의 경계를 폐지하려는 해체주의 및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제분과학문을 통합하는 문화연구(cultural studies)의 새로운 패러다임 속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우선 정전이 무엇이며 정전은 어떤 기능을 하며 그리고 정전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와 연관지어 정전의 문제가 가장 잘 나타나는 문학사기술의 문제점도 함께 고찰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Unter Kanonisierung versteht man im allgemeinen jenen ’Vorgang, in dem bestimmte Kulturaspekte als heilig, verbindlich, vorbildlich usw. festgeschrieben wurden. Da der Kanonisierungsvorgang sich niemals auf den Gesamtbestand verbindlichen Sinns oder Handelns bezieht, geht es ihm um die Auswahl bestimmter Teile, die als Symbol für das Ganze stehen. Beim Literaturkanon geht es um einen Vorgang derselben Art, und zwar um die Auswahl von Beständen an Literaturwerken, deren Kenntnis in einer bestimmten Gesellschaft als Kriterium literarischer Bildung angesehen wird.
    Kanonbildung ist im allgemeinen kein selbstverständlicher, sondern ein bewußter Akt, so ist auch die Fest- bzw. Fort- bzw. Neuschreibung des Literaturkanons ein Vorgang, an dem sich verschiedene Institutionen des Literaturbetriebs beteiligen. Dazu gehören die Verlage und ihre Lektorate, die Kritik in den Massenmedien, die Schulen, Schulbücher und Lehrpläne, die Universitäten und die Literaturwissenschaft selbst, die Vorlesungen und Literaturgeschichten, die Anthologien und Literaturzeitschriften, die Jurys, Preise und die literarischen Gesellschaften, der Theaterbetrieb und eben auch die Symposien. Diese Instanzen wirken also beim Kanonisierungsprozeß zusammen, in welchem Beurteilung und Auswahl von literarischen Texten, deren Einordnung in den oder Ausschluß aus dem Kanon vollzogen wird.
    Der Literaturkanon bezieht stets Objekte auf Werte, weil es ihm um die Auswahl überlieferungswürdiger literarischer Werke, um die Beurteilung ihrer Qualität und um die Rangordnung zwischen ihnen geht. Die herangezogenen Werte sind selbstverständlich nicht a priori gegeben oder ausmittelbar, sondern sie erweisen sich vielmehr als von Macht, Interessen und Geschmack im Literaturbetrieb abhängig, sowie auf vorhandene Normen, deren Autorität anerkannt wird, bezogen. So zielt der Literaturkanon also einerseits auf die Normierung ab, andererseits orientiert er sich seinerseits an überkommener Norm.
    Trotzdem ist man oft mit dem Problem des Kanonunterschieds bzw. der Kanonverschiedenheit konfrontiert. Die herrschende Meinung ist veränderlich bzw. herrscht sie nicht immer über sämtliche Gruppen, nicht gleichzeitig über alle sozialen oder intellektuellen Milieus oder nicht über sämtliche Regionen z.B. eines größeren Sprachgebiets. Unvermeidlich sind darum gewisse Schwankungen der Kanoninhalte, je nachdem für welche Gruppen sie grenzbildende Verbindlichkeit beanspruchen. Die Koexistenz miteinander konkurrierender Kanons erweist sich etwa beim Vergleich der Rezensionen zu manchen schon traditionell umstrittenen Autoren als schlichtes Faktu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