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도군 주요 무인도서 암반 조간대의 해안무척추동물 종목록 (Species Inventory of Marine Benthic Invertebrates on the Rocky Intertidal Area of Uninhabited Islands around Jindo Island, Southwest Coast of Korea)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21.04
20P 미리보기
진도군 주요 무인도서 암반 조간대의 해안무척추동물 종목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서(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도서연구 / 33권 / 1호 / 187 ~ 206페이지
    · 저자명 : 정양섭, 임현식, 이진영

    초록

    진도 주변의 14개 무인도서에서 2019년 8월에 암반 조간대 해안무척추동물을 간조 때 노출된 조간대와 조수웅덩이를 대상으로 정성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 조사는 출현 종수 파악에 중점을 두었으나 육안으로 높은 밀도로 분포하는 종들에 대한 정량조사를 통해 해당 무인도서의 우점종을 파악하였다. 조사 대상 무인도서는 모두 암반 기질을 보였으며 조수웅덩이는 모든 섬에서 대체로 발달되어 있었다. 또한 암반 표면에 타포니와 갈라진 틈이 있어 해안 무척추동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있었다. 조사된 해안무척추동물은 6문 11강 18목 34과 52종으로, 연체동물이 3강 8목 16과 32종으로 전체 출현 종수의 약 62%를 점유하여 가장 많은 종수를 보였다. 두 번째 우점 분류군은 절지동물로 2강 3목 9과 9종이 출현하여 전체 출현 종수의 약 17%를 점유하였으며, 그 밖의 해면동물, 자포동물, 태형동물, 극피동물이 각각 1~종씩 출현하였다. 무인도서별 출현 종수는 두륵도가 총 27종으로 가장 많은 종수를 보였고 이 중 연체동물이 20종으로 우점 분류군으로 출현하였으며, 돈서 등 7개 섬이 20종 이상의 많은 종수를 보였다. 그 밖의 나머지 무인도서들도 10종 이상의 종수를 보였으며, 이 중 신의도에서 14종으로 가장 적은 해안무척추동물이 출현하였다. 모든 조사대상 무인도서에서 출현한 해안무척추동물은 대수리와 갯강구였으며, 좁쌀무늬총알고둥은 소소동도 등 10개 무인도서에서 우점하였다. 검은큰따개비는 해수여(고치여도) 등 9개 무인도서에서 우점 출현하였으며, 거분손은 주도 등 9개 무인도서에서 우점 출현하였다. 그 밖의 해안무척추동물 중 두드럭배말은 북도(시루섬) 등 3개 무인도서, 총알고둥은 신의도 등 2개 무인도서, 갈고둥은 돈서, 진주배말은 신도, 보말고둥은 주도에서 각각 우점 출현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인근의 서·남해안의 암반 해안무척추동물의 연구 결과를 비교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도 인근에서 이루어진 다른 연구에서도 유사한 출현 종수와 해안무척추동물의 우점 및 대상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신안과 완도에서는 조사방법의 차이와 인근 지질환경의 차이로 인하여 출현 종수와 주요 우점종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대체로 유사한 해안무척추동물의 우점 및 대상분포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진도 무인도서의 암반 해안에서 서식하는 해안무척추동물은 우리나라 서ˑ남해안 암반 서식처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우점 종 및 대상분포를 보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무인도서 관리 정책수립, 생태계 변화 및 환경 변화와 관련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In August 2019, we have conducted qualitative samplings at low tide in exposed intertidal zones and tide pools of 14 uninhabited islands around Jindo Island, located o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The main purpose of the survey was to make a species inventory of the organisms that inhabited the study area. In addition, the dominant species with high density in the area were also examined through quantitative survey. Rocky substrate and tidal pools were developed in all uninhabited islands. Taponies and cracks on the surface of substrate were also deveploped, which provided living habitats for marine benthic invertebrates. A total of 52 species were collected, consisting of six phyla, 11 classes, 18 orders, 34 families and 52 species, and the molluscs were the most dominant faunal group among them, with 32 species (61.5%), 3 classes, 8 orders and 16 families. The arthropods formed the second dominant faunal group, amounting to 9 species (17.3%), 2 classes, 3 orders and 9 families. In addition, Porifera, Cnidaria, Bryozoa and Echinodermata in the area numbered between one and three species, respectively. The greatest number of species were found on Dureukdo island, with 27 species that included 20 species of molluscs, and seven other islands such as Donseo island featured more than 20 species. The rest of the remaining uninhabited islands featured more than 10 species, with those found on Shineudo island being the lowest in number (14 species). The ones that were found in all the sampling areas were Reishia clavigera and Ligia exotica. In addition, Echinolittorina radiata was found to be the dominant species in 10 areas including Sososongdo island. The dominant species found in other areas were as follows: Tetraclita japonica in 9 islands including Haesuyeo(Gochiyeodo) island, Pollicipes mitella in 8 islands including Judo island, Mytilisepta virgata in 5 islands including Donseo island, Lottia dorsuosa in 3 islands including Bukdo(Siruseum) island, Littoraria brevicula in 2 islands including Shineudo island, Nerita japonica in Donseo island, Cellana grata in Shindo island, and Omphalius rusticus in Judo islands. Comparative analysis of marine invertebrates on the rocky intertidal area between the study area and adjacent southwest coastal area showed that the two areas featured similar type of dominant species, zonal distribution pattern, and total number of species. However, type of dominant species and total number of species were found to be slightly different in Shinan and Wando areas due to sampling methods and sediment environmen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dominant specie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macroinvertebrate in rocky area of Jindo uninhabited island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 islands in southwest coast of Korea, that can be useful in establishing management policies for uninhabited islands regarding the monitoring of changes in the coastal marine ecosystem and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도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후