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원효 수행 관법에 대한 연구 - 금강삼매경론의 무상관(無相觀)과 삼공(三空)을 중심으로 - (A Study on Wonhyo’s Practice of Contemplating Phenomena - Focusing on the contemplation of signlessness and the three voids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21.11
32P 미리보기
원효 수행 관법에 대한 연구 - 금강삼매경론의 무상관(無相觀)과 삼공(三空)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100호 / 69 ~ 100페이지
    · 저자명 : 김영미

    초록

    한국의 대표적인 성사(聖師)로 주목받는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에서 선(禪)의 실천적 수행을 보여주는 ‘일미관행(⼀味觀⾏)’으로 관법(觀法)을 전체적으로 설명한다. 원효는 수행 관법을 크게 초지(初地) 이전과 이후로 구분한다. 십지(⼗地)의 초지에 들기 이전의 수행자가 닦는 아공 · 법공 · 평등공의 삼공(三空)에 대해 설명한다. 초지 이후에는 공상역공(空相亦空) · 공공역공(空空亦空) · 소공역공(所空亦空)의 삼공(三空)으로설명한다.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의 육품(六品)에서 일심으로 귀의하는 다양한 관법들을 수행자의 수행 종성과 계위에 따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수행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무상법품」의 무상관(無相觀)과 「입실제품」의 삼공(三空)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무상관은 방편관(⽅便觀)과 정관(正觀) 으로 나눌 수 있는데, 방편관으로써 무이중도(無⼆中道)를 증회(證會)할 수 있고, 정관(正觀)으로써 일심본각(⼀⼼本覺)에 도달한다. 무상관을 다시 더 세밀하게 동행총상관(同⾏總相觀) · 이행별상관(異⾏別相觀) · 진관(眞觀)으로 구분한다. 동행총상관은 일심의 본체가 심아상(⼼我相) 뿐만 아니라 모든 상을 다 여의었음을 천명(闡明)하는 관이고, 이행별상관은 인집(⼈執)과 법집(法執)을 여의는 법을 구체적으로 다스려서 실제(實際)에 이르게 하며, 진관으로 유무의 견해를 여의어 결정성에 들게 한다.

    영어초록

    Wonhyo, who attracts attention as a representative Zen master in Korea, explains contemplating phenomena as the contemplation practice that has but a single taste. This expresses the practice of dhyana in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Wonhyo largely classifies the practice of contemplating phenomena before and after the first of the ten bodhisattva bhūmis. He explicates the three voids, that is, the emptiness of self, the emptiness of dharmas, and the emptiness of uniformity as practiced by the practitioner before the ten bodhisattva stages. He also accounts for the three void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 of emptiness is also empty, the emptiness of emptiness is also empty, and that which is emptied is also empty after the first of the ten bodhisattva bhūmis. Wonhyo further subdivides and analyzes in detail the various contemplating phenomena that return to one mind in the six chapters of the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in terms of the practitioners' different natures and stages of enlightenment. In order to be helpful to actual practitioners, this paper focuses on the signless contemplation of the Signless Dharma chapter and the three voids of the Accessing the Edge of Reality chapter.
    Signless contemplation is divided into expedient contemplation and unmediated contemplation, where expedient contemplation is expanded to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and enlightenment is accomplished with unmediated contemplation. Signless contemplation is further classified into practice that involves identity, which is a contemplation of generic characteristics, the practice that involves difference, which is a contempl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ity, and authentic contemplation. The practice that involves identity, which is a contemplation of generic characteristics, is one that clarifies the original essence of one mind as it has lost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nd and dharmas, but all characteristics. The practice that involves difference, which is a contempl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ity, leads to the edge of reality by specifically controlling the law of loosening one’s grasp on personality and dharmas. Finally, authentic contemplation reaches out to the nature of certitude by stepping outside of the existence/non-existence dichotom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