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가의 ‘무의미해 보이지만 유의미한 후렴’ 고찰 (On Quasi Non-lexical Refrains of Poems in the Late Goryeo Period)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9.12
31P 미리보기
고려시가의 ‘무의미해 보이지만 유의미한 후렴’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56호 / 5 ~ 35페이지
    · 저자명 : 성호경

    초록

    이 글에서 필자는 무의미한 소리처럼 보이지만 유의미한 말 위주일 가능성이 적지 않은 고려시가 작품 <서경별곡>과 <청산별곡> 그리고 <가시리>의 후렴들의 뜻과 특성을 몽골어로써 탐색하고, 그러한 후렴들과 시 형식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어렁셩’은 몽골어 어구 dü'üreng šeng의 표기일 가능성이 적지 않으며, 그 뜻 ‘가득 찬 되[升]’는 풍작․풍년을 찬양하는 말일 수 있다. ‘얄리’와 ‘얄라셩’은 몽골어 yali-와 yali-a'a šeng의 표기일 가능성이 적지 않으며, 뜻이 ‘매우 많은 양(또는 良質)이 되다’와 ‘반드시 대풍이 되어라’(또는 ‘꼭 풍작이 되어주소서’ 등)일 수 있다. ‘증즐가’는 몽골어 문장 ǰing ǰirγa의 표기일 가능성이 있으며, ‘(수확한 곡물의) 무게가 풍성하게 되다’를 뜻할 수 있다.
    작품들의 시상 및 정서와 딴판인 이러한 몽골어 단어․어구․문장이 후렴에 쓰인 것은, 그 작품들을 궁중에서 공연할 때 유절형식의 악곡에 따라 노래하면서 각 절들의 끝에다 임금을 찬양하는 致語를 후렴 또는 그 일부로서 끼워 넣은 것으로 추정된다.
    작품의 통합성과 통일성을 적지 않게 저해하는 이러한 엉뚱한 후렴들은 그 작품들의 유기적인 일부로 보기 어려우므로, 그 작품들의 시적 형식을 살핌에서 제외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the quasi non-lexical refrains of Seogyeong-byeolgok, Cheongsan-byeolgok and Gasiri are loanwords from Mongolian, and I considered the relation between these refrains and the poetic form. The results are as follows: ‘Dueoreongsyeong(두어렁셩)’ could be the writing of Mongolian phrase dü'üreng šeng, its meaning ‘the full liter’ might be the praise of the bumper crop(or the bumper year). ‘Yalli(얄리)’ and ‘yallasyeong(얄라셩)’ could be the writings of Mongolian word yali- and phrase yali-a'a šeng, their meanings are ‘to be in great quantity’ and ‘be in great quantity surely’. ‘Jeungjeulga(증즐가)’ might be the writing of Mongolian sentence ǰing ǰirγa, its meaning is ‘the weight is prosperous’.
    These refrains, quite different from the meaning and emotion of the poems, could be the words of praise to kings. These might had been inserted into the rear of strophes of the poems for the performance at the royal palace.
    These irrelevant refrains hinder the integrity and unity of the poems, so it is desirable to exclude these from the poetic 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