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형식 학습의 방법에 대한 사례연구 (A Study on The Way of Informal Learning at Corporate Workpla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09.02
51P 미리보기
무형식 학습의 방법에 대한 사례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력개발학회
    · 수록지 정보 : HRD연구 / 11권 / 1호 / 1 ~ 51페이지
    · 저자명 : 이성엽

    초록

    본 연구는 근로현장(workplace)에서 무형식학습(informal)이 어떠한 모습으로 일어나는지에 대한 질적연구다. A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는 현장에서의 무형식 학습의 방법으로 첫째, 근로자가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체험하면서 무형식학습이 일어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업무를 직접 실천하면서, 숙련된 동료들의 업무수행을 관찰하면서 학습은 일어났다. 특히 선례가 없는 선구적인 일을 담당하거나, 벅차게 느껴지는 업무를 수행할 때, 그리고 업무수행 중 실수하는 과정을 통해 무형식학습이 일어났다. 둘째, 관찰이나 비교와 같은 간접적인 체험도 무형식 학습의 중요한 방법으로 발견되었다. 셋째, 근로현장에서 동료들과의 대화는 무형식 학습의 중요한 방법이었는데, 대화의 내용이나 장소는 크게 상관없었다. 특히 핸드폰문자나 e-mail등을 통한 의사소통도 중요한 무형식 학습방법이었다. 넷째, 본인이 체험한 상황을 자기 나름대로 정리하는 성찰과정 역시 무형식학습의 중요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how the informal learning takes place in corporate organizations. Employees working in Bank A, grown-up learners, were selected as the object of the observation, and how they learn in workplace. During the research, the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over a year, aimed to eleven employees of Bank A, such as depth interviews of several times, narrative analyses, open-ended questions and observation.
    As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the research objects learn in workplace to play a role of a member of a corporate organization, it was found out that the employees learn what they need by observing competent seniors or colleagues working nearby. They observed the overall behavior of the workers as well as their work performance, so that they could obtain, by watch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of not only work but also other aspects of life from colleagues. What matters here was the initiative of an individual. Though the informal learning of a business organization was basically limited from the point of workplace and work hour, there was no limit of time, space and method when learning. Informal learning was thus found out to be the results coming from natural opportunities of everyday life when a grown-up learner controls his or her learning. The workers observed the way of life of close seniors or colleagues who were considered competent and imitated their behavior thought to be useful. The imitation here was not only being acquainted with work duty by repeatedly imitating the behavior of others, but also trying to follow invisible values of a person who is observed, like attitude, thought and passion. And the research objects were found to make continued comparison with others when learning.
    The grown-up learners of the company learned through conversation with people of superior position. Talking with one's superiors or colleagues, as a method of informal learning, was a great help especially for new employees to adapt themselves to workplace at the beginning period. They obtained basic knowledge of work, felt psychological security and learned organizational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It was the conversation on work duty with seniors or colleagues that was the best opportunity of learning; other everyday talks not related to work were also a route of learning which can stimulate an individual growth and development. When having a talk in informal places, not related with work duty, it became another way of learning for employees to feel attached as a member of a company and to know their identity. Such conversation was conducted through face-to-face talks, e-mail and text messages. The people observed were found to accumulate their own know-how through the process of reflection, which can be called self-directed learning. Reflection wa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informal learning of such various kinds to have a meaning as educational experience, not just simple experience. The learning could have an educational meaning only after the learners went through the process of reflection by which personal experiences could be generali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HRD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