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宣武祠에 대한 인식 변화 (Changing Perceptions of Seonmusain Late Joseon Dynas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3.10
31P 미리보기
조선후기 宣武祠에 대한 인식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115호 / 79 ~ 109페이지
    · 저자명 : 나종현

    초록

    선무사는 임진왜란에 참전하였던 군문 형개를 기리기 위한 생사당으로 만들어졌다. 생사당의 건립 과정에서 조선은 내키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명군과의 관계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협조하였다. 그런데 선조대 조선과의 관계가 비교적 긍정적이었던 양호를 선무사에 배향할 때에는 조선 정부가 자발적으로 추진하였던 모습이 확인된다. 이러한 모습은 광해군대까지도 이어졌다. 선무사는 생사당이기에 양호의 화상을 봉안해야 했고, 그의 화상을 구하기 위한 노력이 선조대부터 계속되었으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러나 1610년(광해군 2) 드디어 양호의 화상을 구하여 선무사에 봉안하였으며, 이를 기념하여 양호거사비를 새롭게 건립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조치는 국제정세의 변화 속에서 양호와의 우호적 관계를 통해 조선의 외교적 운신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던 실용적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선무사에 대한 실용적 인식은 결국 상황 변화에 따라서 선무사 제향이 지속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었다. 병자호란과 명청교체의 큰 변화 속에서 선무사는 큰 국가적 관심을 받지 못하게 변화하였다.
    숙종대에 이르러 선무사는 국가 이데올로기를 상징하는 장소로 위상이 급격히 강화되었다. 숙종은 강희제의 어필을 하사받으면서 처한 이데올로기적 곤경을 존주대의 이데올로기의 강화를 통해 타개하고자 하였고, 그 과정에서 선무사에 대한 제향이 지속적으로 활용되었다. 이에 따라 선무사는 대보단과 함께 존주대의를 상징하는 장소로 인식되었고, 제향의 정비 또한 이루어졌다. 영조는 존주대의에 입각하여 선무사의 위상을 더욱 강조하였다. 전몰 명군의 위판을 옮겨와서 별도로 봉안하도록 하고, 선조대 만들어진 양호거사비를 옮겨오도록 하여 선무사 시설의 정비가 이루어졌다. 또한 영조는 선무사에서 국왕의 배례를 정식화하면서 존주대의를 상징하는 공간으로서 선무사의 위상을 확고히 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정조대까지도 지속되었다. 그러나 근현대에 역사적 굴곡 속에서 조선후기를 풍미했던 존주대의 이데올로기는 퇴영적 사조로 인식되었으며, 선무사의 위상은 급격히 하락하였고 건물과 위판은 훼철되어, 현재에는 전하지 않는다.

    영어초록

    Seonmusa was built as a shrine to honor Ming’s Xing jie, who fought in the Imjin War.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shrine, Joseon was forced to cooperate despite its reluctance due to its relationship with the Ming army. However, when Ring Hou, whose ancestors had relatively positive relations with Joseon, was placed in the shrine, the Joseon government voluntarily promoted it. This behavior extended to the King Gwanghae. As Seonmusa is a shrine of live men, Ring Hou's image had to be enshrined, Ring Hou's image was finally saved and offered to Seonmusa Temple, and a new monument was built to commemorate this. During the great changes of the Byeongja Horan and the Ming-Qing transition, Seonmusa ceased to receive much national attention.
    By the time of Sukjong, Seonmusa had rapidly strengthened its status as a symbol of state ideology. King Sukjong sought to resolve the ideological predicament he found himself in under Emperor Kangxi's appeal by reinforcing the ideology of respectability, and in doing so, he continued to utilize incense offerings to Seonmusa. As a result, Seonmusa was recognized as a place that symbolizes respectability along with Daebodan, and the incense was maintained. King Yeongjo further emphasized the status of Seonmusa based on the principle of respect. The facilities of Seonmusa were maintained by moving the plaques of the war dead to be worshipped separately, and the monument to the good health of the ancestors was moved. In addition, Yeongjo formalized the royal courtesy at Seonmusa, solidifying the status of Seonmusa as a space that symbolizes the righteousness of respect.
    However, in the modern era, the ideology of Jonju(尊周), which flavored the late Joseon Dynasty, was perceived as a retrograde ideology, and the status of Seonmusa declined sharply, and the building and its tablets fell into disrepair and are not preserved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