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剛大道의 『敎諭文』에 나타난 『周易』과 그 易學的 의미: 人道의 근원과 도덕 실천을 중심으로 (On the principle of the I-Ching in the 『Jiàoyùwén(敎谕文)』 of Kumkangdaedo: The origin of morality and the practical of moral)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2.08
29P 미리보기
金剛大道의 『敎諭文』에 나타난 『周易』과 그 易學的 의미: 人道의 근원과 도덕 실천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44호 / 385 ~ 413페이지
    · 저자명 : 임병학

    초록

    金剛大道가 儒·佛·仙 3교의 합일을 통한 종교사상을 전개하고 있지만, 그 첫 번째 저작인 『敎諭文』에서는 유학의 학문적 체계를 중심으로 교리를 설명하고 있다. 『敎諭文』에서는 易學의 학문적 탐구과제인 易道를 표상하는 天地人 三才之道를 근거로 『周易』의 내용을 인용하여, 人道의 근원인 乾坤과 도덕 실천의 내용인 仁義 그리고 도덕 실천과 先後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먼저 제2장 ‘人道의 근원인 乾坤’에서는 乾坤의 의미와 그것이 도덕 실천의 근원임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즉, 『교유문』에서는 건곤이 易道에 들어가는 문으로 變化之道를 표상하고 있으며, 乾坤의 뜻을 이은 군자가 仁義道德을 실천하게 됨을 설명하고 있다. 또 乾坤이 天地의 인격성을 상징하기 때문에 부모를 부가하여 乾坤父母라 하였다.
    제3장 ‘도덕 실천의 내용인 仁義’에서는 『周易』과 四書를 인용하여 仁義는 도덕의 본원으로 공자와 맹자의 道임을 설명하였으며, 仁義는 仁義禮智 四德을 집약한 것으로 天道인 元亨利貞이 인간에게 품부된 것이기 때문에 인간 삶의 근본이 됨을 밝히고 있다. 仁義의 도덕적 실천은 父子有親·君臣有義·夫婦有別·長幼有序·朋友有信의 오륜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마지막 제4장 ‘도덕 실천과 先後天’에서는 先天은 기운이 자라는 과정이라면 後天은 기운을 보존하여 지탱하는 시기라 하고, 선천과 후천은 있는 것도 아니요 없는 것도 아니다하여 先後天이 일체적 관계임을 설명하고, 이것이 도덕 실천의 실존적 주체인 군자의 도덕적 자각의 문제로 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ough Kumkangdaedo(金剛大道) has religious thought that joining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he first chapter of it, study system of Confucianism is mainly doctirn. In 『Jiàoyùwén(敎谕文)』,First, chapter 2 「Heaven and Earth(乾坤) of morality source」, I Wanted to announce the meanig of Heaven and Earth and it is the source of morality. 『Jiàoyùwén(敎谕文)』 explained the Heaven and Earth is the door to enter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易道) and it represents the change of Dào(道), and the man of virtue(君子) that take over meaning of Heaven and Earth is practicing the humanity and justice(仁義). And because the Heaven and Earth represents character of Heaven and Earth, it named Heaven and Earth father and mother(乾坤父母) adding to father and mother(父母).
    In chapter 3 「humanity and justice(仁義) the content of moral practice」, it is explains that humanity and justice is the Dào of Confucius(孔子) and Mencius(맹자)'s through quoting the Book of Changes and the Four Books. In addition it says that humanity and justice is basis of human life. moral practice comes through the moral rules to govern the five human relations(五倫).
    In chapter 4「moral practice and XiānHòutiān(先後天)」, apriority is vigor's growing process and Hòutiān(後天) is time to preserve and sustain vigor. Ultimatly Xiāntiān(先天) and Hòutiān are oneness, tthe man of virtue must realize tha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