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방정교회 영성의 고전 『필로칼리아-The Philokalia』에 나타난 무정념(apatheia)에 이르는 길 (The Ways to Attain the Stillness of Mind in The Philokalia Representing the Spirituality of the Eastern Orthodox Church)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08.09
32P 미리보기
동방정교회 영성의 고전 『필로칼리아-The Philokalia』에 나타난 무정념(apatheia)에 이르는 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16호 / 251 ~ 282페이지
    · 저자명 : 김수천

    초록

    본 논문은 동방정교회의 『필로칼리아-The Philokalia』에서 제시하는 무정념(apatheia)에 이르는 네 가지의 주요 방법들을 신학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무정념이란 기도자가 묵상 기도를 할 때에 경험하는 욕심, 근심, 잡념, 과거의 기억의 활동들로부터 마음이 자유로와지고 나아가 마음의 고요와 정적에 이르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참된 기도와 관상을 위해 필요한 전 단계로서 이해 되었다. 무정념에 이르는 네 가지의 길 가운데 첫째는 예수 기도(The Jesus Prayer)를 통한 길이다. “예수여, 이 죄인을 불쌍히 여기소서!”라는 짧은 기도문을 반복함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고 나아가 잡념의 활동들로부터 벗어나 마음의 고요를 경험할 수 있다고 동방정교회의 영성가들은 강조한다. 둘째는 기도자가 자신의 죽음의 순간을 묵상하는 것이다. 자신의 죽음의 시간과 임종 장면을 자주 묵상할 때 기도자는 현실을 초월할 수 있고 그 현실로부터 야기된 욕심이나 근심과 같은 잡념들을 쉽게 극복할 수 있다. 셋째는 덕의 실천이다. 많은 덕 가운데 공통적으로 강조된 덕들은 절제, 인내, 사랑, 겸손을 들 수 있다. 넷째는 애통의 눈물이다. 애통의 눈물은 혼탁한 마음과 영혼을 정화해 잡념들로 인해 흐트러진 마음과 정신을 쉽게 집중하도록 도와 준다.
    필자는 동방정교회의 이러한 영적 훈련이 현대인들에게 세 가지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는, 마음 수련에 관심이 있는 현대인들에게 선교를 위한 대화의 접촉점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목표는 다르지만 마음의 고요와 내면의 평화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기독교인들은 동방정교회의 훈련 방법을 불신자들과 대화의 주제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깊은 묵상 기도를 갈망하는 기독교인들에게 동방정교회의 훈련 방법은 하나의 좋은 방안을 제시한다. 깊은 기도를 위해서는 존재의 중심이자 성령이 임하시는 마음 중심에 이르는 것이 필수인데 바로 동방정교회의 영성 훈련 방법은 마음의 정적에 이르게 하는 하나의 길이 될 것이다. 끝으로, 진정한 변화를 위한 성화와 신적 지혜를 얻도록 도와 준다. 모든 기독교인들이 갈망하는 것은 예수님의 성품을 닮는 성화의 삶인데 동방정교회에서는 무정념의 상태를 통하여 신화(deification)라는 비젼을 추구하고 있다. 나아가 무정념의 상태에서 경험하는 명료한 사고의 활동을 통해 피조물의 본질과 성서적 진리를 깊이 사색하는 관상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ways to attain the stillness of mind in The Philokalia. The Philokalia in five volumes, compiled by two monks of the Eastern Orthodox Church in the eighteenth century, consists of the writings of thirty-five monks and priests who practiced spiritual discipline through out their life. The Eastern Orthodox Church has valued the book as a treasure for spiritual life. However, it was not known to the public of the Western world until the twentieth century.
    There are many ways in The Philokalia to reach a calmness of mind during a silent prayer called apatheia in Greek. The word apatheia means that the mind is free from distractions mainly caused by desires, concerns, random thoughts, and memories. This article focused on four ways for the stillness of mind which are common to most writers of the book: the Jesus Prayer, meditation of death, practice of virtues, and tears of lamentation.
    The Jesus Prayer is a repeated prayer focusing on calling the name of Jesus. The person praying is distracted by those activities of the thoughts in him and is encouraged to repeat that prayer for divine help: "Jesus, have mercy upon me, a sinner." When believers repeat this prayer continuously they would experience two spiritual benefits. First, it works as a semi-sacrament for them which functions as a means of grace like the holy communion. Second, it helps them overcome the distractions of the thoughts and reach stillness of mind.
    The writers of The Philokalia also suggest their readers meditate on their own death frequently. To meditate on death means to imagine the time and situation of their own death. Thishelps them transcend their desires and concerns in the present and be free from distractions related to those desires and concerns.
    Another way to reach tranquility of mind is to practice some virtues. The contributors of The Philokalia recommend practice four virtues: self- control, patience, love, and humbleness. They believe that when the believer practices those virtues they will experience a peace of mind more easily. For instance, when a person tries to live a life of love, he wishes only good for others. This attitude will result ina simpler and more peaceful mind.
    Finally, the tears of lamentation work like washing water. They are not limited to tears of repentance for sin. All of the tears before God help purify the mind and soul of the believer,and as a result, his mind becomes freed from distractions of thought more eas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