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묵재일기(黙齋日記)』에 나타난 자녀교육과 갈등의 형상 (Child Education and Conflicts Shown in Mukjae’s Dia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6.04
31P 미리보기
『묵재일기(黙齋日記)』에 나타난 자녀교육과 갈등의 형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39권 / 111 ~ 141페이지
    · 저자명 : 조은숙

    초록

    본고는 16세기 중반 사대부 묵재 이문건(1494~1567)의 개인 한문 일기인 『黙齋日記』속에 나타난 자녀교육과 갈등 형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470년 전에 기록 된 한 사대부 남성의 일기를 추체험함으로써 오늘날 자녀교육을 되짚어 생각해보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16세기 생활상을 알 수 있는 대표적인 일기 자료는 이문건의 『黙齋日記』,유희춘의 『眉巖日記』, 오희문의 『瑣尾錄』등이 있다. 이들의 일기는 1535년부터 1601년까지 대략 70여 년의 연속성을 보여주는데, 당대 생활 일기의 특성을 엿볼 수 있다.
    이 일기 중에서 본고가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묵재일기』인데, 특히 이문건의 일기 기록 시기가 42세부터라는 점은 당시 자녀 교육의 실제 모습을 엿 볼 수 있는 중요한 일기 자료의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왜냐하면 현재까지 16세기에 기록된 일기 기록 중에 자녀를 양육하던 당시의 실제 모습을 체험적으로 보여 준 일례가 희귀하기 때문이다. 즉 현재까지 남아 있는 16세기 일기의 대부분은 작가의 노년에 해당하는 기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문건의 『묵재일기』는 자녀 교육과 갈등의 형상을 여실하게 형상화한 보기 드문 작품이다. 일기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자기 고백적인 글쓰기다. 이문건 글쓰기는 서로 병치할 수 없는 모순점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이문건이 글로써 자신을 온전히 그리고 적나라하게 드러낼 수 있었다는 것은 글쓰기가 갖고 있는 치유의 힘이라고 생각한다. 이문건은 자식의 못 남을 낱낱이 보여 주었다. 그리고 자신이 행한 부도덕하고 치부가 될 수 있는 행동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직접 표현은 하지 않았지만 이문건의 자식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느낄 수 있었다. 이문건의 지나친 솔직함으로 일기를 읽는 독자가 오히려 불편함을 느낀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이문건의 괴로움도 그만큼 큰 것이었음에 대한 반증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문건 글쓰기는 폭력성을 내포한다. 자신의 행위에 대한 정당성의 나열이지 반성이 없다. 회한과 한탄이 있을지언정 구체적인 후회의 감정과 자신의 행위에 대한 개선의 의지로써 반성이 없다는 점에서 그의 글은 폭력적으로 읽힌다.
    부모가 된다는 것은 연습 없이 시작된다. 모든 부모가 자녀를 교육하며 겪는 시행착오가 있기 마련이다. 『묵재일기』는 유교적 엄숙주의와 경건주의, 그리고 가문계승과 출세지향이라는 강박증을 지닌 한 조선 사대부 이문건이 겪은 초보 아버지로서의 민낯이다. 더불어 『묵재일기』는 어쩌면 현대를 살아가는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이고, 돈과 권력지향적인 강박증에 살고 있는 우리 부모의 또 다른 모습일지 모른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준다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iewed Child education and related conflicts shown in ‘Mukjae Ilgi (Mukjae’s Diary)’, a personal diary of Lee, Mun Geon(1494~1567) whose pen name was Mukjae. It was written in Chinese letters. By tracing the diary of a noble man written 470 years ago, this study intends to have a chance to think over Child education of today.
    There are several diary documents that show the lifestyle of the 16th centuries: including LEE Mun Geon’s ‘Mukjae’s Diary’, Yu Hee Chun’s ‘Miam Diary’ and Oh Hee Mun’s ‘Soemirok’. These diaries have continuity for about 70 years from 1535 to 1601,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aries of that time.
    Among them,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Mukjae’s Diary. Lee started to write the diary when Lee was at the age of 42, which suggests that it can be a valuable source to look into actual Child education in the 16th century. Diaries in the period seldom offer such experimental record of raising a child. Most of the diaries of the 16th century remained to the present described the senior life of the writers.
    Lee Mun Geon’s ‘Mukjae’s Diary’ is a rare piece that vividly described child education and conflicts with them.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diary is that it was written in a self-confessional form. Lee’s diary has inconsistent ideas that cannot be juxtaposed. Namely, Lee could express himself via writing entirely and plainly, which is the healing power of the writing. Lee disclosed his children’s weakness without reservation. Also, he revealed his behaviors in detail which might be even immoral or disgraceful. His excessive candid description makes readers uncomfortable in some way, which may be the counter-evidence that Lee’s agony was severe that much.
    On the other hand, Lee’s writing implies violence. He continuously justifies his act without self-reflection. He may regret or lament, but such feelings failed to become an introspection to improve his behaviors, and that makes his writing feel violent to the readers.
    Becoming a parent begins without a drill. Every parent undergoes trials and errors while raising a child. Mukjae’s Diary shows a bare face of an inexperienced father named Lee Mun Geon, a noble man in Joseon Dynasty who was obsessed with Confucian stoicism and pietism, as well as a sense of obligation for family succession and desire for success in terms of career. And, it may also give us implications for parents in modern days, as it reflects our behaviors that are selfish, self-centered and obsessed with wealth and pow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