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책홍보 숏폼 콘텐츠의 자막과 정보원 직책 표기 유⋅무 차이에 따른 시청자의 태도 분석 -국토교통부 숏폼을 중심으로- (Analysis of Viewers’ Attitud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ubtitles and Job Title Source in Policy Promotion Short-Form Content -Focused on Short-form Content of the Ministry of Land, Inf)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3.06
11P 미리보기
정책홍보 숏폼 콘텐츠의 자막과 정보원 직책 표기 유⋅무 차이에 따른 시청자의 태도 분석 -국토교통부 숏폼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9권 / 2호 / 157 ~ 167페이지
    · 저자명 : 백종하, 김종무

    초록

    미디어 플랫폼과 인터넷 그리고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시청자들은 원하는 시간에 편리하게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되었고 특히 자투리 시간에도 시청이가능한 숏폼(Shot-Form) 콘텐츠가 인기가 끌고 있다.
    그러나 숏폼의 짧은 재생 시간은 정책홍보 콘텐츠 내용을 잘 전달하는 데 제약이 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숏폼 정책홍보 콘텐츠에 자막과 함께 정보원의 직책을 표기하여 시청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본연구는 이러한 자막과 정보원의 직책 표기가 시청자시청 태도(호감도, 신뢰도, 추천의도)에 어떤 영향을주는지 알아보고자 39초 국토교통부 정책홍보 숏폼콘텐츠에 자막과 정보원의 직책 유⋅무 표기만을 달리한 총 4편의 영상을 제작하고 온라인 설문을 하였다. 실험을 위해 피실험자를 4개 그룹으로 나누고, 한그룹당 한 개의 영상만을 시청하게 한 후 설문에 참여하게 하였다. 설문 기간은 2022년 4월 1일부터 4월29일까지 총 4주 동안 수행하였다. 총 245부의 설문이수집되었으며,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및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국토교통부 정책홍보 숏폼 콘텐츠 유형(자막과 정보원의 직책 표기 유⋅무) 차이에 따른시청자의 호감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나타났으며, 자막 유⋅직책 유 유형이 가장 높은 호감도를 보였고, 반대로 자막 무⋅직책 무 유형이 가장낮은 호감도를 보였다. 둘째, 국토교통부 정책홍보 숏폼 콘텐츠 유형 차이에 따른 시청자의 신뢰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막 유⋅직책 무 유형이 가장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 반대로 자막 무⋅직책 무 유형이 가장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셋째, 국토교통부 정책홍보 숏폼 콘텐츠 유형 차이에따른 시청자의 추천 의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막 유⋅직책 유 유형이 가장 높은 추천 의도를 보였고 반대로 자막 무⋅직책 무 유형이 가장 낮은 추천 의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정책홍보 숏폼 콘텐츠에 표기된 자막과 정보원의 직책 표기 유⋅무가 시청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이해하는 데, 실무적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widespread use of media platforms,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viewers can now conveniently watch content at their desired time, and short-form content that can be viewed while on-the-go or during fragmented time periods is particularly popular.
    However, the short playing time of short-form content is limiting the ability to effectively convey the contents of policy promotion. To address this, some short-form content includes subtitles and information on the positions of information sources to aid in understanding the conte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subtitles and information on information sources affect viewer attitudes (liking, trust, recommendation intention) by creating a total of four videos of a 39-second policy promotion short-form content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ith and without subtitles and information on information sources, and conducting an online survey. For the experiment,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each group was assigned to watch only one video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four weeks, from April 1st to April 29th, 2022. A total of 245 survey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software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viewer lik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policy promotion short-form content (with or without subtitles and information on information sources), with the type with both subtitles and information on information sources showing the highest liking and the type without both showing the lowest liking. Second, viewer tru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policy promotion short-form content, with the type with subtitles and no information on information sources showing the highest trust and the type without both showing the lowest trust. Third, viewer recommendation inten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policy promotion short-form content, with the type with both subtitles and information on information sources showing the highest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the type without both showing the lowest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practical help in understanding how subtitles and information on information sources affect viewers in policy promotion short-form cont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