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한기 『人政』의 교육학적 의의와 한계 - 『人政』, 「敎人門」을 중심으로 (Pedagogical Meaning and Limitations of Choi Han-Ki’s Injeong 『人政』』: Concentrating on Gyoinmun 「敎人門」 in Injeong 『人政』』)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2.06
31P 미리보기
최한기 『人政』의 교육학적 의의와 한계 - 『人政』, 「敎人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48권 / 181 ~ 211페이지
    · 저자명 : 정용수

    초록

    이 논문은 최한기의 교육철학이 지니는 의미와 한계를 그의 저서인 인정의 교인문을 통해서 살피고자 기획되었다. 『人政』의 체제는 대체로 「測人門」 7권, 「敎人門」 6권, 「選人門」 6권 그리고 「用人門」 6권의 네 부문으로 나뉘어 있으며, 그 각 부문은 그 편명이 드러내는 바, 인정은 사람을 헤아리는 일에서부터 사람을 등용하는 일에 이르는 것으로 교육학, 인사행정학, 인적자원개발, 사회심리학, 인사관리학을 아우르는 책이다.
    그의 교육철학의 요소를 필자는 크게 세 부문으로 나누어 보았다. 인도철학, 학문론, 교육론이 그것이다. 우선 인도철학은 종래의 성리학이 주장하는 理 중심의 형이상학적 사변에서 벗어나서, 자신의 기철학을 기반으로 시작해서 仁道를 통론하는 일은 일생을 관철해서 이루어야 하는 일이기에 과거로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로 연결되어 전수되어야 한다. 만약 그러한 연결성을 잃은 것은 제대로 된 仁道도 아니고 학문도 아니라고 설파한다. 즉, 개인적 일신영달을 위한 공부나 부귀영화를 목적으로 하는 공부는 보편성을 결여해서 만인을 위한 가르침이 아닌 것이다. 보편성에 기초한 인간중심주의를 지향한다.
    둘째로 자신의 학문을 기학으로 정의하고, 이것이 바로 실질적인 학문, 즉 실학이라고 주장한다. 자신의 실학은 형이상학적 유명론에 머무르지 않고 구체적 경험과 증험에 기초하는 실질적 학문을 지향하겠다는 점을 천명하고 있는 것이다. 최한기는 자신의 학문, 즉 기학이 실질의 학문인 실학이라고 스스로 당당하게 설파한다. 아울러 그는 서양의 과학과 아울러 학문방법론으로서 귀납적 방법을 시도한다.
    셋째로 경험과 증험에 바탕한 교육론을 제시하고 있다. 최한기는 교육의 과정을 자신의 活動運化, 즉 運化에 입각한 가르침을 일생을 통하여 경험을 통해서 어린 시절의 어림짐작과 의혹을 풀어가는 과정으로 보았다. 이 運化라는 개념은 세계가 부단히 변화 발전한다는 관점으로서 운동, 진화, 진보 등의 계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운화는 세계 안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 내재한 원리이고 그런 점에서 서양에서의 엔텔레케이아와 같은 것이다. 이러한 교육관 뿐만 아니라 사농공상 등 다양한 계층에 대한 교육을 주장했으며 여성이나 장애인에 대한 교육을 주장했다는 점에서 근대적 보편교육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론의 토대 위에 당시의 과거제도가 갖는 폐단을 지적하고 인재 등용을 위한 천거제도의 병행을 주장한다.
    최한기의 교육이론이 갖는 혁명적인 특징에도 불구하고 그의 이론은 몇가지 점에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우선 그의 출신이 窮班寒族인 관계로 자신의 사상을 뒷받침해줄 수 있는 인적 인프라가 부족했었다. 또한, 『人政』이 갖는 결정적인 한계는 구체성의 결여에 있다. 『人政』의 저술적 방대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운화론에 기초한 구체적 교육실천 계획이 언급되고 있지 않다.

    영어초록

    This thesis was designed to examine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Choi Han-ki's pedagogy through his book, Injeong's『人政』, Gyoinmun「敎人門」. The system of Injeong『人政』 is roughly divided into four sections: Chekinmun「測人門」 with 7 volumes, Gyoinmun「敎人門」 with 6 volumes, Suninmun「選人門」 with 6 volumes, and Yonginmun「用人門」 with volume 6. Each has its functions in which the name reveals, the functions have ranges from counting people to hiring people.
    I have divided the elements of his educational philosophy into three main theme. These are Indo(人道) philosophy, science theory, and education theory. First of all, Indo(人道) philosophy breaks away from the metaphysical speculation centered on principle as claimed by the conventional Neo-Confucianism, and starts based on one's own philosophy, and as it is a task that must be accomplished through life, it is connect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the future. It is preached that it is neither proper guidance nor science to lose that connection. In other words, studies for personal improvement or for the glory of wealth and honor lack universality and are not teachings for all people. We aim for anthropocentrism based on universality.
    Second, he defines his own discipline as Ki-hak(氣學) and claims that this is the actual science, that is, Sil-hak(實學). His Sil-hak is declaring that he intends to pursue a practical study based on concrete experiences and testimonials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metaphysical nominalism. Choi Han-ki proudly proclaims that his science, that is, Ki-hak, is the real science, Sil-hak. In addition, he attempts an inductive method as an academic method along with western natural-science.
    Third, he presents an educational theory based on experience and empirical evidence. Choi Han-ki viewed his education process as a process of resolving the guesswork and suspicions of his childhood through his lifelong experience of teaching based on his own transformation, that is, transformation. This concept of Unhwa運化 includes the moments of movement, evolution, progress, etc and starts from the point of view that the world is constantly changing and developing. This rhyme is a principle inherent in everything that exists in the world, and in that respect it is like Entelecheia in the western philosophy. In addition to this view of education, he insisted on education for various classes such as learned men, farmers, industrialists and merchant as well as presenting a modern universal education theory in that he insisted on education for women and the disabled. On the basis of this education theory, it points out the negatives of the past system at the time and argues for the parallel recommendation system for the appointment of talents.
    Despite the revolutionary characteristics of Choi Han-ki's education theory, his theory has limitations in several respects. First of all, because he was from the poverty and ethnic group, he lacked the human infra to support his ideas. Also, the decisive limitation of Injeong『人政』 lies in the lack of concreteness. Despite the vastness of the writing of Injeong『人政』, no specific educational practice plan based on his own Unhwa Theory is mentio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