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초·중반기 목단문(牧丹文)의 전개와 표현 특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Development and Expression of Peony Design in the early and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8.01
44P 미리보기
선초·중반기 목단문(牧丹文)의 전개와 표현 특징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91호 / 333 ~ 376페이지
    · 저자명 : 김지선

    초록

    동양에서는 식물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관습이 있어 왔다. 특히 꽃 중에서는 모란(牧丹)을 예로부터 꽃 중의 왕(花中王)으로 여겨왔으며, 부귀영화(富貴榮華)와 아름다움을 상징하여 그림이나 공예품의 장식문양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모란문(牧丹文)이 여러 시대를 거쳐 다양한 영역에서 작품화되었다. 통일신라시대를 거처 고려시대까지는 공예품(工藝品)·와당(瓦當) 등에서 자주 표현되다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그 표현범위가 불화·보자기(褓)·흉배(胸背)·도자기·회화작품 등으로 확대되어 다양하게 시문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당시 엄격한 반상사회(班常社會)와 유교정신과는 상반된 금력(金力)이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부상하면서 모란문의 선호도가 높게 되었다. 이러한 풍조는 후기에 이르러 서민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문화·예술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모란문이 문인화와 회화작품으로 제작하게 되었다.
    특히 조선 초·중반기에 이르러서는 모란문의 표현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발전하였는데, 유형으로는 불화 · 초상화 속의 흉배·어보(御寶) 속의 보자기·도자기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먼저 종교적 이념을 표현한 불화 속의 모란문은 귀족·왕족계층의 취향에 맞는 화려하고 섬세한 양식의 고려시대 불화와 달리 일반 민중의 취향에 맞게 제작되었으며, 대표작으로 약사삼존도(藥師三尊圖)·아미타오존도(阿彌陀五尊圖)·지장시왕도(地藏十王圖)·감로도(甘露圖) 등이 있다. 약사삼존도와 감로도의 경우 단상 위·아래에 다양한 재물들과 함께 화병에 꽂혀지거나, 단상을 장식적 요소로 꾸미기 위해서 새겨 넣었으며, 아미타오존도와 지장시왕도의 경우 부처님의 법의(法衣)·가사(袈裟) 주변에 패턴형식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초상화 흉배 속의 모란문의 경우 문관과 무관이 각각 다른 상징적인 문양들을 넣어 장식적인 효과 이외에도 계급사회의 구별을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영향은 왕실문화의 전유물인 어보를 보관하는 보자기에서도 살펴 볼 수 있다. 당시 어보를 포장하는 보자기에 표현된 모란꽃은 단독으로 표현된 경우와 다른 꽃들과 혼합하여 표현되는 경우가 있는데 국가의 보배인 만큼 보자기 속의 모란꽃은 크고 화사하게 표현되어 그 위용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도자기의 경우 종류와 기법에 따라 표현양식들을 달리하고 있는데, 분청사기의 경우에는 선을 중심으로 시원스럽고 생략된 형태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형태로 표현되어 있으며, 백자의 경우 회화작품을 보듯 자유분방함과 동시에 간결한 형태로 묘사되었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이와 같이 조선 초·중반기에 형성된 모란문의 전개양상과 표현의 특징을 규명하여 한국 모란문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In East, there has been a custom of giving special meanings to plant. Especially, peony was called as the king of flowers and was used in paintings and ornament pattern of artistic handicrafts symbolizing wealth, prosperity and beauty.
    In Korea, peony design was used in various field of art throughout the ages. From Unified Silla period to Goryeo dynasty, peony design was showed often in artistic handicrafts · roofend tile and through Joseon dynasty, range of expression was extended to the painting of the Buddha·cloth·rank badge·pottery·art painting and started to be used variously.
    Especially in Joseon dynasty, preference of peony design was high while money power which is contrary to the strict high and the low society and spirit of the Confucianism rose to the new standard of value.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is trend also influenced common people and peony design was used in literary and art paintings as people started to get interested in culture · art.
    Especially in the early·middle Joseon dynasty, peony design started to show in various field and the type of it can be found in the painting of the Budhha, rank badge in portrait, cloth in the royal seal and pottery. Especially, peony design shown in the painting of the Buddha which is expressing religious ideology was made to ordinary people’s taste unlike the painting of the Buddha of Goryeo dynasty which is fancy and delicate style of noble and royal class. There are painting of Yaksa Buddha Triad·five Amitabha·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Gamrodo in major works of it.
    Painting of Yaksa Buddha Triad and Gamrodo were put in the flower vase with various treasure on and under the podium and carved in the podium for decoration. Painting of Amitabha and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were expressed in the form of pattern painting around the sacerdotal robe of the Buddha and monk. Also, peony design in the rank badge in portrait, pattern of military officers and civil servants are different and it shows not only decorative effect but also hierarchical society apparently.
    These effect reached to the culture of royal family and therefore it can be seen in the cloth keeping the royal seal. Peony that shown in the cloth keeping the royal seal at that time was expressed alone or with other flowers and peony in the cloth also big and gorgeous as it is a national treasure.
    Also, pottery differs forms of expression depending on the type and technique and in case of a grayish-blue-powdered celadon, it is expressed in the big, well-defined and omitted form centered on the line and also abstract form, and in case of white porcelain, it is described in the form of free and concise at the same time as art painting.
    Therefore in this paper, I tried to look for the identity of Korean peony design investigating the feature of development and expression of peony design formed in the early·middle of th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