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총독부의 민족종교 탄압과 제주도 무극대도 사건 (Chosun Government-General's Oppression of Ethnic Religion and Mukukdaedo Incident in Jeju Island)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2.12
36P 미리보기
조선총독부의 민족종교 탄압과 제주도 무극대도 사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융합 / 6권 / 4호 / 7 ~ 42페이지
    · 저자명 : 이덕일

    초록

    제주도 무극대도교 사건은 일본이 군국주의로 나아가던 1937년에 제주도에서발생한 거대 시국사건이었다. 〈판결문〉에 따르면 이 사건으로 유죄판결을 받은인물은 모두 20명이었다. 이들에게 가장 많이 적용된 죄명은 ‘불경죄’와 ‘보안법’ 이었다. 불경죄는 일왕이 곧 폐위될 것이라고 예견했다는 것이고, 보안법은 일제가 곧 패망하고 조선이 독립된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그 외에 ‘육군·해군형법위반’이 있는데 이는 중일전쟁에서 일본이 패한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이 사건은 일제의 패전과 한국의 독립을 희구했던 독립운동 사건이었는데, 일제는 교주강승태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지지를 차단하기 위해서 ‘사기’ ‘강간치상’ ‘의사(醫 師)규칙 위반’ 등의 사회적 패륜혐의를 뒤집어 씌웠다. 일제는 식민지 한국의 종교를 두 종류로 나누었다. 일본의 국교인 ‘신도’, ‘불교’, ‘기독교’는 종교로 분류해서 총독부 학무국 종교과에서 관할했다. 인간해방, 민족해방, 조국독립을 희구하는 민족종교들은 ‘유사종교’로 분류해서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하는 총독부 경무국에서 관할했다. 유사종교로 분류된 종교들은 모두 민족의 해방을 꿈꾸는 민족종교였다.
    해방 후에도 일제가 만든 이런 종교 분류가 그대로 받아들여져서 무극대도 사건관련자들은 국가의 서훈에서 배제되었다. 교주 강승태는 6년의 형기를 다 채운 뒤에도 일제가 석방시켜 주지 않을 정도로 요주의 인물로 관장했는데, 그를사이비 교주로 몬 총독부의 시각이 해방 후에도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이제 제주도 무극대도 사건이 1930년대 가장 치열했던 민족해방운동의 하나로 새롭게 자리를 찾아야 할 때이다.

    영어초록

    The Mugeuk Daedokyo Incident on Jeju Island was a significant incident that occurred on Jeju Island in 1937 when Japan was moving toward militarism.
    According to the verdict, 20 people were convicted in this case. The most common crimes they were charged with were “impiety to the Japanese Emperor” and “National security law.” ‘Impiety to the Japanese Emperor” consisted in the fact that they foresaw that the Japanese Emperor would soon be dethroned, and “National security law” was invoked as they said that Japan’s imperialism would soon collapse and Joseon would become independent.
    Additionally, Military penal law and Navy penal law were involved as Japan said that it would lose in the Sino-Japanese War. This incident was part of an independence movement that desired the defeat of Japan and Korea's independence. To block the support of the general public for the religious leader Kang Seung-tae, the Japanese government played on social issues such as “fraud,” “rape,” and “violation of doctors’ rules.” charged with immorality.
    The Imperial Japanese divided the religions of colonial Korea into two types. Japan’s state religions, “Shinto” and “Buddhism,” and “Christianity,” were classified as religions and administered by the Religious Division of the Academic Affairs Bureau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thnic religions that desired human liberation, national liberation, and national independence were classified as “similar religions,” and were controlled by the Government-General’s Police Bureau, which suppressed independence activists.
    Religions classified as pseudo-religions were all ethnic religions that dreamed of national liberation.
    Eve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is religious classification made by the Japanese was accepted as it was, and those involved in the Mugeukdaedo incident were excluded from the national conferment of a decoration. Kang Seung-tae, the leader of the Mugeuk Daedokyo, was treated as a person of interest to the point that even after serving his six-year sentence, the Japanese Empire would not release him, because the view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who treated him as a pseudo religious leader, was maintained even after liberation.
    Now is the time to frame the Mugeukdaedo incident on Jeju Island as one of the fiercest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of the 193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