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도종료형 생략문의 기능 및 용법 - 접속조사 중도종료 생략문을 중심으로 - (Functions and Usage of Incomplete Utterance Type Abridged Sentenc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5.02
20P 미리보기
중도종료형 생략문의 기능 및 용법 - 접속조사 중도종료 생략문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연구 / 92권 / 1호 / 133 ~ 152페이지
    · 저자명 : 윤상실, 이지현

    초록

    日本語は、一般的に省略が多い言語であると知られている。本稿では省略 表現の中でも、使用頻度の高い接続助詞「て、から/ので、けど/が、し、の に、ば/たら」などで終わる、いわゆる中途終了型省略文に焦点を当て、省略 文の機能と用法について考察した。まず、省略文を大きく3つのタイプに分け、省略Ⅰ型· 省略Ⅱ型· 省略Ⅲ型 を設定した。省略Ⅰ型は、後行文が省略されているが、前後の文脈から類推 され、後行文の復元が可能なものである。省略Ⅱ型は、後行文が省略されて いる点では省略Ⅰ型と同じであるが、後行文が具体的に想定できず、復元が 不可能なものを指す。省略Ⅲ型は、通常の語順を逆にしたいわゆる倒置文で あり、当然先行文と後行文の元の位置関係に復元が可能なものである。 また、これらの省略文の機能は、反復回避機能、緩和機能、聞き手発話誘 導機能に分類できることについて述べた。反復回避機能は前後の文脈から繰 り返しになるはずの内容を省略することにより、伝達内容に対する文の簡潔 性と効率性を確保するための機能であり、聞き手を配慮する機能とは直接的 な関連性が薄いものである。緩和機能は、命令․禁止、非難、拒否、不満など 相手に心理的負担をかけるような表現を避け、省略することで積極的に聞き 手配慮に関与する機能である。また、聞き手発話誘導機能は、中途終了の形 で文の完結を示す形をとって、発話の展開に聞き手も参加できる余地を与 え、発話の流れを促す機能であり、基本的には聞き手配慮にも関与する機能 である。

    영어초록

    Japanese is considered to be a language with a lot of ellipsis as a whole. This study explored the types and functions of an abridged sentence ending with high-frequented conjunctive particles like 「te, kara/node, kedo/ga, si, noni, ba/tara」, focusing on the so-called incomplete utterance type abridged sentence.
    At first, the abridged sentence was set as three types largely, which is specifically as follows. Ellipsis type I is in which the latter sentence is omitted, but the restoration of the latter sentence is possible considering front and back content. Ellipsis type II is the same as ellipsis type I in that the latter sentence is omitted, but the restoration of latter sentence is impossible as it is difficult to specifically be envisaged. And ellipsis type III is a so-called inverted sentence reversing the front sentence and latter sentence, whose position restoration is possible.
    The function of this ellipsis sentence can be classified as repetition avoiding function, alleviating function, and usage as a sentence-final particle. The repetition avoiding function is what omits the repetition at front and back content and secures the brevity and effectiveness of a sentence to delivered content, bears little direct relation with function of considering the listener. The alleviating function is what omits the expression without directly indicating that giving burden to the other party such as order, refusal and blame etc. and involves in considering the listener. The usage as a sentence-final particle is what indicates the completion of a sentence in a type of incomplete utterance and facilitates the flow of utterance, basically involves consideration of the listen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