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武夷精舍雜詠에 나타난 晦庵 朱熹의 선비 精神 硏究 (A Study on the Scholar Mind of Zhu Xi's Poe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3.06
20P 미리보기
武夷精舍雜詠에 나타난 晦庵 朱熹의 선비 精神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68호 / 37 ~ 56페이지
    · 저자명 : 이정화

    초록

    회암은 자연과 학문의 이치를 깨닫기 위해 공부하는 유자(儒者)들에게 그것이 가능한 격물(格物)의 공간으로써 무이산의 가치를 입증한 학자였다. 「무이정사잡영(武夷精舍雜詠)」 서문(序文)에서, 무이산의 진면목은 한 마디로 단정 지어 말할 수 없을 만큼 높고 깊은 이치를 깨닫게 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회암은 무이산에 존재하는 수많은 자연물 하나하나를 모두 소중한 존재로 인식하며, 그러한 생명체들이 펼쳐 보이는 만물상(萬物相)은 똑같은 날이 하루도 없음을 경이롭게 여기고 있다. 이것이 곧 회암의 산수 취향이라 할 수 있다. 그는 무이산에 서식하는 자연물을 통해 대자연의 경이로운 현상들을 직접 확인함으로써 산수에서 터득하는 것이 많음을 절감하였던 것이다. 이로써 그의 산수 취향과 격물치지(格物致知)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회암에게 있어 무이산은 참 선비의 길을 실천하는 삶의 터전일 뿐만 아니라 자연과의 합일이 이루어지는 평화의 공간이었다. 구도(求道)의 마음을 견지한 회암은 무이산이 인지(仁知)의 미덕을 체득할 수 있는 공간임을 자각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그는 무이정사에서 하루하루 덕을 쌓으며 살았으니 「정사(精舍)」의 시를 통해 이러한 그의 삶을 확인할 수 있다. 사람은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 기꺼이 죽는다는 말도 있듯이, 세상에 태어나서 진정한 벗 한 사람을 만나기는 참으로 쉽지 않은 것이다. 회암의 시에는 자신과 의기투합해서 살아갈 수 있는 도우(道友)를 만났을 때의 심정을 시화한 것이 적지 않다. 이는 다른 사람과의 공감과 소통을 통해 평화로운 세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마음을 형상화한 것이기도 하다.
    유가(儒家)에서는 ‘하나’인 마음을 그 씀씀이의 옳고 그름에 따라 도심(道心)과 인심(人心)으로 구별하여 부르도록 명명(命名)하였다. 특히 회암이 중요시한 ‘천리(天理)’는 인욕(人欲)과는 상대되는 개념인데, 그는 알인욕(遏人欲) 존천리(存天理), 즉 인욕을 막아 천리를 보존하기 위한 학문에 전념하였던 것이다. 그의 시에는 주야(晝夜)에 상관없이 항상 거경궁리(居敬窮理)하는 선비의 참마음이 투영되어 있다. 그의 선비정신은 도심(道心)을 구현한 삶에서 비롯된 것이다.
    예로부터 선비와 차는 불가분의 관련을 지니고 있었거니와, 회암이 은거한 무이산은 특히 바위 틈에서 자란 암차(巖茶)의 생산지로 유명한 곳이다. 조용한 곳에 자리를 잡고 좌정(坐定)하여 자신을 수양하는 것으로 은거 생활에의 의미를 두었던 회암에게 있어 차는 학문에 정진하는 가운데 방심하기 쉬운 마음을 맑게 추스르는 데에 유용했던 것이다. 또한 다담(茶談)의 시간은 참 선비의 마음을 고취시키는 데에 매우 유용했으리라 사료된다.
    「다조(茶竈)」 시 에서 ‘세향(細香)’이란 제재는 몰후(歿後)에도 아름다운 향기가 사라지지 않는 참 선비의 인격을 형상화한 것인데, 고래(古來)로 공부하는 사람들은 그러한 향기를 성현(聖賢)의 삶과 학문정신을 통해 느껴왔다. 회암 역시 ‘세향(細香)’처럼 고매한 인격의 가치를 깨달아 성학을 근간으로 연마(硏磨)한 결과 마침내 자신의 학문으로 인격을 완성하였기 때문에 후세인들에게 영원한 선비의 향기를 남길 수 있었다.

    영어초록

    Zhu Xi studied to realize natural and discipline. He was thinking of the mountain study area. He exists in the mountains numerous all natural objects were perceived as valuable. He looks different creatures look wonderfully unfold considered. Mountains to practice the way of true scholars, as well as livelihood unity of nature and the peace of the area was made​​.
    The mountain area is a virtue to learn who will awaken. A person a self-know the a working man with your for the dies the There is a saying. One who was born to meet the real world, it is not easy to take off. He met a friend and helping to live the joy of the written poem. Zhu Xi empathy and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 peaceful world to have a heart.
    Green tea is associated with a profound scholar. He sits nestled in a quiet and lived himself weeping. Tea gave help to the bookish, is necessary to clear the mind. Green tea is also keeping true scholar's mind is very useful. That the dying person who remains forever. The character of a great scholar is forever admired. He studied hard in order to complete the charac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