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의 장소, 동물원의 정치적 무의식 - 1930년대 후반의 동물 시편을 중심으로 (A place as colonization, the political unconscious - Focused on poems about animals in the late 1930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3 최종저작일 2016.12
27P 미리보기
식민의 장소, 동물원의 정치적 무의식 - 1930년대 후반의 동물 시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어문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 / 90권 / 295 ~ 321페이지
    · 저자명 : 한상철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1939년 전후 조선 시단(詩壇)에 나타난 동물 표상에 주목하여, 그것이 식민 체제의 폭력적인 정치 구도에 대한 지식인의 내면 심리와 연동된 현상이라는 점을 입증하는 데 있다. 여기에는 기욤 아폴리네르(Guillaume Apollinaire 1880~1918)의 동물 시편에 대한 경도 현상이 일정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모든 텍스트의 무의식적 역사화’를 주창했던 프레드릭 제임슨(Fredric Jameson)의 전략을 빌린다면, 동물 표상의 의미는 소재의 발견이나 수사적 유행의 차원을 넘어선 현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당시 동물 시편의 일부가 ‘동물원’이라는 근대적 장소성과 연관된다는 사실은 중요한 전환점을 이룬다. 본론에서는 윤곤강, 김기림의 동물 시편을 중심으로 시적 주체와 동물 표상이 맺는 관계 양상의 추이(推移)와 그 의미를 구명하고자 했다. 1920년대 시의 동물 표상이 주로 공동체 안에 더불어 살아가는 동료의 자리에 위치한다면, 1930년대 후반에 등장한 동물 표상은 시적 주체에 의해 관찰된 타자의 자리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아폴리네르의 영향 하에 등장한 식민지 후반기 시의 동물 표상은 일시적 유행이기보다는 지식인들의 ‘전향’ 과정에 얽힌 당대 문학장의 ‘정치적 무의식’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요컨대 타자로 호명된 1939년 무렵의 동물 표상은 식민지 후반기 시의 ‘무의식적 역사화’ 과정을 보여주는 징후로 독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presentation of animals in the poems of Gongang Yun, Girim Kim, and Hanjik Lee published in 1939. In addition, the second aim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changes and meaning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main agent of the poetry and the representation of animals focusing in these poems.
    According to the strategy provided by Fredric Jameson(1981) who argued “historicizing all text”, the meaning of the representation of animals can be expanded in phenomena beyond the rhetorical trends and the discovery of materials. There are three reasons why more poems about animals were published in 1939 than in any other year. These are: (1) Guillaume Apollinaire’s poems about animals influenced Yun, Gongang and Kim, Girim to write poems about animals. (2) A zoo was used as an important background of writing these poems. (3) The oppressive political system deepened anxiety among writ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haracteristic of poetry about animals published in 1939 is to emphasize the otherness. The representation of animals in their previous poems had a favorable relationship with humans, but that in 1939 was observed by people. This change has two meanings. First, the representation of animals was used as a means of satirizing reality. Second, the representation of animals was used as a means of reproducing the complicated psychology of intellectuals under Japanese rule.
    To sum up, the representation of the zoo as observed other drifted between a satire of reality and inner oblivion of intellectuals and was changed into new representation of animals that was inherent in the otherness of modernized colonial system by 1939.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