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文昭殿 樂章 硏究 (A Study on Munsojeon Akja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0.02
23P 미리보기
文昭殿 樂章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문화연구 / 25호 / 289 ~ 311페이지
    · 저자명 : 조규익

    초록

    조선조 五禮 가운데 吉禮가 있고, 문소전의 享祀는 종묘의 향사와 함께 길례의 중요한 항목이다. 따라서 조선조 중엽까지 국가 제례에서 문소전이 차지한 위치는 매우 중요했다. 기록에 따르면 세종 15년(1433) 악장을 포함한 문소전 제향의 모든 절차가 갖추어진 것으로 보인다. 保太平과 定大業이 세종 28년(1446)에 제작되었고, 그것들이 세조 9년(1463)에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었음을 감안하면, 문소전의 악장이나 음악은 종묘제례악에 비해 짧게 잡아 13년 길게 잡아 30년이나 앞서는 일이다. 따라서 문소전의 악곡이나 악장 혹은 祭儀가 종묘제례의 모범적 선례로 작용했을 가능성, 즉 문소전의 제향이 조선조 제례문화의 선구적 위치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문소전의 초헌, 아헌악장들은 첫 부분에 제사의 대상을, 다음 부분에 그 대상이 이룩한 생전의 치적과 덕을, 마지막 부분에 기원을 각각 늘어놓았다는 점에서 내용 전개의 방법이 모두 동일하다. 이 점들은 송나라, 고려, 조선의 정격 악장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할 수 있고, 그 始源은 『시경』의 송이다. 문소전의 악장들을 관통하는 핵심적 주제어는 천명과 도덕적 당위 즉 도리다. 태조가 하늘로부터 천명을 받았으므로 조선왕조의 개창은 至高至善한 사업이고, 그것을 이어받은 嗣王들의 공업은 ‘백성을 위하고’ ‘왕조의 영속을 담보하는’ 도덕적 당위로 定位되었다. 문소전의 초헌 악장들은 정격의 4언으로 이루어졌으며, 아헌 악장들은 약간 다르다. 세종 대에 제례악장들 가운데 일부는 새로이 창작되었으나, 그 형태나 내용 면에서 기존의 정격 악장으로부터 크게 벗어날 수는 없었다. 건국 초기 옛 제도를 일신했으나, 제례악장은 옛 제도에 따라 개작되었고, 그런 추세는 태종 때에 더욱 강화되었으며 세종 대 전반까지도 크게 변함이 없었다. 이 경우 옛 제도란 중국 혹은 중국의 것을 도입한 고려의 제도를 말하는데, 주로 제례에 사용한 정격악장의 맥은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시경-송-고려악장’으로 이어지는 오랜 시간의 前史에 이어 문소전 악장이 출현했으며, 문소전 악장은 그 다음에 출현하는 ‘보태평’, ‘정대업’ 악장의 모범적 선례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보태평과 정대업이 나중에 종묘제례악으로 바뀐 점을 감안하면, 상당 기간 문소전 악장은 조선조 제례악장의 표준형으로 인식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acrificial rites of Munsojeon is an important ritual item of dynasty's happy ceremonies with the rite of Jongmyo. Munsojeon's place in dynasty's sacrificial rituals was very important till about the middle of the time of Joseon dynasty. According to documents, all processes with Akjang of Munsojeon rite are supposed to be set up at the 15th year of King Sejong(1443). Botaepyeong and Jeongdae'up were made at the 28th year of King Sejong(1446), and those were adopted as Jongmyojerye'ak. If we take these facts into consideration, the akjang or music of Munsojeon goes before from 13years to 30years comparing to Jongmyojerye'ak. Therefore, we can say that Munsojeon rite belongs to pioneer place of the ritual culture of Joseon Dynasty. They showed the object of rites in the 1st part of the Choheon and Aheon Akjang works of Musojeon, result of administration in the 2nd part, and petition in the last part. We can find out this points in the proper form Akjang of Chinese Sung Dynasty, Gyryeo and Joseon Dynasty, commonly. Its origin was the Book of Odes. The core key word of Munsojeon Akjang works is Heaven's will or moral appropriateness. Because Taejo received order from the Heaven,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is a supreme good project. And achievements of succeeding kings were set up as a moral appropriateness which they did for the sake of people and give to pledge in security for dynasty's eternal continuity. The Choheon Akjang works of Munsojeon are made with a proper form of 4 letters, Aheon Akjang works are a little different. Some works of the ritual Akjang in the King Sejong period was made newly, those could not get out of existing proper Akjang style to such an extent. They renewed their old systems in the early days of dynasty, yet the Jerye Akjang works remade following the old system, trend like that was intensified at the King Taejong period and unchanged to the early stage of the King Sejong. In this case, the old system is Goryeo Dynasty's system introduced from China. The vein of Akjang in the proper style mainly used in sacrificial rites was continued unchanged. Therefore, Munsojeon Akjang appeared after the Akjang's synchronic chain of 'the Book of Odes-Sung Dynasty-Goryeo Dynasty', and it played an important role of exemplary precedent for Botaepyeong and Jeongdae'up Akjang. If we take the fact that Botaepyeong and Jeongdae'up were changed to Jongmyojerye'ak into consideration, we can understand Munsojeon Akjang was recognized as a standard of Joseon Dynasty's Jerye Akjang for considerable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